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의 가주 한인들은 투표와 선거 관련 자료가 다국어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UC 버클리 정부연구소(IGS)가 연방정부의 투표권 보장(연방법 203조) 50주년을 맞아 23일 발표한 ‘선거와 투표의 언어 접근성 선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인 응답자들은 ‘영어 능력이 제한된 커뮤니티들에 번역본을 제공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약 85%가 ‘그렇다’고 답했다. 해당 질문에 중국계는 81%, 베트남계는 83%, 필리핀계는 75%가 같은 대답을 했다. 아태계의 이와 같은 답변에 비해 백인은 66%, 라틴계는 74%, 흑인계는 71%가 ‘그렇다’고 답해 해당 정책을 두고 인종별로 다소 온도 차이를 보였다. 소속 정당에 따라 의견도 소폭 달랐다. 민주당원 응답자는 82%, 공화당원은 45%만이 선거 관련 자료가 다국어로 제공돼야 한다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는 70%가 ‘그렇다’고 답해 참정권에서의 언어 접근성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대세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줬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운티 지원 대상 자격을 가진 모든 소수계에 번역된 선거 자료를 제시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한인들 82%가 다시 한 번 ‘해야 한다’고 답해 다른 아태계 그룹에 비해 높은 의지를 표시했다. 현재 연방법은 2006년 통과된 ‘투표권법’을 통해 카운티별로 인구 중 특정 민족 인구가 5% 이상이거나 1만 명 이상이며, 이들이 센서스 조사를 통해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라고 명시한 경우 해당 민족의 언어로 선거 자료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 캘리포니아 커먼코즈의 페드로 헤르난데스 디렉터는 “유권자들이 자신들이 읽고 이해하기 쉬운 투표용지를 받았을 때 더 자신감 있게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며 “가주에서는 인종과 언어를 막론하고 해당 사안에 대해 동의를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가주에서 투표에 참여한 한인들은 지난 2024년 대선 투표 과정에 대해 47%가 ‘매우 만족’, 29%가 ‘만족’이라고 답했다. 이는 만족도가 다른 아태계 소수계들보다 소폭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매우 만족’이라고 답한 경우는 중국계가 53%(만족 26%), 베트남계가 60%(만족 21%), 필리핀계가 60%(만족 21%), 다른 아태계 그룹들이 평균 59%(만족 23%)를 기록해 한인에 비해 소폭 높았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에는 총 266명(2024년 투표 참여자 206명 포함)의 한인이 참여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인쇄물 다국어 투표 참여자 한인들 투표용지 한인 응답자들
2025.06.23. 20:19
LA 시의회가 온·오프라인에서 진행되는 각종 위원회 모임 내용에 대해 한국어 및 다국어 통역 서비스 제공을 적극 추진한다. LA 시의회는 23일 회기에서 ‘주요 외국어 서비스 추진안’의 후속 작업으로 시 행정국(CAO)과 가족을 위한 커뮤니티 투자국, 정보기술국에 내년 1월 말까지 해당 서비스 제공 능력을 확인해 보고하도록 했다. 이에 해당 부서들은 총 49개의 주요 회의 내용을 한국어를 비롯한 스페인어, 아르메니아어, 중국어, 타갈로그어, 파시어 등의 언어로 전달하는 데 필요한 재원, 기술, 외부 협력 내용 등을 시의회에 보고해야 한다. 시 당국은 올해 초부터 시의회 회의 내용은 물론 주요 상임위원회 내용도 지역 내 주요 커뮤니티에 다국어로 전달할 방법을 놓고 논의해왔다. 특히 유니스 헤르난데스(1지구)와 휴고 소토-마르티네즈(13지구) 시의원은 지난 8월 1일 해당 서비스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추진안을 본회의에 제출했으며, 참석 의원들 전원의 지지를 받아 통과된 바 있다. 시청 안팎에서는 관련 예산 규모에 따라 시기 조정은 있을 수 있지만, 조만간 한국어 등 다국어로도 시의회 진행 내용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시의회 다국어 시의회 다국어 서비스 추진 시의회 회의
2024.10.23. 20:28
LA 시의회가 공공안전과 관련된 대민 서비스 부문에 이중언어 인력 채용 확대안을 본격 논의한다. 시의회는 오늘 경찰국과 인사국에 응급서비스, 사건사고 대응 등에 필요한 10개 언어 구사가 가능한 인력 채용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파악하도록 지시하고, 동시에 구인을 서두르는데 의견을 모을 예정이다. 시의회 산하 공공안전위원회는 지난 23일 이번 안건을 위해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관련 조치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상정안을 5명 의원이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바 있다. 해당 위원회에는 존 이(사진), 모니카 로드리게스, 트레이시 파크, 팀 맥오스커, 휴고 소토-마르티네스 의원이 소속돼있다. 현재 경찰국은 자체 스패니시 통역 인력이 상주하고 있어 대부분 자체 해결하고 있으며 그외에 한국어, 중국어 등 9개 주요 언어가 필요할 경우 외부 업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원회는 현황자료를 통해 2023년 총 226만여 건의 911 응급 전화가 관련 부서에 걸려왔으며 이중 7862건은 외부 통역 전문 계약회사들에 연결된 것으로 파악됐다. 외부 업체에 연결된 전화 건수 중 1352건이 한국어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러시아어(1118건), 중국어(777건)가 올랐다. 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해당 9개 언어 응급 전화도 생명과 안전, 응급 의료, 사건 사고 등 급박한 상황일 수 있기 때문에 차제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으며, 이에 필요한 예산과 자원 파악에 나설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응급서비스 다국어 응급서비스 사건사고 인력 채용 이중언어 인력
2024.01.29. 20:13
줄리 원 뉴욕시의원(민주·26선거구)은 7일 퀸즈 서니사이드에서 커뮤니티 파트너들과 함께 ‘다국어 소기업 자원의 날’ 행사를 공동 주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팬데믹 타격이 큰 소기업 소유주들을 대상으로 기존 사업을 개선하고 성장시키는 방안에 대한 내용을 공유했다. [줄리 원 뉴욕시의원실]시의원 다국어 다국어 소기업 소기업 소유주들 커뮤니티 파트너들
2023.04.09.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