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정부나 의회는 투표율이 높은 집단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투표율이 낮은 집단에는 관심 갖지 않는다" 그동안 뉴욕중앙일보를 찾은 수많은 정치인들은 한목소리로 ‘높은 투표율’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한인들의 투표율이 높아야 정치적 영향력과 대표성이 강화되고, 커뮤니티의 요구와 권익이 정책에 반영되며, 지역사회가 보다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뉴욕·뉴저지 본선거에서 한인들의 투표율은 전체 투표율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시민참여센터(KACE)가 올해 뉴욕·뉴저지 본선거를 앞두고 발표한 한인 유권자 데이터 분석 결과, 최근 몇 년 동안 한인 투표율은 전체 투표율 대비 10%포인트 이상 낮았다. 먼저 2023년 뉴욕주 본선거 투표율을 살펴보면, 2023년 본선거 당시 뉴욕주 전체 투표율은 22.36%, 한인 투표율은 12.2%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18~29세 젊은층의 투표율은 ▶뉴욕주 전체 8.2% ▶한인 5.74%로 약 3%포인트 정도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하지만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투표율 차이는 커진다. 50~59세 중·장년층의 경우 한인 투표율(13.43%)이 전체 투표율(24.08%)보다 10%포인트 이상 낮았고, 80~89세 노년층에서는 투표율 차이가 약 20%포인트(전체 투표율 34.73%, 한인 투표율 17.21%)까지 벌어졌다. 대선이 치러졌던 지난해 투표율 역시 전체 투표율이 65.2%, 한인 투표율이 55.6%를 기록했다. 젊은층에서는 전체 투표율(57.24%)이 한인 투표율(49.25%)보다 약 10%포인트 높았으며, 50대 중·장년층에서는 10%포인트 이상(전체 투표율 72.61%, 한인 투표율 59.62%), 80대 노년층에서는 20%포인트 가까운(전체 투표율 68.49%, 한인 투표율 51.4%) 차이를 보였다. 다만 전체 유권자와 한인 유권자 모두 60·70대 투표율이 가장 높았다. 뉴저지주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난해 본선거에서 18~29세 젊은층 전체 투퓨욜은 57.94%였던 반면 한인 투표율은 43.43%로 약 15%포인트 낮았다. 50대 중·장년층 투표율 역시 15%포인트 이상(전체 투퓨욜 77.32%, 한인 투표율 61.41%) 차이가 났으며, 70대 노년층 투표율은 20%포인트 가까운(전체 투표율 82.5%, 한인 투표율 63.93%) 차이를 보였다. KACE는 "뉴욕의 경우 지난해에는 선거구 재조정으로 시의원 선거만 치러졌지만, 올해는 시장·시 공익옹호관·감사원장·보로장 선거까지 함께 진행돼 투표율이 다소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뉴저지 역시 주지사 선거가 예정돼 있어 재작년보다 높은 참여율이 기대된다. 그러나 KACE는 "소수계일수록 오히려 더 높은 투표 참여율을 보여야 함에도, 한인들이 여전히 낮은 참여율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한인 사회가 깊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지혜 기자투표율 한인 한인 투표율 장년층 투표율 노년층 투표율
2025.11.02. 17:36
지난 4월 실시된 시카고 시장 결선투표에서 20대 초반의 밀레니얼과 Z 세대들의 투표율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75세 이상의 노년층 투표율은 오히려 줄어들어 대조를 이뤘다. 최근 시카고 선거관리위원회가 공개한 투표 자료에 따르면 2월 실시된 본선거와 4월 결선투표의 연령대별 투표율에 따르면 18세부터 24세 사이의 청년층 투표율이 큰 차이를 보였다. 즉 2월과 4월 투표율을 비교했더니 이 연령층의 투표율이 무려 35%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투표 수로는 2만7000표 이상이 결선투표에서 더 행사된 것이다. 또 25세와 34세 사이에서는 25%, 35세 사이에서 44세 사이의 유권자들의 투표율은 11% 각각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45세에서 54세 사이는 6%, 55세에서 64세는 3%, 65세 사이에서 74세 사이는 0.6% 각각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75세 이상 유권자들의 투표율은 0.4% 줄어 들어 차이를 보였다. 이렇게 본선거와 결선투표의 투표율이 차이를 보인 것은 지난 선거와 비교해도 확연하다. 람 이매뉴얼과 추이 가르시아 후보가 붙었던 2015년 시카고 시장 선거에서는 결선투표의 투표율 증가가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났다. 그 중 45세 이상 유권자층에서의 투표율 증가가 가장 컸다. 2019년 로리 라이트풋과 토니 프렉윙클의 결선투표에서는 모든 연령층의 투표율이 하락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55세 이상 유권자의 투표율이 가장 높았고 젊은층의 투표율 하락이 가장 컸다. 결국 올해 결선투표의 투표율은 지난 두 차례의 결선투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국 젊은층에서 브랜든 존슨 시장에게 결집된 표가 많았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반면 노년층과 보수층의 표가 절실했던 폴 발라스 후보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투표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었다는 뜻으로 당락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올해 지방선거에서는 여성 유권자의 투표율이 남성 유권자의 투표율에 비해 2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권자 자신을 어느 당파에서 속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본선거에 비해 결선투표가 더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Nathan Park 기자젊은층 투표율 젊은층 투표율 노년층 투표율 투표율 증가
2023.05.11. 1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