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지수가 애플 호실적에 힘입어 일제히 급등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800포인트 이상 오르면서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8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828.52포인트(2.59%) 오른 3만2861.80로 거래를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93.76포인트(2.46%) 오른 3901.0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09.78포인트(2.87%) 상승한 1만1102.45로 장을 마감했다. 전날 호실적을 발표한 애플과 인텔 주가가 급등하면서 주요 지수는 장 초반부터 랠리를 이어갔다. 애플은 올해 3분기 901억5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역대 3분기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로는 8.1% 급증한 규모다. 인텔은 3분기 153억4000만 달러 매출액을 올리며 시장 추정치(152억5000만 달러)를 웃돌았다. 이날 애플과 인텔 주가는 각각 7.56%, 10.66% 폭등했다. 한편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웠다. 노동부가 발표한 3분기 고용비용지수(ECI)는 1.2% 상승해 임금발 물가상승이 계속될 것이란 전망에 힘을 실었다. 지난달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6.2% 상승했다. 통상 물가 우려가 커지면 연방준비제도(Fed)가 고강도 긴축을 이어갈 것으로 해석되면서 주가가 하락하지만, 이날은 기업들의 호실적이 주가를 끌어올렸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애플 뉴욕증시 뉴욕증시 급등 전날 호실적 임금발 물가상승
2022.10.28. 21:23
뉴욕증시가 국채금리 하락세 지속 덕분에 급등하며 3만 선을 회복했다. 4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825.43포인트(2.80%) 오른 30,316.32로 거래를 마쳐 지난달 22일 이후 12일만에 3만 선대로 복귀했다. 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12.50포인트(3.06%) 상승한 3,790.93으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60.97포인트(3.34%) 뛴 11,176.41로 장을 마감했다. 특히 S&P500지수는 이틀간 5.7% 올랐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오는 11월 회의에서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전날 나온 제조업 지표 등에서 경기 둔화세가 뚜렷하게 감지되면서 연준의 고강도 긴축이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상승장 분위기를 이끈 것으로 전해졌다. 국채금리는 이날 장중 최저 3.56%까지 하락했다.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대한 우려로 지난주 4%까지 올랐던 데서 크게 하락한 것이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최저 3.99%까지 하락했다. 이는 2주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뉴욕증시 하락세 국채금리 하락세 뉴욕증시 급등 3만선 회복
2022.10.04. 2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