 
            한국 신문에서 재미있는 기사를 읽었다. ‘신이어마켓’이라는 소셜 브랜드 이야기다. 폐지 수거 노인을 넘어서 일하고 싶은 시니어까지 즐겁고 따뜻한 일자리로, 청년과 노년이 함께 일하며, 다양한 세대가 서로 공감하고 위로하며 같이 살아가는 브랜드라고 한다. “‘신이어마켓’은 연장자를 뜻하는 영어 단어 ‘시니어’를 어르신들 나름대로 발음한 ‘신이어’와 다양한 물건을 파는 ‘마켓’을 합친 말이다. 이곳에서는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는 어르신을 ‘신이어’, 함께 일하는 청년 구성원을 ‘준이어’라고 부른다. 준이어들이 관련 그림과 글을 예시로 보여주고 신이어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그림을 그린다.” 시니어를 ‘신이어’라고 부르니, 어감도 신선하고 별안간 확 젊어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 새로운(新) 해(year)들이니까 나도 ‘신이어’로 살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준이어’라는 낱말도 그렇고, ‘신이어마켓’이라는 곳이 하는 일도 신선하고 흥미롭다. 신이어들의 삶은 어쩐지 신바람 나고 활기찰 것만 같다. ‘신이어마켓’은 2030세대가 기획하고, 시니어가 직접 그리고 포장해 탄생한 제품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는데, 그동안 다이소, 스킨푸드, 우아한형제들, 한국후지필름, 리얼스마켓 등 내로라하는 대기업과 협업했다고 한다.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심현보 대표는 “어르신들의 문화와 문체, 경험과 능력을 있는 그대로를 존중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저의 최종 꿈은 저희 부모님께도 지속가능한 소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에요. 젊은 세대의 하루하루가 소중한 것과 같이 어른 세대의 하루도 똑같이 소중하다는 걸 잘 알거든요.” 노인들에게 날씨에 상관없는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 새로운 일거리를 마주하고 세대 간의 이야기가 끊이지 않도록 하는 것, 청년과 노년이 어우러져 함께 일하는 곳…. 바야흐로 온 세상이 고령자 문제로 골치 아픈 판이라서, 이처럼 신선한 발상이 눈길을 끈다. 특히 ‘청년과 노년이 함께’라는 정신이 반갑고 고맙다. 최근 한국에서는 20대 젊은이 인구가 70대 노년 인구보다 적어졌다고 한다. 노년층은 계속 늘어가는 고령화사회, 다른 말로 하면 늙은 나라가 되어간다는 뜻이다. 이건 정말 보통 문제가 아니다. 현대의학은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여 죽을 사람을 살려내고, 인간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하고 있지만, 노년의 삶을 품위 있고 행복하게 하는 일에는 관심이 별로 없다. 대책 없이 오래 사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사람답게 잘 사는 일인데…. 하긴, 그건 의학의 영역이 아니고, 우리 모두의 숙제다. 지난 10월1일 91세의 나이로 자연으로 돌아간 제인 구달 박사의 장수비결은 여러모로 새겨들을만하다. 먼저 활동적인 삶이다. “일하는 한 늙지 않는다”고 했다. 또 자연과의 교감도 중요하다. “숲은 최고의 약이다”라는 명언도 남겼다. 목적의식도 중요하다. 구달 박사는 “왜 사는가를 아는 사람은 오래 산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낙관주의다. “희망은 최고의 항노화제다”라는 경험도 나눴다. 백세 시대의 기준으로 치면 91세는 장수 축에도 못 낄지 모르겠지만, 구달 박사는 90세를 넘어서까지 연간 약 300일 이상 여행과 강연을 계속했고, 은퇴하지 않은 것이 장수의 비결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희망을 전하는 과학자’라는 분명한 사명감을 평생 유지하고, 절망 속에서도 행동을 통한 희망을 강조하는 낙관주의자의 긍정적인 삶이 장수의 비결이라는 이야기다.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다. 그동안 많이 들어온 지혜이지만, 막상 실천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도 실천해야만 한다, 신이어들의 신바람을 위해!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신year 신바람 일자리로 청년 노년 인구 청년 구성원
2025.10.30. 18:43
 
                                평생 보장 연금(Lifetime Guarantee Income)은 60세 이상은 물론 40~50대가 반드시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할 플랜이다. 소셜 시큐리티 연금에만 기대하고 있다간 앞으로 닥칠 고령화 시대에 길고 긴 노년을 궁핍하게 살아야 하는 처지에 놓일 것이다. 젊어서야 부자가 가난해질 수 있고 가난해도 노력하면 부를 쌓을 수 있는 가능성이 크지만 노년들에게 이런 ‘인생역전’을 기대한다는 것은 무리다. 그래서 은퇴 연금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지금부터 앞뒤로 50년만 생각해보자. 1960년대에 인생 60을 넘긴 환갑잔치는 인생의 가장 큰 이벤트 가운데 하나였다. 무사히 60년을 살고 노년을 맞이하는 이들은 큰 잔치를 열고 남은 인생의 무병장수를 기원했다. 현재 모습을 보자. 요즘 환갑잔치를 크게 하는 모습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칠순이나 팔순 잔치쯤 돼야 자식들과 손주들 불러모아 놓고 제대로 축하받을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60세가 넘었다는 사람이 과거의 50대 정도로 보이는 외모와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50년 후는 어떨까. 최근 유엔이 발표한 ‘세계 인구전망 2015년 개정판’에 따르면 지금부터 불과 32년 후인 2050년 대한민국의 경우 전체 인구에서 60세 이상의 시니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명 가운데 4명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전 세계적으로도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돼 현재 12.3% 수준인 60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30년에는 21.5%, 2100년엔 28.3%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의료기술과 생활환경이 좋은 이곳도 인구의 고령화는 급속도로 늘어나 예상수명이 90세를 넘어가는 시대가 바로 코앞에 다가온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60세 이상 시니어 인구가 많아지면 미국에선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 건강한 노년 인구가 많아질수록 이들은 경제의 소비 주체로 자리 잡게 된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각종 서비스 산업 및 소비산업이 중심으로 떠오를 것이다. 더는 조용히 인생의 황혼을 살아가는 노년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고 젊어서 열심히 일해 모아놓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30~40년에 달하는 은퇴 기간을 맘껏 즐기고 누리는 모습으로 변해갈 것이 분명하다. 앞서 언급한 은퇴연금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고령화 시대에 가장 인기를 끌 상품이 바로 평생 보장 연금일 것이다. 이 플랜은 일정 기간 돈을 모아서 적립된 금액을 바탕으로 하거나 목돈으로도 시작할 수 있는 데 일단 연금을 타기 시작하면 그 금액을 사망할 때까지 보장받는 것이다. 만일 65세 여성이 은퇴 계좌에 50만 달러를 모아 놓았고 이 돈을 A 보험회사의 평생 연금 플랜으로 받을 때 이 나이에 해당하는 A사의 지급비율이 5%라고 가정하면 이 여성은 평생 매년 2만5000달러의 연금을 받게 된다. 이 돈은 해당 가입자가 아무리 오래 살아도 원금의 유무와 관계없이 무조건 지급되며 가입자가 사망하면 계좌 잔액은 모두 수혜자에게 지급된다. 평생 보장 연금 플랜은 돈을 적립할 때 보너스는 물론이고 미리 연금의 액수를 어느 정도 보장받을 수 있는 옵션까지 제공하고 있어서 이를 미리 알고 준비하면 길고 긴 노년을 멋지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문의:(213)503-6565 알렉스 한 / 재정보험 전문가보험 상식 연금 보장 평생 보장 노년 인구 세계 인구전망
2025.02.05. 1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