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우버, 결제 방식 따라 요금 달라진다?”…‘감시 가격 책정’ 논란 확산

우버 이용자들 사이에서 선불카드나 포인트 크레딧을 앱에 등록한 후, 평소보다 높은 요금이 책정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현지 매체 SFGate는 익명의 이용자 여러 명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들이 자주 이용하는 동일 경로에서 선불카드나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mEx) 크레딧을 적용한 직후 요금이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유명 여행 블로거 게리 레프(Gary Leff) 또한 AmEx 크레딧 사용 후 요금이 올라간 경험을 공유하면서, 해당 이슈는 레딧(Reddit)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뜨거운 논쟁거리로 떠올랐다.   이에 대해 우버 측은 KTLA에 “요금은 실시간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며, 결제 방식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공식 부인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과 소비자 단체는 이를 "감시 기반 가격 책정(Surveillance Pricing)"의 사례로 보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행동, 구매 습관, 결제 방식 등 디지털 활동 데이터를 분석해 가격을 조정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우버는 아직까지 관련 의혹에 대해 구체적인 해명은 내놓지 않았으며, 논란은 계속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AI 생성 기사결제 방식 논란 확산 결제 방식 직후 요금

2025.04.22. 13:50

썸네일

[영상] "김치 냄새 역겹다" 학교 통지에 논란 확산

 영상 김치 냄새 학교 통지 논란 확산 김치 냄새

2023.03.24. 15:16

썸네일

교육계 '챗GPT' 논란 확산…LAUSD, 부정행위 우려해 차단

가주 교육계에서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T’가 논란이 되고 있다.   챗GPT는 언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질문에 답하는 인공지능 텍스트 생성기로서, 이를 통해 학교 숙제, 논문 등을 하는 학생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KTLA는 가주 지역 학교들은 새로운 테크놀로지인 챗GPT가 부정행위 등에 사용되는 것을 두고 싸움을 벌이고 있다고 3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챗GPT는 소설 초안부터 에세이 작성까지 해주고 있다”며 “학교 과제 등도 쉽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챗GPT는 교육계까지 뒤흔들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가주 지역 학교들은 학생들의 챗GPT 사용을 앞다퉈 금지하고 있다.   일례로 LA통합교육구(LAUSD)의 경우 지난해 12월 “학문적 정직성을 보호해야 한다”며 교육구 내 모든 네트워크에서 챗GPT 접속을 차단했다.   챗GPT에 대한 관점은 교육 관계자마다 차이가 있다.   칼라바사스 지역 라스버진스통합교육구는 학생들이 연구, 쓰기 등에 필요한 사전 조사 활동에 챗GPT를 이용할 수 있게 허용하고 있다.   이 교육구의 댄 스테피노스키 교육감은 “우리는 오히려 챗GPT가 교육적 자원이 될 수 있고, 학생 및 교직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반면, UCLA 옥성득 교수(한국기독교학)는 “챗GPT로 한국사에 관해 물었더니 초등학생 수준이고, 기독교사에 대해서는 무지하다”며 “대화에는 강하나 ‘팩트 체크’에는 약했는데 학생들이 활용하려면 몇 년은 기다려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처럼 상반된 시각 속에서 챗GPT가 작성한 글을 식별하는 프로그램(챗GPT Zero)도 등장했고, KTLA는 특히 교사들이 많이 쓰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프로그램은 프린스턴대 학생인 에드워드 티안이 만들었다. 티안은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제에 대해 진실을 알고 싶어한다”며 “챗GPT가 만들어낸 것에 속고 싶어하는 교사가 있겠는가. 식별 프로그램은 디지털 시대 가운데 일종의 문지기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챗GPT에 대한 논란은 가주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산 중이다.   최근 매릴랜드주 볼티모어카운티교육구·프린스조지카운티교육구, 일리노이주 시카고교육구 등은 교육구 내 네트워크에서 챗GPT 사용을 차단 또는 차단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시교육구는 성명에서 “챗GPT는 학생이 학습하는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인공지능이 생성한 답변에도 정확성이 우려된다”며 “챗GPT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빠르고 쉽게 제공하지만,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학업을 성취하는 데는 여전히 해결돼야 할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부정행위 교육계 논란 확산 프린스조지카운티교육구 일리노이주 식별 프로그램

2023.02.03. 19:4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