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샌라파엘의 루카스밸리 지역에서 산책 중이던 주민들이 잇따라 다람쥐의 공격을 받아 응급실을 찾는 일이 발생했다. 주민들은 “어디서 튀어나올지 몰라 불안하다”고 말했다. 지난주 조안 헤블랙은 아침 산책 중 갑자기 다람쥐가 다리에 달라붙어 발톱과 이빨로 공격을 당했다. 그는 “다리가 물리고 긁히는데 차마 손으로 떼어낼 수도 없어 무서웠다”며 치료를 위해 응급실을 찾았다고 전했다. 비슷한 시각, 이사벨 캄포이와 조카 카르멘도 인근에서 공격을 받았다. 캄포이는 “다람쥐가 얼굴로 뛰어오르는 걸 막으려다 팔이 완전히 난도질당했다”며 “피투성이가 돼 응급실로 달려갔다”고 말했다. 이 지역에서는 최근까지 최소 다섯 명이 같은 다람쥐로 추정되는 동물에게 습격을 당했다는 신고가 이어졌다. 주민들은 황금빛 털을 가진 개체라며 특징을 공유하고, 현재는 경고 전단까지 붙어 있는 상황이다. 야생동물 보호단체 와일드케어 측은 “다람쥐가 광견병을 옮기는 동물은 아니며, 이런 공격성은 어릴 때 사람에게 먹이를 받으면서 길러진 습성이 원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간을 먹이와 연결해 인식한 개체가 기대가 충족되지 않으면 공격적으로 변하거나 영역을 지키려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야생동물에 먹이를 주는 행위를 삼가야 한다고 경고했다. 주민들은 최근 며칠간 문제의 다람쥐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여전히 경계심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AI 생성 기사주택가 다람쥐 다람쥐가 다리 다람쥐가 광견병 난폭 다람쥐
2025.09.27. 7:00
요즘 골칫거리가 생겼다. 예고도 없이 들이닥치는 불청객 때문이다. 출입을 막아보려 갖은 방법을 써봤지만 녀석은 마치 비웃기라도 하듯 흔적만 남기고 사라진다. 며칠 전에는 여러 마리가 몰려와 작은 파티라도 벌였는지 뒤뜰 잔디밭이 여기저기 흉하게 뒤집혀 있었다. 피해가 잔디에서 그치면 좋으련만 이젠 내가 가꾸는 텃밭까지 넘본다. 처음으로 화단 한켠에 상추, 열무, 깻잎, 고추 씨앗을 심었다. 싹이 트기를 기다리며 직접 기른 채소를 따먹는 상상을 하곤 했지만 그 꿈은 오래가지 못했다. 아침에 나가보니 텃밭은 이미 쑥대밭이 되어 있었다. 범인은 다름 아닌 다람쥐다. 산길에서 마주치던 귀여운 모습과 달리 일상에 나타난 다람쥐는 꽤나 성가신 장난꾸러기였다. 덫을 놓을까 했지만 잡히면 동물보호소에 보내거나, 산이나 공원에 풀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쥐약을 쓰려 하니 남편이 펄쩍 뛰며 말린다. 자칫 죽기라도 하면 동물보호법에 저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점점 오기가 치밀어 올라 이대로는 물러설 수 없었다. 이번엔 절대 당하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큰 화분 여러 개를 사서 씨앗을 다시 뿌렸다. 그 위에 플라스틱 덮개를 씌우고 남편의 10파운드짜리 아령 두 개를 올려놓았다. 말 그대로 완전무장한 방어 시스템으로, 누가 이기나 해보자는 심정이였다. 사흘쯤 지났을까 그 녀석이 또 다녀간 모양이다. 뚜껑을 열려고 안간힘을 쓴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덮개는 옆으로 밀려 있었지만 결국 포기한 듯했다. 속이 다 시원하고 통쾌했다. 그러면서도 작은 녀석과 실랑이를 벌이는 내 모습에 피식 웃음이 났다. 진짜 문제는 따로 있었다. 발코니에 벗어둔 내 슬리퍼 한 짝이 너덜너덜하게 뜯겨 있는 게 아닌가. 성질머리가 보통이 아닌 게 분명하다. 얼마나 억울했으면 그랬을까 싶다가도 하필 여러 켤레 중 내 것만 골라 물어뜯다니 얄밉기 짝이 없었다. 평소 남편과 아이들은 다람쥐가 귀엽다며 집에서 키우고 싶어했지만 나는 “어떻게 해야 다시는 못 오게 할까” 궁리했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더니 다람쥐가 내 말을 엿들은 걸까. 녀석이 파헤쳐 놓은 흙 속을 들여다보니 땅콩이 숨겨져 있었다. 우리 집 뒤뜰이 다람쥐에게는 양식 창고였던 모양이다. 생각해보니 다람쥐 입장에서는 이곳이 가장 안전한 보금자리였을지도 모른다. 도대체 누구로부터 그 소중한 먹이를 지키려 했던 걸까. 문득 내가 너무 야박하게 굴었던 건 아닌가 싶었다. 작은 몸으로 텃밭을 헤집은 것이 어쩌면 살아남기 위한 필사적인 몸짓이었을지도 모른다. 그 순간 미안함이 밀려왔고 치열하게 살아가는 작은 생명과 화해하고 싶었다. 마음 같아선 화단 한켠에 조그만 집이라도 지어주고 싶었다. 마트에 들러 땅콩 한 봉지를 샀다. 오로지 우리 집에 찾아온 손님 다람쥐를 위해서다. 엄마는 집에 온 손님을 빈손으로 돌려보낸 적이 없었다. 아낌없이 내어주시던 정 많은 성품이 나도 모르게 내 안에 스며든 걸까. “다람쥐랑 화해했어?” 남편이 툭 한마디를 던진다. “그 녀석, 우리 집이 제일 안전하다고 생각했나 봐. 이제 가족처럼 같이 살아야겠어. 이름 하나 지어줄까?” 그 말에 입가에 번지려던 미소를 살포시 눌렀다. 맞다. 매일 실랑이를 벌이긴 했지만 다람쥐가 우리에게 해를 끼치려던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저 소중한 양식을 숨길 곳을 찾다 보니 우리 집 뒷마당이 가장 안전해 보였을 뿐이다. 뒤뜰 잔디밭을 창고 삼아 살아가는 작은 생명을 마음에 그려보니 한때 짜증스러웠던 감정은 어느새 녀석을 받아들이는 넉넉함으로 바뀌어 있었다. 작은 생명을 쫓아내기보다는 이웃으로 받아들이기로 했다. 나에게는 소소한 텃밭일 뿐이지만, 다람쥐에게는 하루하루를 버티는 삶의 터전이다. 이제는 그 녀석의 삶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워가려 한다. 그나저나 다람쥐를 핑계 삼아 예쁜 슬리퍼 하나 새로 장만해야겠다. 김윤희 / 수필가이아침에 다람쥐 화해 다람쥐 입장 손님 다람쥐 뒤뜰 잔디밭
2025.09.03. 18:37
영상 다람쥐 땅콩 땅콩 주자
2023.12.01. 1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