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빈곤이 노인 수명 9년 줄인다

  노인층 빈곤이 생존 기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저소득층 노인은 부유층보다 평균 9년 일찍 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표 참조〉     전국노인위원회(NCOA)와 매사추세츠대학교 리딩에이지 장기요양센터(LTSS)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60세 이상 저소득층 노인의 평균 사망 연령은 76세로 상위 소득층(85세)보다 무려 9년이나 짧았다.   조사 결과 소득 하위 20% 그룹의 중간소득은 1만9560달러에 불과했으며 사망률은 21%로 가장 높았다. 반면 상위 10%인 고소득층(중간소득 12만 달러)의 사망률은 11%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중간층(연 소득 약 6만 달러) 노인의 사망률은 15%로 이들 역시 부유층보다 3년 일찍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카 존스턴 NCOA 경제복지센터 국장은 “처음으로 건강과 재정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했다”며 “이 같은 격차는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저소득 노인층의 조기 사망 원인으로 ▶예방 의료 부족 ▶의료비 부담 ▶만성적인 재정 불안 등 복합적인 요인을 꼽았다.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노인 빈곤율이 2023년 14%에서 지난해 15%로 증가하며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은 것도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60세 이상 인구의 약 80%는 금융 자산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며 배우자 사망이나 의료비 증가 같은 재정적 충격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경제적 불안은 단지 노인 세대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노부모의 간병이나 약값을 부담해야 하는 자녀 세대 역시 장기적으로 경제적 손실을 볼 수 있다.     존스턴 국장은 “노인이 장기 요양이나 약값을 감당하지 못하면 결국 자녀 세대가 그 비용을 떠안게 된다”며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의 경제 생산성이 향후 10~20년간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미시간대학교의 ‘건강 및 은퇴 연구’에 참여한 1만 가구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이은영 기자빈곤 노인 노인층 빈곤 저소득층 노인 노인 빈곤율

2025.10.08. 19:1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