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한인최초 연방상원의원 탄생 앞당기나

앤디 김(민주·뉴저지 3선거구·사진) 연방하원의원의 한인 최초 연방상원의원 도전이 빠르게 열매를 맺을 청신호가 켜졌다.    필 머피 뉴저지주지사가 로버트 메넨데즈(민주·뉴저지) 현 연방상원의원 사퇴에 따라 임시승계자를 지정할 방침이라고 16일 밝힌 데 대해 김 의원이 이를 당장 수락할 준비가 됐다고 화답했다.   다만 머피 주지사는 지난 3월 뉴저지 연방상원의원 민주당 예비선거 후보에서 자진 사퇴한 태미 머피 전 후보의 남편으로, 김 의원을 지목하는 데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머피 주지사가 김 의원에 대해 불편한 심경을 아직 갖고 있다는 주장이다.   김 의원은 이에 "나는 이미 봉사할 준비가 됐다"며 "정부가 내게 자리를 채워달라 말한다면 당당히 응하겠다. 업무의 연속성 측면에서도 뉴저지에서 일하며 연방상원의원 선거 준비를 하던 내가 적임자며, 어젠다들을 잘 이끌어갈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16건의 뇌물 수수 혐의로 유죄 평결을 받은 메넨데즈는 앞서 무소속 후보로 11월 본선거에 참여하겠다고 밝힌 입장을 철회했다.   그는 척 슈머 민주당 원내대표의 사퇴 요구가 이어지는 등 같은 당 내에서도 전방위적 압박을 받았다.   김 의원이 메넨데즈 사퇴에 따라 임시승계할 경우, 한인 최초 연방상원의원이 반년가량 앞당겨 탄생하는 것은 물론 그의 본선거 경쟁력은 더 강화될 전망이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연방상원의원 한인최초 한인최초 연방상원의원 뉴저지 연방상원의원 연방상원의원 사퇴

2024.07.17. 20:21

썸네일

앤디 김, 뉴저지주 연방상원 민주당 후보 토론회서 집중 공격당해

앤디 김(민주·뉴저지 3선거구·사진) 연방하원의원이 뉴저지주 연방상원의원 민주당 후보 토론회서 집중공격을 받았다. ▶불법 이민자 관련 입장 표명의 불분명성 ▶태미 머피 후보 사퇴로 인한 반사이익 ▶친팔레스타인 시위대 관련 입장 표명의 모호함 탓이다.   13일 뉴저지주 사우스오렌지 'SOPAC'에서 진행된 토론회에는 김 의원 외에도 ▶로랜드 햄 ▶파트리샤 캄포스메디나 후보가 참여한 가운데 김 의원이 다른 두 후보에게 비판의 대상이 됐다.   햄 후보는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반발하는 프린스턴대학 학생들과 단식 투쟁에 동참하겠다 밝혔고, 캄포스메디나 후보는 그 자신이 엘살바도르 이민자임을 강조하며, 이민 문제에 무관심해보인다는 이유로 김 의원을 비판했다.   임기동안 이민 개혁과 관련해 어떠한 일을 했냐는 이어진 공격에 김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임 기간이었고, 이 기간 이민 관련 문제를 실제 해결하지 않으려는 공화당 의원들과 대화하며 좌절했다고 답했다. 또한, 이 기간 이민 관련 문제는 퇴보했으며, 잔인한 것이라고 표현했다.   나아가 이민 관련 정책 요구에 김 의원은 더 많은 이민 법원 판사 고용 및 30~60일 이내로 끝나는 이민 관련 사건 처리 프로세스 마련 등을 내세웠다.   햄 후보는 "이민 개혁은 기본권에 기반한 것이어야 한다"며 "현재진행형인 국경 및 가족 분리를 방지해야 한다"고 했고, 캄포스메디나 후보는 "이민자들은 미국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며 "이들의 가족 해체를 막아 가족이 함께할 수 있도록 이민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이-팔 전쟁과 관련해선 햄 후보와 캄포스메디나 후보가 즉각적인 휴전 요구 등 강경책을 내세운 것과 달리, 김 의원은 이스라엘의 방어 전략을 지원하는 것은 동의한다는 선에 머물렀다. 공격이 최선의 방어가 될 수 없다는 입장도 더했다.   '메디케어 포 올' 의제와 관련해선, 다른 두 후보가 지지 의사를 밝힌 것과 달리 김 의원은 지지하지 않았다. 이는 앞서 메디케어 포 올에 찬성하던 태미 머피 후보가 사퇴 전이던 지난 2월, 김 의원과 뉴저지글로브 주최 토론회를 통해 대립각을 세웠던 것과 같은 모양새다. 당시에도 김 의원은 반대 의사를 표했다.   세 후보는 이외 ▶필리버스터 종식 ▶대법원 확장 ▶노예 후손 보상 촉구 ▶낙태권 확립 ▶지방세(SALT) 소득공제 1만 달러 상한선 폐지 등에는 뜻을 같이 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연방상원의원 뉴저지 뉴저지 연방상원의원

2024.05.14. 21:1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