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다우지수, 사상 첫 4만선 돌파 마감

뉴욕증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가 17일 사상 처음으로 4만선을 넘어서며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날 대비 134.21포인트(0.34%) 오른 4만3.59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전일대비 6.17포인트(0.12%) 상승한 5303.27로 거래를 마쳤다. 다만 나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12.35포인트(0.07%) 내린 1만6685.97로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가 종가 기준으로 4만선에 거래를 마감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전날 다우지수는 장중 4만선을 돌파했으나 하락 마감한 바 있다.     이날 다우지수 상승세를 이끈 종목들은 월마트, 캐터필러 등으로 각각 1% 이상 오름세를 보였다. 보험회사인 처브 역시 워런버핏의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해부터 꾸준히 지분을 사들여 온 종목으로 알려지면서 4% 가까이 올랐다. 이날까지 주가가 강세를 보이면서 다우지수는 5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고, S&P 500과 나스닥 지수도 2월 이후 최장 상승세를 이어갔다.   일각에선 이같은 증시 랠리가 언제까지 지속할 지 우려스럽다는 반응도 나온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다우지수 사상 다우지수 사상 전날 다우지수 이날 다우지수

2024.05.17. 19:46

다우지수, 첫 3만9000선 돌파…S&P500도 사상 최고치 경신

22일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깜짝 실적’ 발표로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이 강한 랠리를 펼쳤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3만9000선을 돌파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작년 1월 이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456.87포인트(1.18%) 오른 3만9069.11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05.23포인트(2.11%) 오른 5087.03으로 마감하며 8거래일 만에 역대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웠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60.75포인트(2.96%) 오른 1만6041.62에 마감해 2021년 11월의 전고점 돌파를 눈앞에 두게 됐다.   엔비디아가 전날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2023~2024회계연도 4분기(11∼1월) 실적을 발표하면서 증시 랠리 재개를 주도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16.40% 급등하며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아마존을 제치고 시총 순위 3위 자리를 탈환했다.   엔비디아가 몰아온 열풍에 힘입어 반도체 관련주도 급등세를 보였다. AMD(10.69%), 브로드컴(6.31%), 마블 테크놀러지(6.64%), ASML(4.81%),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4.94%), 마이크론(5.42%) 등이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메타(3.87%), 아마존(3.55%) 등 시총 상위 대형주들도 이날 증시 랠리를 주도했다.   엔비디아의 낙관적인 전망이 AI 관련주에 열풍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UBS 글로벌 자산관리의 솔리타 마르셀리는 “AI 관련주의 단기 모멘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이하은 기자다우지수 최고치 사상 최고치 역대 최고치 전고점 돌파

2024.02.22. 21:04

다우지수에 아마존 편입…월그린스 6년만에 빠져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이하 다우지수) 구성종목에 편입된다.   지난 20일 다우지수를 산출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은 오는 26일부터 다우지수에서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이하 월그린스)를 제외하고 아마존을 신규 편입한다고 밝혔다.   다우지수는 미국의 주요 업종을 대표하는 우량주 30개 종목으로 구성된 미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다.   이번 지수변경은 기존 다우지수 구성종목인 월마트가 3대 1 비율로 주식을 액면분할 하기로 하면서 다우지수 내 월마트의 가중치가 감소하게 된 점을 고려해 이뤄졌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나 나스닥 지수 등 다른 주요 주가지수가 시가총액 기준으로 구성항목 비중을 결정하는 것과 달리 다우지수는 주가를 기준으로 종목 구성비중을 산출한다.   아마존 편입을 통해 월마트 액면분할로 낮아진 소비자 소매 업종의 투자 비중을 보완하고, 클라우드컴퓨팅, 광고, 엔터테인먼트 등 아마존이 수행하는 여타 사업 분야에 대한 투자노출 비중도 늘리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S&P 글로벌은 “미국 경제의 진화를 반영한 이번 지수 변경은 소비자 소매 업종은 물론 다른 사업영역에 대한 투자 비중을 높여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 최대 약국 체인 월그린스는 아마존 편입으로 6년 만에 다우지수에서 빠지게 됐다.   월그린스는 지난 2018년 다우지수 초기 구성 종목이었던 제너럴일렉트릭(GE)을 대체해 다우지수에 편입된 바 있다.아마존 다우지수 다우지수 초기 이하 다우지수 기존 다우지수

2024.02.21. 19:50

[주간 증시 브리핑] 나스닥과 엇갈리는 다우지수

주식시장은 이번 주 엇갈렸다. 3주 만에 올랐던 지난주 반등이 데드캣 바운스로 끝나는 것을 모면했다.     나 홀로 5주 연속 상승한 나스닥은 올해 23% 폭등했다. S&P 500은 9.2% 올랐다. 반면 최근 20일 동안 15일을 하락한 다우지수는 올해 0.2% 그리고 이번 주 1.0% 떨어진 상태로 이번 주를 마감했다.     최근 몇 년간 3대 지수의 희비가 이 정도 수준까지 급격하게 엇갈린 게 언제였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이다. 결국 다우지수만 지지부진하게 5개월간 허송세월한 것이다.         부채 한도 협상 타결에 대한 불확실성은 해소되지 않았다. 반면 발표된 경제지표들은 호조를 기록했다.   경기 침체 가능성이 작고 연착륙이 여전히 가능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예상보다 크게 줄어든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주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내구재 주문은 1% 감소 예상을 깨고 1.1% 늘어나며 두 달 연속 증가했다. GDP 잠정치는 1.1% 예상보다 높은 1.3%를 기록했다.     개인 소비 지출은 전년 대비 4.4%를 기록했다. 지난달 4.2%보다 높은 수치이다. 그리고 근원 개인 소비 지출 역시 전달보다 높은 4.7%를 기록했다. 결국 물가가 기대처럼 빠르고 확실하게 잡히지 않고 있음을 시사했다. 연준의 2% 목표치까지 갈 길이 멀다는 것이다. 지난주 79%였던 6월 금리 동결 가능성이 29%로 축소됐다. 21%였던 인상 가능성은 71%로 치솟았다. 한 주 만에 인상 가능성이 동결 가능성을 역전한 것이다.     어닝 서프라이즈와 함께 엔비디아는 이번 주 목요일 (5월25일) 6년 만에 가장 크게 폭등했다. 투자자들의 매수심리에 불을 붙이며 18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올해 들어 164% 그리고 작년 10월 13일 찍었던 2년 2개월 최저치에서 265%를 폭등하는 기염을 토했다. 7개월간 주가가 세배 반 이상 오른 것이다. 반도체와 AI 관련 주식들은 일제히 동반상승했고 FOMO 현상은 기술주들에 집중된 패닉 바잉을 유발했다. 고조된 분위기는 다음날인 금요일까지 이어졌다. 이번 주 3대 지수가 나란히 오른 첫날이었다.     이번 주 4분의 1수준인 144개 기업이 다음 주 실적을 발표한다. 구인 이직 보고서, ADP 민간고용, 그리고 비농업 부문 취업자 수와 실업률도 나온다. 이미 6월 추가 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된 분위기 속에서도 다음 주 고용지표가 상황을 바꾸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올해 금리 인하는 없다는 단호한 시나리오와  발표되는 경제지표들에 따라 바뀔 수 있는 ‘데이터 의존성(data dependent)’의  완화된 시나리오가 공존한다. 두 번째 시나리오를 풀어서 설명하면 금리가 어디로 튈지 모른다는 것이다. 이미 불확실성은 투자심리에 깊숙이 침투한 상황이다. 김재환 아티스 캐피탈 대표 [email protected]주간 증시 브리핑 다우지수 나스닥 인상 가능성 동결 가능성 금리 동결

2023.05.26. 20:56

다우지수, 3만선도 무너졌다

뉴욕증시가 올해 연저점을 경신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기준금리 인상과 세계 경기침체 우려가 겹친 결과다. 미 달러를 제외하고 주식·유가·금값이 일제히 급락한 가운데,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3만선이 깨졌다.     23일 다우존스 지수는 전일대비 486.27포인트(1.62%) 하락한 2만9590.41로 장을 마감했고, S&P 500 지수는 64.76포인트(1.72%) 내린 3693.23으로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98.88포인트(1.80%) 떨어진 1만867.93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지난 6월 17일에 기록된 올해 최저치(29,653.29)를 경신했는데, 이번 주에만 4% 등 올들어 18.6% 하락했다.     연준의 3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 여파가 이날 증시를 끌어내렸다. 기준금리와 밀접하게 연관된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날 3.686%로 11년여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미 국채 2년물 금리도 전날 4.194%로 2007년 10월 이후 최고점에 올랐다. 국채 금리와 달러가치가 대폭 오른 가운데 주식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이 일제히 ‘패닉 매도’를 했다는 설명이다.     경기침체 우려도 시장에 악영향을 미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하향 조정한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경기 침체에 대한 두려움을 더 부추기고 있다”며 “유럽의 경제 활동도 급격히 감소하고, 인플레이션과 에너지 위기, 러시아의 핵 전쟁 위협 등이 시장에 부정적인 요소”라고 해석했다.     주가가 대부분 산업 섹터에서 하락세를 보인 것 또한 경기침체 우려를 반영한 결과다. S&P 500을 구성하는 11개 섹터가 모두 하락했는데, 특히 에너지 섹터는 경기침체 우려에 11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배럴당 8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서 7%가량 빠졌다.     경기침체 영향이 큰 임의소비재 섹터 타격도 컸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S&P 500지수 연말 전망치를 기존 4300에서 3600으로 약 4% 낮췄다.     한편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페드 리슨’(Fed Listen) 행사에서 “코로나19 팬데믹 혼란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뉴 노멀’(new normal)로 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금리와 고물가, 경기침체 우려가 섞인 현재 상황이 당분간 지속할 것임을 시사한 발언이다.   김은별 기자다우지수 만선 기준금리 인상 세계 경기침체 경기침체 영향

2022.09.23. 20:37

다우지수 1.98% 급등

뉴욕증시가 은행들의 실적 개선 기대와 미국의 대중 관세 완화 가능성에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618.34포인트(1.98%) 오른 31,880.24로 23일 장을 마쳤다. S&P500지수도 전장보다 72.39포인트(1.86%) 상승한 3,973.75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80.66포인트(1.59%) 뛴 11,535.27로 거래를 마쳤다.   3대 지수는 지난주까지 크게 하락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와 인플레이션에 따른 기업들의 비용 증가, 소비 위축 등에 대한 우려가 주요 요인이었다.   그러나 이날은 은행주들이 JP모건의 긍정적인 실적 전망에 크게 오르면서 투자 심리를 개선했다. JP모건은 이날 열린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올해 순이자이익(NII)이 1월 예상치를 웃도는 56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다우지수 급등 나스닥 지수 실적 개선 투자 심리

2022.05.23. 18: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