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유기농 당근에서 대장균 검출

 캘리포니아주 베이커스필드에 위치한 한 농장에서 생산된 유기농 당근에서 대장균이 검출, 한 명이 사망하고 10여명이 병원에 입원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18일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그림웨이팜스(Grimmway Farms)는 전국적으로 판매된 유기농 당근의 대장균 검출 위험이 있다고 신고하고 리콜에 나섰다.   리콜 대상에 포함된 당근은 일반 당근과 미니당근으로, 홀푸즈마켓·트레이더조·웨그맨스·타겟·크로거 등 다양한 마트에 자체 브랜드를 달고 유통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가 된 일반 당근은 지난 8월14일부터 10월23일까지 판매됐고, 미니 당근은 유통기한이 11월 12일까지 봉지에 인쇄된 경우에 해당된다.     대장균이 검출된 당근은 뉴욕과 뉴저지를 비롯해 매사추세츠, 펜실베이니아, 캘리포니아, 오리건 등 18개주에 유통됐다. 현재까지 해당 당근을 먹고 영향을 받은 39명 중 1명이 사망하고, 15명이 입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CDC는 “리콜 조치가 완료돼 대장균이 검출된 당근이 매장에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면서도 “리콜이 시작되기 전에 샀던 당근 제품을 먹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제품과 브랜드를 확인해보기를 권장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리콜 조치된 당근을 아직 보관하고 있는 경우, 절대 먹지 말고 매장에 반품하거나 바로 폐기할 것을 권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유기농 대장균 대장균 검출 유기농 당근 당근 제품

2024.11.18. 19:29

채터후치강 수질 오염 비상...E콜라이 기준치 상회

조지아주를 관통하는 가장 긴 강이자 애틀랜타 주요 상수원으로 사용되는 채터후치강에 1년도 안돼 또다시 수질 오염이 발생했다.     비영리 환경보호단체인 채터후치 리버키퍼는 마리에타 하류 지역에서 지난 4일부터 13일까지 강물 샘플을 채취해 검사한 결과, 대장균 수치가 120000CFU/ml에 달했다고 14일 밝혔다.    연방 환경보호국(EPA)은 수영 등 야외활동이 가능한 강물 수질 기준을 대장균 농도 126CFU/ml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제이슨 울세스 채터후치 리버키퍼 이사는 "시민들이 채터후치강 하류 부근에 접근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질 오염은 클레이튼 카운티에 위치한 생활 폐수 처리시설의 2차 정수 기능이 폭우로 잠시 마비되며 발생했다. 이곳은 하루 최대 1억 갤런의 폐수를 정화해 배출하는 곳이다.    애틀랜타 유역관리부에 따르면, 1차 처리가 정상 작동했기 때문에 오·폐수가 직접 강으로 방류되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환경당국은 수리 중인 시설을 대체하기 위해 8개의 이동식 폐수처리기구를 가동하고 있다.   채터후치강은 지난해 7월 풀턴 카운티의 빅크릭 하수처리장 내 문제가 발생하며 약 2천만 갤런의 폐수가 배출되는 사고를 겪기도 했다. 당시 11마일에 걸친 강 유역을 3주 가량 폐쇄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대장균 검출 대장균 검출 하류 접근 채터후치 리버키퍼

2024.03.15. 15:49

수돗물 '대장균 주의보' 해제

임페리얼 비치를 중심으로 코로나도와 샌디에이고의 네스토, 오타이메사 웨스트 지역 등 사우스베이 지역 일대에 지난달 24일 내려졌던 수돗물 사용 주의보가 이틀만인 26일 전면 해제됐다. 캘리포니아 수자원 위원회는 최근 실시한 사우스베이 지역 수돗물 오염 테스트에서 인체에 해로운 대장균이 발견됨에 따라 사우스베이 일대의 주민들에게 주의보를 발령함과 동시에 "수돗물을 반드시 끓인 후 사용"하라고 권유한 바 있다.수돗물 대장균 수돗물 대장균 지역 수돗물 수돗물 사용

2023.09.01. 18:23

뉴욕주도 대장균 감염 사태

유명 햄버거 체인점 웬디스의 대장균(E. Coli) 감염 사태가 뉴욕주와 켄터키주까지 확산됐다.     2일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웬디스 대장균 감염 사태가 발병한 지역으로 뉴욕주와 켄터키주를 추가, 총 6개주로 늘렸다. 지난달 31일 현재 웬디스 제품을 먹은 뒤 대장균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사례는 총 97건에 달한다.     아직 발병 원인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진 않았지만, CDC는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먹은 웬디스 제품 안에 들어있던 로메인 상추가 원인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웬디스에 공급된 상추가 다른 음식점에 제공되거나 팔렸는지도 확인하고 있다.     뉴욕주에서는 최대 5명이 현재까지 감염된 것으로 조사되고 있지만, 어떤 웬디스 지점에서 사례가 나타났는지 CDC가 발표하지는 않았다.   웬디스는 성명을 내고 “예방 차원에서 문제가 발생한 주에 있는 매장에서는 햄버거에 상추를 넣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장균 감염으로 심각한 증상을 겪은 일부 고객들은 웬디스를 상대로 소송을 접수하기도 했다. CDC는 “이콜라이균에 감염될 경우 화씨 102도 이상의 열이 나고 구토, 탈수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뉴욕·뉴저지주를 포함, 15개 주에서는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말린 버섯 리콜 조치가 시작됐다. 연방 식품의약청(FDA)은 메릴랜드에 본사를 둔 아시안 식품 수입업체 타이팟(Thai Phat)이 15개 주에서 ‘Three Coins Dried Mushrooms’ 버섯 리콜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아직 해당 제품을 먹어 문제가 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주 보건국 정기 테스트에서 살모넬라균이 발견돼 리콜을 결정했다. 살모넬라균 감염 시 위경련, 발열, 설사, 메스꺼움, 구토를 일으킬 수 있다. 면역체계가 약하거나 어린이, 노인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김은별 기자뉴욕주 대장균 대장균 감염 감염 사태 살모넬라균 감염

2022.09.05. 17:09

버겐카운티 한인 밀집 타운들, 수도관 대장균 검출 주의보

버겐카운티 한인 밀집 타운들의 수도관에서 대장균(E. Coli)이 검출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22일 수도업체 베올리아와 각 타운정부들은 지역 내 일부 수도관에서 대장균이 검출돼 주의보를 내리고 “수돗물 음용 시 꼭 끓여서 마실 것”을 당부했다.   이번 수도관 대장균 검출의 영향을 받는 지역은 포트리·팰리세이즈파크·레오니아·리지필드·에지워터·클립사이드파크·페어뷰 등 7곳이다.   베올리아 측에 따르면 지난 19일 실시된 샘플 검사에서 대장균이 검출됐으며, 20일 재차 실시된 검사에서도 대장균이 검출된 사실이 21일 확인됐다.   업체는 지난 18일 내린 폭우로 인해 리지필드에 위치한 수도 본관이 파손됐으며, 이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절대로 수돗물을 그냥 마시지 말 것”을 강조했다.   또 차후 주의보가 해제될 수 있을 때까지 현상황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겠다고 전했다.   대장균은 일반적으로 인체 및 각종 동물의 장 안에서 서식하는 세균이다. 수도 오염의 경우 사람·동물 등의 분변에 의한 오염일 가능성이 크다.     대장균에 오염된 음식·음료를 섭취하거나 대장균에 오염된 물로 양치 등을 할 경우 감염될 수 있다. 증상으로는 식중독·구토·복통·설사·두통 등이 있으며 유아·노인 등 면역력이 약한 경우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수도업체 베올리아에 대한 문의는 전화(800-422-5987) 또는 e메일(csnj@veolia,com)로 하면 된다. 심종민 기자수도관 대장균 수도관 대장균 한인 밀집 일부 수도관

2022.07.22. 20:16

‘간 소고기’ 대량 리콜…이콜라이 대장균 오염

대형 수퍼 마켓 등지에서 판매된 간 소고기가 이콜라이 대장균 오염 가능성으로 대량 리콜됐다.   연방 농무부(USDA) 식품안전검사국(FSIS)은 이콜라이 오염 위험으로 가주 포함 7개 주에서 간 소고기 약 2만8356파운드를 회수했다고 밝혔다.     리콜 대상은 지난해 12월 20일 포장된 인터스테이트 육류가공사(INTERSTATE MEAT) 제품이다. USDA 검사 번호 또는 유통 기한 날짜 옆에 적힌 제품 번호가 EST. 965면 리콜 대상이다.   FSIS에 따르면 해당 제품은 가주 외에 애리조나, 네바다, 오리건, 유타, 워싱턴, 와이오밍 등 7개 주의 월마트, 알버슨, 크로거 등에서 유통됐으며, 이와 관련 질병 발생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FSIS는 일부 제품이 소비자의 냉장고나 냉동고에 아직 있을 것을 우려하며 폐기하거나 구입처에 반품할 것을 요청했다. 이은영 기자소고기 대장균 대장균 오염 리콜 대상 대량 리콜

2022.01.09. 20:5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