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고용시장 여전히 강하다

미국의 신규 일자리가 5월 들어 예상 수준을 넘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을 압박하는 ‘뜨거운 노동시장’ 상황이 좀처럼 식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는 지표가 나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인하에 신중한 자세를 지속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을 전망이다.   노동부는 5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27만2000명 늘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19만명을 큰 폭으로 웃도는 수치다. 직전 12개월간 평균 증가폭(23만2000명)도 웃돌았다.   업종별로는 의료(6만8000명), 정부부문(4만3000명), 여가접객(4만2000명) 등 일부 업종의 취업자 수 증가가 전체 고용 증가를 이끌었다.   실업률은 4.0%로 4월(3.9%)보다 올랐으며 전문가 예상치(3.9%)도 웃돌았다. 5월 실업률은 2022년 1월(4.0%) 이후 2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도 전월 대비 0.4%로 시장 전망(0.3%)을 웃돌았다. 1년 전과 비교한 평균임금 상승률은 4.1%로 역시 전망치(3.9%)보다 높았다.   앞서 미국의 고용 증가폭은 지난 4월 들어 16만5000명(수정치 기준)으로 1∼3월 대비 크게 줄면서 노동시장 과열이 냉각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기대를 높인 바 있다.   연준은 기준금리 인하에 앞서 인플레이션 둔화세 지속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선 노동시장 과열 완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되풀이해 강조해왔다. 뜨거운 고용시장 지속은 연준이 금리인하에 좀 더 신중한 입장을 취할 것이란 예상에 힘을 실을 전망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이날 고용지표 발표 직후 연준이 9월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5.25∼5.50%로 동결할 확률을 46%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의 31%에서 크게 오른 수치다.   또한 7월 금리 동결 확률은 전날 78%에서 오른 91%로 반영했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그룹 고문은 “연준은 통화정책 전망에 우려를 키울 것이고 7월 금리인하를 선택지에서 내려놓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윤지혜 기자고용시장 임금상승률 기준금리 인하 고용시장 지속 노동시장 과열

2024.06.07. 19:09

기업 8월 구인 건수 961만건…전월 대비 69만건 증가 반등

기업의 8월 구인 규모가 반등하며 노동시장 과열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연방 노동부가 3일 공개한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8월 민간기업 구인 건수는 961만 건으로 전월 대비 69만 건(7.7%)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 880만 건을 크게 웃도는 규모다.   민간기업 구인 건수는 올해 들어 감소 추세를 이어오며 지난 7월엔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를 경신한 바 있다.   구인 건수의 반등은 노동시장의 초과 수요가 쉽게 해소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노동시장 과열이 인플레이션 고착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 고용 관련 지표를 눈여겨보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8월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노동시장 과열 완화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증거가 나온다면 이 역시 통화정책의 반응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은 오는 6일 발표되는 9월 고용보고서 등 핵심 고용 관련 지표에서 노동시장 열기가 지속될지 주목할 것으로 전망된다.건수 전월 증가 반등 노동시장 과열 노동시장 열기

2023.10.03. 19:19

미국 노동시장 과열 식지 않았다

은행 위기도 미국의 노동시장 과열을 별로 식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5일 발표한 4월 고용상황 보고서를 통해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가 25만3000개 증가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8만 개 증가)를 크게 상회한 결과다. 지난 3월 증가폭(16만5000개)도 훨씬 뛰어넘었다.   업종별로는 전문사무서비스(4만3000개), 보건의료(4만 개), 레저·접객업(3만1000개) 등의 순으로 일자리를 많이 늘렸다.   지난 3월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 연쇄 붕괴 사태에도 금융업 또한 일자리가 2만3000개 증가했다.   다만 노동부는 지난 2월과 3월 비농업 일자리를 각각 7만8000개, 7만1000개 하향 조정했다.   실업률은 3.4%로 전월(3.5%)보다 오히려 낮아진 것은 물론, 시장 전망치(3.5∼3.6%)를 하회했다.   지난달 실업률은 지난 1969년 이후 54년 만의 최저치 타이 기록이다.   또 전체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보다 0.5%, 전년 동월보다 4.4% 각각 상승해 다시 오름폭을 키웠다.   4월 시간당 평균 임금 증가폭은 지난해 여름 이후 가장 컸다고 마켓워치가 전했다. 시장 전망치(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4.2%)도 훌쩍 넘었다.   이날 발표는 미국의 노동시장이 여전히 강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연방준비제도(Fed·연준)로서는 뜨거운 노동시장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더할 가능성에 고민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은별 기자미국 노동시장 노동시장 과열 비농업 일자리 시장 전망치

2023.05.05. 22:02

2월 구인건수 2년만에 1000만건 아래로…노동수요 과열 진정 기미

노동시장 과열이 식기 시작했음을 시사하는 고용 관련 지표가 나왔다. 연방 노동부가 4일 공개한 2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업들의 구인 건수는 993만 건으로 집계됐다.   전월보다 63만 건이 감소해 지난 2021년 5월 이후 거의 2년 만에 처음으로 1000만 건 아래로 내려갔다.   2월 구인 건수는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1040만 건을 상당폭 하회했다.   실업자 1명당 구인건수 배율은 1월 1.9명에서 2월 1.7명으로 내려갔다. 이 역시 2021년 10월 이후 최저치로 노동 수요가 공급을 훨씬 초과하는 현상이 진정 기미를 보였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배율은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1.2명)을 크게 웃돌았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노동시장이 탄탄한 상태라는 의미라고 언론들은 전했다.   지난 2월 비농업 일자리는 31만1000개 증가해 시장 전망치(23만5000개)를 크게 상회한 바 있다.구인건수 노동수 구인건수 2년 노동시장 과열 전문가 전망치

2023.04.04. 23:55

금융 위기에도 노동시장 강세…신규실업수당 청구 19만건

금융 불안 속에서도 노동시장은 여전히 탄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노동부는 지난주(3월 12∼18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19만1000건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전주보다 1000건 감소해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본 전문가 예상을 깨뜨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는 19만8000건이었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주 연속 20만 건 미만으로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69만 건으로 1만4000건 증가했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주 전 기준으로 집계된다.   이러한 수치는 노동시장 과열이 여전히 식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 연속 붕괴 등 금융 혼란 속에서도 경제에 아직 ‘빨간불’이 켜지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마켓워치는 분석했다.   실업수당 청구 건수 증가는 통상 경기침체가 임박할 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위험 신호 중 하나로 여겨진다.   다만 지난 1년간의 급격한 금리 인상 여파로 향후 실업자가 늘어나고 노동시장이 약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우훈식 기자신규실업수당 노동시장 신규실업수당 청구 노동시장 강세 노동시장 과열

2023.03.23. 23:02

실업청구↓ 고용↑ 식지 않는 노동시장

노동시장이 여전히 뜨겁다는 지표들이 쏟아지고 있다.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줄어든 반면 민간 부문 고용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증가세를 보였다.   연방 노동부는 지난주(12월 25∼31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전주보다 1만9000건 감소한 20만4000건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22만 건을 하회한 결과로 최근 14주 사이 최저치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169만 건으로 직전보다 2만4000건 감소했다.   또 민간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12월 기업들의 민간 고용이 23만5000개 증가했다고 이날 밝혔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5만3000개)를 크게 상회한 것은 물론 전월 증가 폭(18만2000개)도 훌쩍 뛰어넘었다.   지난달 대기업들은 코로나19 사태 직후인 2020년 4월 이후 최다인 15만1000개의 일자리를 줄였으나, 500인 이하 중소기업들이 고용을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를 옮기지 않은 민간 부문 노동자들의 급여는 전년 동월보다 7.3% 올랐고, 직장을 바꾼 민간 노동자들의 급여는 15.2% 급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에도 아직 노동시장이 식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잇단 발표들은 당분간 연준의 통화긴축 기조가 계속될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다.   임금이 계속 큰 폭으로 올라 인플레이션 장기화를 초래할 가능성을 연준이 가장 경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올해 경기침체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만간 금리인상을 중단하고 하반기에는 금리인하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여전히 강한 노동시장은 연준에 추가 금리인상 여지를 제공한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전날에도 기업들의 11월 구인건수가 1046만 건으로 시장 전망치(1000만 건)를 크게 상회하고, 실업자 1명당 구인건수 배율도 1.7로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1.2배)을 크게 웃돌았다는 발표가 나왔다.   노동시장 과열이 새해 경제의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노동부는 6일 지난달 일자리 증감 폭과 실업률 등 상세한 공식 고용지표를 내놓을 예정이다. 우훈식 기자실업청구 노동시장 노동시장 과열 민간 고용정보업체 공식 고용지표

2023.01.05. 21:43

썸네일

노동시장 과열 진정되나…8월 구인건수 10% 급감

노동시장 과열이 진정되기 시작했음을 시사하는 지표가 나옴에 따라 과도한 노동 수요가 인플레이션을 장기화할 것이라는 공포가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보인다.   노동부는 8월 기업들의 구인 건수가 전월보다 10% 급감한 1010만 건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6월 이후 최저치로,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1110만 건을 크게 하회했다.   특히 한 달 사이 110만 건의 감소폭은 팬데믹 사태 초기인 2020년 4월 이후 가장 큰 폭이다.   기업들은 연준의 금리인상과 불투명한 경기 전망 등을 고려해 채용 규모를 줄인 것으로 보인다.   전체 구인 건수는 여전히 역대급으로 높은 편이지만, 실업자 1명당 구인 건수 비율은 7월 2건에서 8월 1.7건으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11월 이후 최저치로 노동시장 불균형이 다소 완화됐다는 의미다.   이러한 수치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공격적인 금리인상에 나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희소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노동시장 구인건수 노동시장 과열 노동시장 불균형 인플레이션 억제

2022.10.04. 23: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