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한국성(Koreanness)은 이런 것

워싱턴한국문화원에서 오는 14일(금)부터 다음달 3일(토)까지 6인의 작가들이 참여하는 ‘한국성의 전개(Unfolding Koreanness)’ 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워싱턴문화원 23/24년도 공모전에서 선정된 이상대 큐레이터가 기획한 6명의 참여 작가가 함께하는 단체전으로 다원적 예술 실천을 통해 한국성의 의미를 탐구하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가야금 연주자 손화영, 미디어 아티스트 이인혜, 다큐멘터리 감독 미리암 김, 언어학자이자 사진작가인 로버트 J.파우저, 건축가 양성구, 섬유예술가 원주서 등 6인의 작가와 함께하는 이번 전시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각자의 삶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독창적인 해석이 가미되어진 작품들이 전시된다.     주최 측은 개인의 서사, 공동체의 역사, 문화간의 소통을 통해 고정된 개념의 정체성이 아닌, 유동적이고 다층적인 의미로 확장하며, 한국 디아스포라 뿐만 아니라 더 넒은 관객층과의 공감과 이해를 끌어내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14일 개막식에는 전시참여 작가와의 대담행사도 열린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한국성 전시회 전시참여 작가 다층적인 의미 이상대 큐레이터

2025.03.04. 13:44

썸네일

[디지털 세상 읽기]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AI가 그럴듯한 보고서를 작성하고, 그림을 그리고, 동영상까지 만드는 세상에서 시를 쓰는 AI가 있다는 건 전혀 새로운 뉴스가 아니다. 한국에서는 카카오브레인에서 이미 2022년에 시를 쓰는 인공지능 시아(SIA)를 선보였다. 하지만 독자들이 과연 AI가 만들어 낸 시를 좋아하느냐는 다른 얘기다. 사람들은 여전히 사람이 쓴 시를 선호한다. 그런데 앞으로도 그럴까?   피츠버그 대학교 연구진은 초서, 셰익스피어, 휘트먼 등 역사적으로 유명한 시인 10명이 쓴 시와 그 시인들 문체를 학습한 AI가 쓴 시를 일반인에게 보여주고 인간의 작품인지, AI의 작품인지 구분하게 했다. 놀랍게도 실험 참가자들은 AI가 쓴 시를 인간이 쓴 시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두드러졌고, AI의 작품에 더 높은 점수를 줬다.   만약 참가자들이 ‘시는 인간이 더 잘 쓴다’는 선입견을 갖고 있었다면 인간이 썼다고 생각한 시에 더 높은 점수를 줬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이들이 선호한, AI가 쓴 시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 연구자들은 AI의 시는 좀 더 직설적이고 이해하기 쉬웠다고 한다. 참가자들이 시를 잘 아는 사람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심오하고 복잡한 의미를 가진 시를 그저 AI가 만들어 낸 할루시네이션(환각 정보)이라고 생각했을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연구자들은 AI가 쓴 시는 심상과 감정, 주제를 모호함 없이 직설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유명한 시인들의 작품이 가진 복잡하고 다층적인 의미를 찾아내는 데 별 관심이 없는 평범한 독자들에게는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과거 십대 청소년 사이에 큰 인기를 끌었던 몇몇 시인들을 생각해 보면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이 원한 건 자기가 느끼는 감정을 대변하는 시였지, 교과서에 실린 위대한 문학작품이 아니었다. 박상현 / 오터레터 발행인디지털 세상 읽기 실험 참가자들 다층적인 의미 시인들 문체

2024.12.09. 19: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