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칼럼] 정기 대장검사, 대장암 예방 효과
대장의 용종은 매우 흔한데 전체 성인의 30∼50%에서 발견이 되고 대부분은 악성으로 진행하지 않는다. 또 악성으로 진행한다 하더라도 수년이 걸리기 때문에 미리 발견하면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작은 용종이 자라서 악성종양으로 변하는 데는 약 10년 정도가 걸린다. 용종이 발견되었을 때는 용종의 수와 종류, 크기, 위치가 중요한데 이에 따라서 다음 대장 검사 시기를 결정하게 된다. 용종이 발생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첫째는 생활습관 때문이다. 용종은 성별이나 인종 관계없이 선진국에서는 매우 흔하게 발견된다. 이를 통해 음식과 환경요인이 용종 발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 수 있다. 특히 지방질이 높은 음식과 쇠고기의 섭취량이 용종 발생과 관계가 있고, 흡연이나 비만도 관계가 있다. 또 섬유질이 적은 식단 위주의 식습관은 용종 발생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반면 아스피린이나 소염제, 칼슘이 풍부한 식단은 대장암 예방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가 있다. 두 번째는 나이다. 용종은 40세 이하에서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 50세 이상의 환자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대장 검사는 일반적으로 50대 이후부터 시작하게 된다. 세 번째는 가족력과 유전이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가족 중 대장암 환자가 있는 경우는 대장검사를 50세 이전부터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특히 가족성 선종폴립증이라고 불리는 유전 질환은 대장에 수많은 용종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20∼30대에도 대장암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장암의 가족력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유전자 검사를 받도록 권하고 있다. 대장암은 미국 내 암 사망 원인 중 두 번째로 전체의 14%를 차지할 정도 흔하다. 양성 용종의 일종인 선종성 용종(adenomatous polyp)도 크기가 큰 것은 그대로 두면 악성으로 변할 수 있다. 용종은 미리 진단해서 제거하면 나중에 발생할 수 있는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대장(직장) 검사를 통해서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대장암 조기 검진을 위해서 흔히 실시하는 방법은 대변 잠혈 검사와 직장경 및 대장경 검사가 가장 많이 쓰인다. 또한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서 빈혈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대장 검사는 50세 이후부터 실시해 결과에 따라서 얼마 만에 재검진을 할지 검사 주기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대장검사 결과 대장에 용종이 전혀 없는 경우는 5∼10년 후에 재검사를 받으면 되고, 검사상 선종성 용종(adenomatous polyp)이 발견되면 제거한 후 일반적으로 3년 후에 재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선종성 용종은 3년 안에 재발할 가능성이 25∼30퍼센트 정도 되고 용종의 숫자도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직검사 결과와 용종의 숫자 등에 따라 재검사를 결정하게 되고, 첫 검사 때 장 청소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도 재검사를 3∼5년 안에 다시 하도록 한다. 정기적으로 대장 검사를 하게 되면 대장암으로 사망할 확률이 훨씬 줄어들기 때문에 50세 이상의 성인은 정기 대장 검사를 꼭 받도록 하고, 대장암 가족력이 있을 때는 50세 이전(40세부터)에 대장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문의:(213)383-9388 이영직 원장 / 이영직 내과건강 칼럼 대장검사 대장암 정기 대장검사 대장암 예방 대장암 가족력
2025.09.23. 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