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지역의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을 돕는 쉼터들이 심각한 재정난에 처했다. 온타리오주 퍼스에 위치한 '라나크 카운티 인터벌 하우스'의 피해 여성 지원 프로그램이 몇 달 내로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해당 프로그램은 법적 절차 지원부터 보호소 연계까지 필수적인 역할을 해왔으나, 지속적인 자금 부족으로 운영이 불안정한 상황이다. 도시보다 높은 농촌 지역의 가정폭력 발생에도 불구하고, 관련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 2024년 통계청 보고서에 따르면, 온타리오 농촌 지역의 경찰 신고된 가정폭력 건수는 도시보다 50% 이상 높았다. 하지만 교통 문제, 법률 서비스 부족, 사회적 고립 등으로 인해 피해 여성들의 탈출이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특히 대중교통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쉼터까지 이동하는 것조차 어려운 일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일관된 재정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한다. 팬데믹 당시 연방정부의 긴급 지원금 덕분에 쉼터 운영이 원활했지만, 현재 대부분의 재정 지원이 종료된 상태다. 쉼터 운영자들은 지속적인 정부 지원 없이는 서비스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또한, 농촌 지역 특성상 쉼터 간 거리가 멀어 이동 비용 부담이 큰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한편, 정부는 농촌 지역 생존자들을 위해 연간 3.6백만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쉼터 관계자들은 "단순한 일회성 지원이 아닌, 장기적인 재정 확보가 필요하다"며 정부의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피해 여성들에게 필수적인 법률 지원과 심리 상담 서비스 확대가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보호시설 농촌 농촌 지역 여성 지원 온타리오 농촌
2025.01.22. 13:26
비도시 지역에서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 남용 문제를 겪은 이들의 53.7%가 지난 6개월간 노숙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조지아주립대(GSU) 공공보건대 연구진은 13일 농촌 노숙인과 마약 연관성 조사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대도시 전유물로 여겨졌던 마약 및 노숙 문제가 농촌 지역으로 확산됐다는 문제의식 하에 전국 10개주 농촌 지역 8곳의 약물 중독 경험자 3000명을 조사해 실시됐다. 연구 책임자 에이프릴 발라드 교수는 "농촌 거주자가 오피오이드 남용 문제를 겪으면 이는 경제적 어려움과 주거불안정으로 이어져 약물 중독을 더욱 심화시키는 악순환을 낳게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약물 중독자들이 노상에서 바늘을 재사용하거나 타인과 공유하며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이즈) 등 감염병 위험을 키우는 대도시의 경향도 농촌에서 지난 20년간 동일하게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연방 주택도시개발부(HUD)의 노숙인 집계조사(PIT)상 잡히지 않는 농촌 노숙인이 많음을 시사한다. 발라드 교수는 "농촌 노숙인 문제는 인식과 자원의 부족으로 대도시보다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자체 조사결과 농촌 지역 노숙인이 HUD 발표보다 5~100배 더 많음을 알 수 있었다"고 전했다. 농촌의 경우 대도시와 달리 노숙인 거주지가 넓은 지역에 분산돼 있어 지원 분배가 더 어렵다는 게 연구진의 지적이다. HUD는 지난해 조지아주 노숙인구가 1만 2290명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애틀랜타 시에만 243곳 지역에 2867명의 노숙인이 퍼져 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농촌 약물 약물 중독자들 농촌 노숙인과 지역 노숙인
2025.01.14. 1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