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저지주 뉴왁의 라스 바라카 시장이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을 방문하려다 체포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약 5시간 후 연방법원 명령에 따라 구금에서 풀려나긴 했지만, 반이민 정책과 구금 시설에 반대하던 시장까지 연방정부가 체포하고 나선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면서 불안감은 계속 커지고 있다. 11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바라카 시장은 지난 9일 ‘델라니 홀’이라는 이름의 ICE 구금 시설에 불법 침입하고, 퇴거 경고를 무시했다는 혐의를 적용받아 체포됐다가 당일 오후 8시경 석방됐다. 구금에서 풀려난 바라카 시장은 시위를 벌이던 지지자들에게 “나는 아무런 잘못이 없다”고 말했다. 바라카 시장은 “우리 모두는 어떤 배경에서 왔는지, 어떤 국적인지,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며 “사람들이 우리 사이에 분열을 일으키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바라카 시장은 불법체류자 단속 문제를 놓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계속 충돌해 왔다. 그는 1000명가량을 수용 가능한 구금 센터 건설과 개소에 강력히 반대했으며, 뉴저지에 대규모 구금 시설이 허용돼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바라카 시장을 비롯한 뉴저지 정치인들은 연방정부가 고용한 민간 교도소 회사 GEO그룹이 적절한 라이선스 없이 구금 시설을 뉴왁에서 운영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후 바라카 시장은 본인이 시장 자격으로 정기적으로 구금 시설을 검사할 수 있다며 계속해서 방문했다. 시장이 해당 구금 시설을 방문할 때마다 이민 당국은 시장이 규정을 위반했다며 티켓을 발부했고, 급기야 지난 9일에는 이 과정에서 물리적 충돌이 발생한 것이다. 국토안보부(DHS)는 바라카 시장 체포와 관련, 별도 기자회견을 열고 “바라카 시장이 구금 시설 밖에서 이민당국 요원들과 충돌을 벌였다”며 “이 충돌 과정에서 폭행이 발생했고, 폭행에 가담한 뉴저지 연방하원의원 3명 역시 폭행 혐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뉴왁 시장 체포, 구금 사태에 반발한 이들은 뉴욕시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반이민 정책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맨해튼 폴리 스퀘어에 몰린 시위대는 “반이민 정책에 반대한다면 시장까지도 체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셈”이라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구금시설 뉴저지 시장 체포 뉴저지 연방하원의원 뉴저지 정치인들
2025.05.11. 16:56
앤디 김 뉴저지 연방하원 의원이 13일 선거 기금 모금차 LA를 찾았다. 김 의원은 대통령 선거와 자신의 연방 상원의원 선거의 현황과 관련 의견을 밝히는 한편 지지 한인들로부터 한인사회 주요 현안과 관심사항들을 경청했다. 김 의원은 쉽지 않은 싸움임을 강조하고 한인사회의 지속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대선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동부 지역의 아시안 커뮤니티와 소수계 커뮤니티는 아시안이자 소수계 출신 여성 리더의 백악관 도전에 매우 기뻐하며 흥분하고 있다.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당파적인 주장과 슬로건이 있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민생을 챙기는 리더다. 그 리더는 해리스다.” -비리 혐의로 재판을 받으며 상원의원직을 사퇴한 메넨데스의 아들(연방하원 후보)과 캠페인을 함께 한다고 알려졌다. “메넨데스 전 의원의 아들 로브 메넨데스는 예선에서도 효과적으로 선거를 치렀으며 존경받는 지도자가 됐다. 가족과 관련된 내용에는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인 정치활동에 대한 철학을 공유하고 있다. 그를 공식 지지했으며 종종 함께 캠페인 활동을 하고 있다.”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가 아직 김 의원에 대한 지지 선언을 하지 않고 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유권자들의 마음이다. 나는 머피 주지사를 포함해 그 어떤 정치인들에게도 지지 선언을 부탁한 적이 없다. 머피 주지사의 결정은 그의 몫이다. 나에게 중요한 것은 하루하루 가가호호 유권자들을 만나서 나의 생각을 나누는 것이라고 본다.” -안타깝게도 뉴저지에서도 LA의 양용 경찰 총격 사건과 같은 빅토리아 이 사건이 있었다. “매우 충격적이고 안타까운 사건이다. 사건 후 이씨 부모님을 만나서 대화했다. 구급차를 불렀는데 오지 않고 경찰이 들이닥쳐 총격이 벌어졌다고 슬퍼했다. 지역 경찰과 수사 기관이 사건의 진상을 수사하고 있으니 주의 깊게 지켜볼 것이다.” -의회에서 관련 내용에 할 수 있는 것은 없나. “의회가 나서야 한다고 믿는다. 특히 시스템적으로 문제가 없었는지 더 논의되어야 한다. 여기에 이민자들에게는 언어와 문화적 장벽도 사태 발단이 됐다. 이런 장벽을 없애는 것은 우리 모두가 함께 해결할 문제다. 필요하다면 관련된 도움을 제공하고 싶다. 알려달라.” 최인성 기자최인성 인터뷰 인터뷰 앤디 뉴저지 연방하원의원 아시안 커뮤니티
2024.09.15. 18:51
뉴욕·뉴저지 정치인들이 뉴욕시 맨해튼 남쪽 어퍼베이(Upper Bay) 인근 지역의 주택가에 소음 공해(noise pollution)를 일으키는 헬기를 규제하기 위해 나섰다. 빌 파스크렐(민주·뉴저지 9선거구) 의원 등 뉴욕·뉴저지 연방하원의원 8명은 최근 연방항공청(FAA)에 “뉴욕시 브루클린 서쪽·로어 맨해튼·저지시티 등 북부 뉴저지 주택가 상공을 오가는 헬기로 인해 주민들이 큰 피해를 받고 있다”며 헬기의 항로와 고도를 규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파스크렐 의원 등이 나선 것은 현재 ▶엘리스 아일랜드 ▶자유의 여신상 ▶거버너스 아일랜드 등 세 곳 가까이는 헬기가 다니지 못하게 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헬기들이 이 지역을 피하기 위해 허드슨강을 따라 브루클린 서쪽과 저지시티 등 인근 지역을 낮게 날아다니면서 큰 소음 피해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팬데믹이 끝나고 경제활동이 많아지고 관광객이 늘면서 ▶개인 헬기 ▶전세(차터) 헬기 ▶관광 헬기는 물론 미 동남부 지역과 북동부 지역 군 기지를 오가는 군용 헬기까지 허드슨강을 따라 낮게 날아 다니는 경우가 많아 피해가 점점 심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뉴저지주에서는 클리프턴 타운 주민을 중심으로 헬기 소음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헬기 금지(Stop the Chop)’라는 이름의 비영리단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한편 연방항공청은 연방하원의원들과의 협의를 거쳐 현재 엘리스아일랜드 등에 적용되는 헬기 비행 규제를 이르면 내년부터 인근 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박종원 기자소음공해 뉴저지 뉴저지 헬기 뉴저지 연방하원의원 헬기 소음
2023.04.24. 20:08
연방하원의원 잉글우드 뉴저지 연방하원의원 사무실 오픈
2023.02.21. 17:54
연방하원의원 슈나이더 뉴저지 연방하원의원 슈나이더 후보
2022.02.21.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