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뉴욕·뉴저지 인구 유출로 주민소득 급감

뉴욕과 뉴저지주 거주자들이 타주로 이동하면서 주민 소득이 급감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주정부의 세수도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12일 경제정책 단체 ‘언리시프로스페리티’(Unleash Prosperity)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뉴욕주 주민 소득은 5175억 달러 감소했다. 같은 기간 동안 뉴저지주에선 주민 소득이 1701억 달러 줄었다. 이 단체는 센서스국과 국세청(IRS) 데이터를 활용해 이같은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지난 10년간 뉴욕주에서는 약 200만명이 타주로 이사했고, 뉴저지주에서는 50만명의 주민이 다른 주로 이주했다. 이처럼 인구수가 줄면서 자연스럽게 벌어들이는 소득도 줄게 됐다는 것이 보고서 내용이다.     스티브 무어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10년간 뉴욕주와 뉴저지주의 소득 손실은 미국 역사상 한 지역에서 발생한 가장 큰 부의 손실”이라며 “낮은 세율을 부과하는 남부 지역으로 인구가 유출되면서 뉴욕 일원은 큰 타격을 입고 있다”고 말했다.     뉴욕 일원 외에 해당 기간에 주민 소득이 가장 많이 감소한 다른 주는 캘리포니아주로 3701억 달러를 잃었고, 일리노이주의 경우 3152억 달러 소득이 감소했다.     같은 기간 주민 소득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들은 세율이 낮은 남부 지역들이다. 플로리다주는 해당 기간 1조 달러가 조금 넘는 소득 증가세를 보여 1위를 기록했다. 텍사스주 소득은 2900억 달러 늘었다.     뉴욕포스트는 뉴욕과 뉴저지주의 높은 세율만이 인구 유출을 유발한 요인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대도시를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났다는 점, 높은 범죄율, 하락한 삶의 질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또 이와 같은 인구 유출은 고소득 계층에만 국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인구 유출이 계속된다면 뉴욕 일원에 배정된 연방하원 수도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무어 이코노미스트는 “뉴욕 일원에서 부유층에 대한 세율을 더 올릴 경우 이와 같은 인구 유출 속도를 더 가속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김은별 기자[email protected]주민소득 뉴저지 주민소득 급감 인구 유출 뉴욕주 주민

2025.11.12. 20:43

뉴욕주 주민 56%, 학자금 대출 탕감 지지

뉴욕주 주민의 절반 이상이 조 바이든 대통령의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시에나칼리지가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의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을 지지하느냐’는 질문에 뉴욕주민의 절반 이상(56%)이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반대는 33%, 잘 모르겠다고 대답하거나 답변을 거부한 경우는 11%였다.     학자금 대출 탕감에 대한 의견은 연령·지지정당·인종에 따라 급격한 차이를 보였다. 빚 부담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35~49세 그룹에선 67%가 지지 의사를 밝혔고, 18~34세는 60%, 50~64세는 50%만 학자금 대출 탕감계획을 지지했다.     정당별로는 민주당 성향의 뉴욕주민 82%가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을 지지한다고 밝혀 압도적인 지지율을 보였다. 공화당 성향 뉴욕주민 중 학자금 대출 탕감을 긍정 평가한 경우는 26%에 그쳤다. 유색인종 커뮤니티의 지지율도 높았다. 흑인 77%, 히스패닉은 56%가 지지한 반면, 백인 그룹에선 절반 수준(51%)만 대출 탕감에 동의했다.   한인들 역시 상황에 따라 의견이 제각각이다. 1만 달러 가량 빚이 줄어 한결 부담을 덜게 됐다는 의견도 있지만, 힘들여 빚을 갚은 사람들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불만도 나온다. 한 한인 학부모는 “빚 없이 아들을 졸업시키고 싶어 생활비를 아끼며 학비를 냈는데 억울하다”며 “중간선거를 앞두고 세금으로 빚을 갚아주는 것 같아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출 탕감 정책이 오히려 인플레이션만 더 부추길 것이란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일시적으로 대출자들을 돕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탕감 선례 때문에 대학교들이 쉽게 등록금을 올려 물가도 더 오르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시에나칼리지 조사에서도 공화당의 68%가 “대출 탕감은 물가상승을 부추기고, 한 번도 학자금 빚을 지지 않았던 사람들에게 역차별”이라고 답했다. 한편 학자금 대출을 없애주는 것보다는, 다른 채무처럼 법원에서 파산신청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지난달 24일 보수 싱크탱크 아메리칸컴패스는 “법원서 해결하는 방식이 학자금 대출자들을 돕는 방안”이라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뉴욕주 학자금 학자금 대출자들 대출 탕감 뉴욕주 주민

2022.09.07. 19: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