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강화된 이민 단속으로 인해 뉴욕시 이민자들이 병원 방문과 공공서비스 이용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6일 열린 뉴욕시의회 공청회에서 이민 단체들은 “이민자들이 이민 단속에 대한 두려움으로 병원 예약을 취소하고, 가정폭력 신고를 하지 않으며 푸드스탬프 등 공적 혜택을 받지 않고 지내고 있다”며 “강화된 이민 단속이 이민자들의 일상 생활을 망가뜨리고 있으며, 필수적인 서비스를 기피하도록 만들어 정신건강 위기를 고조시키는 상황”이라고 증언했다. 민권센터 김갑송 국장은 “민권센터에서 푸드스탬프 및 건강보험 신청 등을 지원하는데, 트럼프 취임 이후 한동안 신청자가 크게 줄었다”며 “특히 뉴욕시에서 불법체류자도 가입 가능한 의료 서비스 신청의 경우, 신분 정보를 밝혀야 해 단속 우려 때문에 신청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뉴욕가정상담소 이지혜 소장은 “가정폭력 피해자들은 신분 때문에 가해자들에게 위협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단속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경찰 신고조차 못하는 상황”이라며 “신고했다가 이민 단속 대상이 돼 자녀와 떨어지고 추방될까 봐 두려운 것”이라고 전했다. 가정폭력방지법(VAWA·Vilolence Against Women Act)에 따른 권리 보호는 꿈도 못 꾸는 실정이다. VAWA는 1994년 제정된 연방법으로, 가정폭력 피해자는 이민 신분에 관계 없이, 또 가해자의 협조 없이 독립적으로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민 단속에 대한 공포가 고조된 상황 속 이 소장은 “VAWA에 따른 영주권 신청 과정 중 법원에 출석할 일이 많은데, 요즘 법원에서도 단속이 강화됐고 신청했다가 만에 하나 거절이 될 경우 이민 당국에서 신청 정보를 바탕으로 단속에 나설까봐 시도조차 안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예전에는 실질적인 도움을 받아 폭력에서 벗어나려는 분들이 연락을 주셨다면, 이제는 단속 공포 때문에 실질적 조치는 포기한 채 신세한탄만 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이라며 “저희도 보장할 수 있는 게 없으니 답답하고 안타깝기만 하다”라고 전했다. 또한 학교 개학 이후 신분이 불안정한 한인 학부모들도 자녀 학교 생활에 대한 걱정을 호소하고 있다. 이 소장은 “어디 물어볼 곳이 없으니 가정상담소에 연락해 ‘아이 학교 보내기 무섭다’며 상황을 문의하시는 분들도 많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 속에 일부 뉴욕시의원들은 “시정부 차원에서의 대책과 조치가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지혜 기자공공서비스 이민 이민 단속 공공서비스 이용 뉴욕시 이민자들
2025.09.17. 19:54
최근 몇 달간 뉴욕시에서도 이민자 체포 건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14일 지역매체 더 시티(The City)가 정보공개법(FOIA)으로 이민 데이터를 한 데 모은 ‘추방데이터프로젝트’ 자료를 분석해 보도한 데 따르면, 올해 들어 뉴욕시에서 이민세관단속국(ICE)에 의해 체포된 인원은 총 2009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누적 체포자 수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긴 하지만, ICE는 특히 5월부터 뉴욕시 이민자들을 급격히 잡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ICE의 뉴욕시 이민자 체포 건수는 409건으로, 작년 5월 281건 대비 46% 급증했다. 또한 6월 들어 첫 열흘 간 뉴욕시에서 ICE 요원들은 495명을 체포했는데, 이는 지난해 6월 한 달 간 체포된 총 인원(247명)의 두 배 이상이다. 또한 지난해 6월 첫 열흘 간 ICE에 체포된 이들 수(73명)와 비교하면 거의 7배에 달하는 수치다. 문제는 ICE가 중범죄, 폭력·살인 등의 전과가 없는 이민자들도 잡아들이고 있다는 부분이다. 올해 뉴욕시에서 체포된 이민자들 중 992명, 약 49%는 ‘이민법 위반’으로 ICE에 체포됐다. 더 시티는 “최근 ICE 요원들이 이민법원에 잠복하고 있다가 출석한 이들을 마구잡이로 잡아들인 것이 데이터로도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방 기록에는 ICE 체포 장소가 명시돼 있지는 않지만, 이민 변호사와 옹호단체들은 매일 수십건씩 이민법원 체포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한다. 뉴욕시에서는 타주와 달리 ICE의 직장 급습 단속은 드물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뉴욕시에서 직장 급습으로 체포된 사례는 단 5건에 불과했다. 중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이 없는 불체자들도 마구 잡아들이면서 체포 건수는 늘었지만 추방은 적었다. 뉴욕시에서 4월 이후 체포 건수는 늘었지만 추방은 줄면서 구금 상태 이민자가 증가했다. 한편 데이터에 따르면 뉴욕시에서 ICE에 의해 현재 체포 상태에 있는 이들은 에콰도르 출신이 420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체의 20.9%를 차지했다. 이외에 엘살바도르(201명), 베네수엘라(169명) 등이 뒤를 이었다. 뉴욕시에서 체포된 중국인은 103명(5.1%) 이었으며, 현재 체포된 한인은 없는 것으로 기록돼 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이민자 체포 뉴욕시 이민자들 이민자 체포 ice 뉴욕시
2025.07.14. 20:38
뉴욕시민 10명 중 4명은 이민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4일 뉴욕시장실 산하 이민서비스국(MOIA)이 내놓은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뉴욕시 해외 출생 이민자 인구는 300만여명으로 전체의 38%를 차지했다. 이는 전국 인구 중 이민자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 27%를 넘어서는 수치다. 이 38% 중 22.4%는 미국 시민권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15.4%는 비시민권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 이민자들의 출신 국가를 보면 도미니카공화국이 12.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두 번째는 중국으로, 전체 이민자의 11.1%를 차지했다. 이외에 자메이카(5.3%), 멕시코(4.7%), 에콰도르(4.4%) 등의 순으로 이민자 규모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이들 중 71%가 18~64세 사이 노동 인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이민자 비율은 23.5%, 17세 이하 이민자는 5.1%를 차지했다.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이 이민자인 뉴욕시에서, 언어장벽은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뉴요커 22%가 영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이민자 중 44.4%는 스페인어를, 13.7%는 중국어를, 7.3%는 러시아를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뉴욕시 이민자 대부분은 미국에 장기간 거주한 것으로 파악됐다. 89%가 5년 이상 미국에 거주했으며, 20년 이상 거주한 비율이 55% ▶10~19년이 21% ▶5~9년이 12%를 기록했다. 소득별로 보면, 뉴욕시 이민자의 중간 소득은 비이민자의 중간 소득보다 약 2만 달러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2023년 기준 이민자의 중간 소득은 4만2820달러로, 미국 출생 뉴욕시 거주자의 중간 소득 6만1171달러보다 30%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민자들의 거주 여건은 더 암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센서스국은 방당 1명 넘는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을 ‘과밀 주택(overcrowded)’으로, 1.5명 넘는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을 ‘매우 과밀된 주택(extremely overcrowded)’으로 규정한다. 이 규정에 따르면, 뉴욕시 이민자 가정의 10%가 ‘과밀 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출생 뉴욕시 거주자의 경우 그 비율이 6%에 불과했다. 건강보험 관련 불균형도 존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 이민자의 9%가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이는 미국 출생 뉴욕시 거주자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이민자 뉴욕시민 뉴욕시 이민자들 이민자 인구 이민자 규모
2025.04.07. 20:12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뉴욕시 이민자 인구는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뉴욕시장실 산하 이민서비스국(MOIA)이 내놓은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현재 뉴욕시 이민자 인구는 307만9776명으로 2020년(301만3379명) 대비 2.2%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팬데믹 시작 전이었던 2019년 뉴욕시 이민자 인구(303만397명) 규모도 넘어서는 수준이다. 뉴욕시 이민자들의 출신 국가를 보면 도미니카공화국(42만명)이 13.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도미니카공화국 출신 이민자는 팬데믹 이전과 비교했을 때 5%나 늘어났다. 두 번째로 많은 이민자 출신국가는 중국으로, 2021년 현재 32만4000명 규모다. 다만 중국 이민자 규모는 2019년(35만3000명)과 비교하면 8% 줄었다. 팬데믹으로 중국 당국이 출국 제한 방침을 내린 탓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외에 자메이카(16만3000명, -4%), 멕시코(15만5000명, +1%), 가이아나(12만6000명, +22%) 등의 순으로 이민자 규모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 이민자는 계속 늘고 있는 가운데, 언어장벽은 이민자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뉴욕시 5개 보로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200개 이상으로, 이민자 중 75%는 가정에서 영어 외 다른 언어를 쓰는 것으로 분석됐다. 뉴욕주 한인(혼혈포함) 중 67.9%도 집에서는 한국어를 쓰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이민서비스국은 언어교육지원에 힘을 쏟고 있는데, 특히 건강보험의 경우 한국어를 포함한 12개 언어로 서비스 설명을 제공 중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민자 수가 늘면서 이민서비스국에서는 이민자 권리 워크숍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다만 관련 워크숍은 주로 영어(160개)나 스페인어(78개)로 열렸고, 한국어 워크숍은 23개에 불과했다. 언어적 장벽에도 플러싱·머레이힐 등 한인밀집지역 우편번호(11354) 거주자들의 워크숍 참여율은 상위권으로 집계됐다. 한편 최근 뉴욕시에는 남부 국경을 통해 넘어온 망명신청자들이 급증해 앞으로도 이민자 수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파악된다. 앤 윌리엄스-아이솜 보건복지 부시장은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이지만, 이민서비스국은 통역 서비스 등 핵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이민자 뉴욕 뉴욕시 이민자들 이민자 출신국가 이민자 규모
2023.09.22. 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