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맘다니 “취임 전 트럼프와 통화, 군 투입 등 논의”

뉴욕·뉴저지 본선거가 치러진 후 일주일이 흘렀다.     맘다니, 시정 준비 본격화   차기 뉴욕시장으로 당선돼 내년 1월 1일부터 임기를 시작하는 조란 맘다니 뉴욕주하원의원은 본격적인 시정 준비에 나섰다. 10일 맘다니는 뉴욕시 제1부시장으로 딘 풀리한(Dean Fuleihan·사진) 전 부시장을, 수석 보좌관(Chief of Staff)으로 엘 비스고드-처치(Elle Bisgaard‑Church·사진) 선거 캠페인 운영진을 임명했다.     풀리한은 빌 드블라지오 전 뉴욕시장 재임 당시 제1부시장을 맡아 시 예산과 행정 운영을 총괄한 베테랑 재정·행정 전문가이며, 맘다니가 공약으로 내세운 대담한 정책들이 재정적으로 실행 가능하도록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스고드-처치는 맘다니 선거 캠페인의 정책·전략 담당자로 활동했으며, 시청 조직 운영 전반을 총괄할 예정이다.     트럼프 행정부 대응 논의   맘다니는 취임 전부터 연방정부와의 관계 설정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뉴욕시에 압박을 가할 가능성에 대비해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 등과 협의해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맘다니는 NBC 뉴욕과의 인터뷰에서 "취임 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 계획"이라며 "연방정부를 상대로 능동적인 접근 방식을 취해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 파견이나 주방위군 투입 등 압박 가능성에 대비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맘다니가 뉴욕시장에 당선될 경우 뉴욕시에 대한 연방 지원금을 삭감하겠다"고 하는 등 적대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맘다니 공약들, 호컬 주지사 입장은?   한편, 호컬 주지사는 맘다니가 제안한 뉴욕 시내 버스 무료 운행 정책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밝혔으나, 무상 보육 확대 계획에는 찬성 의사를 보였다. 맘다니는 뉴욕시 버스 일부 노선을 무료로 운행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했으며, 해당 정책 시행에 필요한 연간 비용을 약 8억 달러 정도로 추산했다. 그는 재원 마련 방안으로 법인세 인상 및 고소득자 대상 2% 추가 세금 부과 등을 제시했으나, 호컬 주지사는 "버스·전철 시스템은 요금을 통한 수입에도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당장 무료 운행을 추진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반면 호컬 주지사는 "보육 지원 확대는 이미 나도 약속한 부분"이라며 무상 보육 확대에는 찬성 입장을 밝혔다. 맘다니는 생후 6주부터 5세까지 아동을 위한 고품질 무상 보육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공약했다. 호컬 주지사는 "주 전체에서 이 제도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약 150억 달러의 예산이 필요하다"며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맘다니가 각종 공약을 실현하려면 주정부 지원과 재정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호컬 주지사의 입장은 정책 실행 가능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신호다.     젊은층 강력한 지지로 당선   맘다니는 이번 선거에서 특히 젊은층의 높은 지지율을 기반으로 당선됐다. 뉴욕타임스(NYT) 분석에 따르면, 중간 연령이 45세 미만인 지역에서 맘다니의 평균 승리 폭은 30%포인트였다. 18~29세 유권자들과 세입자들이 많은 지역에서 특히 강세를 보였으며, 젊은 유권자들은 "렌트 안정 아파트에 대한 렌트 동결 계획"을 투표의 중요한 이유로 꼽았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는 뉴욕시 정치 지형 변화를 보여주는 신호"라며 "앞으로의 정책 추진 과정에서도 젊은층과 진보적인 유권자를 중심으로 한 정치 연합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예산 압박에 직면한 셰릴   한편 뉴저지주 차기 주지사로 당선된 미키 셰릴 연방하원의원은 현실적인 예산 압박에 직면해 있다. 현재 뉴저지주는 세금 수입보다 지출이 약 20억 달러 정도 더 많은 재정 적자 상태에 놓여 있다. 여기에 연방정부의 재정 지원이 줄어들면서, 메디케이드 관련 손실이 약 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주정부는 단순히 예산 균형을 맞추는 수준을 넘어, 추가 재원 확보와 지출 조정이라는 복잡한 재정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 셰릴은 선거에서 ▶생활비 부담 완화 ▶전기요금 동결 ▶주택비용 완화 등을 공약했지만, 실제 실행을 위해서는 세금 인상이나 서비스 삭감 등 조치를 취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2월 예산안 제시와 6월 입법부 조율 과정에서 공약과 현실 간 괴리가 드러날 것"이라며 "세금을 올리거나 서비스 지출을 줄이면 유권자들의 반발을 살 수 있다"고 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트럼프 논의 트럼프 행정부 트럼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2025.11.11. 16:07

썸네일

존 이 의원 태권도의 날 논의

 태권도 논의 의원 태권도

2022.05.03. 19:1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