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카운티에서 매년 사망하는 노숙자 수가 지난 10년 사이 4배 이상 증가했다. OC노숙자사망조사위원회가 지난달 27일 사상 최초로 펴낸 노숙자 사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1년 한 해 동안 97건이던 노숙자 사망 건수는 2021년 395건으로 늘었다. 〈표 참조〉 보고서는 노숙자 사망의 가장 큰 원인으로 약물을 들었다. 위원회는 2021년 사망한 노숙자 중 36.5%에 해당하는 144명이 펜타닐 과용으로 목숨을 잃었다고 밝혔다. 이 해 기록된 사고사 235건 중 76%는 약물이 원인이며, 약물로 인한 사망 중 75% 이상이 펜타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노숙자 사망 원인 중 자연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2020년 들어 사고사 비율이 자연사를 넘어섰고 이 경향은 2021년까지 이어졌다. 위원회는 노숙자 사망 증가 추세가 OC는 물론 가주 전역에서도 관측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노숙인 사망자와 OC구치소 구금 사이의 상관 관계도 분석했다. 그 결과, 2021년 사망한 노숙자 395명 중 309명은 최근 5년 사이 최소 1회 구금된 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21년 사망한 노숙자의 인종 비율을 살펴 보면, 백인이 46%로 가장 높았다. 이어 라티노(37%), 흑인 및 알 수 없음(각 7%), 아시아계(3%) 순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85%로 여성(15%)을 압도했다. 노숙인 사망자의 평균 연령은 48.4세로 집계됐다. 남성은 평균 48.5세이며, 여성은 45.3세다. 위원회 설치를 주도한 돈 반스 OC셰리프국장은 “노숙자 사망 사례가 느는 것은 매우 걱정스러운 일이며, 가장 큰 문제는 펜타닐 관련 사망이 증가하는 것이다. 노숙자 사망 예방을 위해 위원회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1월 출범한 위원회는 카운티 기관, 경찰, 병원, 비영리단체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임상환 기자노숙자 사망 노숙자 사망 노숙인 사망자 사망자 건수
2023.03.01. 16:22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LA한인타운 범죄가 진정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6일 LA경찰국(LAPD) 범죄 통계를 토대로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달 22일까지 올림픽 경찰서 관할지에서 발생한 범죄는 총 9844건에 달했다. 하루 평균 28건꼴로 최근 5년 사이 최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올림픽 경찰서 관할지에서 일어난 범죄는 2018년(9841건) 이후 2019년(9196건)과 2020년(8609건)으로 많이 감소했지만 지난해(9567건)부터 다시 급격히 증가했다. LAPD 범죄 통계에서 올림픽 경찰서는 LAPD 전체 21개 경찰서 중 8번째로 범죄가 많은 곳이었다. 범죄 유형으로 봤을 땐 ‘차량 절도’가 1215건으로 압도적이었다. 매일 3대꼴로 도난이 일어난 셈으로 5년 사이 최대를 기록했다. 차량 절도는 2018년(711건), 2019년(628건), 2020년(783건)에 이어 2021년 1157건으로 148% 급증했고, 올해 1200건을 넘어서며 더 늘었다. 재택근무 및 거리주차 등으로 차량 절도가 늘었다고 분석됐던 2020년보다 55% 많았고, 팬데믹 전인 2019년보다는 93% 증가했다. 일부 전문가는 올해 들어 SNS상에서 유행한 일명 ‘기아 챌린지’로 타깃이 된 한국차의 도난 피해가 큰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특히 한인타운 내 올림픽 불러바드는 차량 절도가 취약한 곳 중 하나였다. 교차로를 제외한 경우 전체 차량 절도건 중 19건이 올림픽 불러바드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그 외에 8가(16건), 5가(15건), 6가(12건) 선상 순으로 피해가 컸다. 한인타운에서 ‘차량 절도’ 다음으로는 ▶단순 폭행·구타(955건) ▶침입 절도(burglary·697건) ▶살상 무기에 의한 가중폭행(677건) ▶차량 침입 절도(burglary from vehicle·566건) ▶ 배우자 등 친밀한 파트너(intimate partner) 폭행(562건) ▶ 반달리즘(피해 금액 400달러 이상 중범·548건) ▶950달러 이하 경절도(485건) ▶강도(422건) ▶위협(criminal threat·226건) ▶강간(42건)▶살인(13건) 등으로 집계됐다. 범죄 항목 중 ‘위협’은 전년도(162건)와 비교해 40%나 늘어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여기서 위협이란 신체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협박 등을 말한다. 그 외에 침입 절도와 신원 도용도 각각 32%와 25% 증가했으며 살상 무기에 의한 가중폭행은 22%, 강도는 14% 늘어나 다양한 범죄 항목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장소별로 봤을 때는 ‘식당 및 패스트푸드점’에서 발생한 범죄가 LA시에서 최다를 기록했다. LA시 전체 2735건 중 217건(8%)이 올림픽 경찰서 관할지에서 발생했다. 식당 및 패스트푸드점 범죄 중에는 침입 절도가 53건으로 가장 많아 한인 업주들의 속을 끓인 것 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마켓 범죄도 LA시에서 가장 많았다. LA시 전체 마켓에서 발생한 범죄 1524건 중 119건(8%)이 한인타운에서 발생했다. 〈본지 11월 19일자 A-1면〉 장수아 기자사설 노숙자 노숙자 사망 사망추정 시신 la경찰국 소속
2022.12.06. 2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