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로 일하는 김선우(50)씨는 최근 무이자 크레딧 카드를 새로 2개 더 만들었다. 은퇴한 모친의 병원비가 올해 초 갑자기 불어났고, 학자금 융자도 부담이 돼 3만 달러 가량을 변통하려는 것이다. 김씨는 “아내와 함께 연간 18만 달러 정도 벌고 있지만, 지난해부터 물가가 오르고 추가 비용들이 발생하면서 모기지와 자동차 페이먼트를 1달 늦게 냈다. 크레딧에는 큰 영향이 없겠지만, 여유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했다”고 전했다. 김 씨처럼 연소득 15만 달러 이상 고소득 가구의 신용카드 및 자동차 대출 연체율이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평가회사 밴티지스코어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연소득 15만 달러 이상 가구의 대출 연체율은 2023년 이후 두 배 이상 급등했다. 이는 같은 기간 중산층(연소득 4만5000~15만 달러)의 연체율 증가폭인 60%, 저소득층(연소득 4만5000달러 이하)의 22%보다 훨씬 가파른 상승세다. 그동안 경제적 여유를 지닌 계층으로 여겨졌던 고소득층마저 부담을 갖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국내 가계 전반의 재정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소득이 높을수록 연체율이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지는 이례적인 현상인 셈이다. 리카드 반데보 밴티지스코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BS머니워치와의 인터뷰에서 “고소득층도 이제는 경제적 충격을 견디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며 “사무직 일자리의 부진과 주택 비용 상승, 고금리로 인한 부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팬데믹 이전 5년간 미국에서 새로 생긴 일자리의 38%는 평균 이상의 고임금 일자리였지만, 2025년 들어 이 비중은 7%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고소득자들이 일자리를 잃었을 경우 재취업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밴티지스코어의 자료에 따르면, 현재 고소득층의 대출 연체율은 0.34%로 여전히 중산층(약 0.7%)이나 저소득층(1.75%)보다는 낮다. 그러나 연체율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는 점에서 국내 경제 불안이 상류층까지 확산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이들 고소득층이 국내 소비의 절반가량을 책임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1990년대에는 상위 소득층이 전체 소비의 3분의 1을 차지했지만, 현재는 50%에 육박한다. 이들의 소비 위축은 결국 국내 소비경제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한편, 중산층 이하 계층도 여전히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금융회사 프라이메리카의 조사에 따르면, 중산층 가구 10명 중 6명은 “경제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3분의 1 이상이 신용카드 사용을 늘렸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의 절약 소비 성향도 뚜렷해지고 있다. P&G의 안드레 슐텐 최고재무책임자는 “소비자들이 더 작은 용량을 찾거나 묶음 상품, 온라인 대용량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정치적 여파도 감지된다. 2024년 대선에서 인플레이션 해결을 공약으로 내세워 당선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CBS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4%가 트럼프 대통령의 물가 대응에 불만족을 표했다. 전문가들은 고소득층의 연체 증가가 경기 둔화의 전조일 수 있다며, 향후 금융시장과 정책당국의 대응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인성 기자고소득자 연체율 대출 연체율 연체율 증가 현재 고소득층
2025.07.30. 20:03
개인금융정보 웹사이트 ‘월렛허브’(WalletHub)가 산정한 ‘2024년 3분기 기준 학자금 대출 연체율이 가장 높은 도시’(Cities With the Highest Student Loan Delinquency Rates in Q3 2024) 순위에서 텍사스주의 루복과 플레이노는 최상위권인 전국 7위와 8위에 오른 반면, 코퍼스 크리스티는 최하위권인 전국 97위를 기록해 대조를 보였다. 2024년 현재 4,220만명의 미국인들이 학자금 대출 부채를 안고 있으며 그 규모는 약 1조 6,100억 달러에 달한다. 대학 교육비가 너무 비싸고 많은 사람들이 대출을 받기 때문에 안타깝게도 일부 사람들은 연체될 수밖에 없다. 학자금 대출 연체는 연체료 부담과 아울러 신용 점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임금 체불과 같은 다른 결과로도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연체 정도는 미국내 도시별로 차이가 적지 않다. 월렛허브는 미국내 100개 도시(인구 순)들을 대상으로 2024년 3분기 기준 소비자 연체율(consumer delinquency rates)에 대한 독점 사용자 데이터(proprietary user data)를 분석해 학자금 대출 연체율이 가장 높은 도시 순위를 매겼다. 이번 조사에서 텍사스 주내 도시들은 큰 차이를 보였다. 루복과 플레이노는 연체율이 각각 1.77%, 1.71%로 최상위권인 전국 7위와 8위에 올랐다. 반면, 코퍼스 크리스티는 0.27%에 불과해 최하위권인 97위를 기록했다. 또한 휴스턴과 달라스는 각각 1.42%, 1.33%로 상위권인 전국 20위와 23위에 오른 반면, 오스틴과 엘 파소는 각각 0.48%, 0.43%로 역시 최하위권인 84위와 88위에 그쳤다. 이밖에 샌 안토니오는 1.21%로 전국 29위, 포트 워스는 1.04%로 37위, 어빙은 0.98%로 45위, 알링턴은 0.68%로 69위, 갈랜드는 0.59%로 79위였다. 100개 도시 가운데 학자금 대출 연체율이 가장 높은 도시 전국 1위는 3.04%에 달한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였으며 이어 애리조나주 챈들러(2.55%), 캘리포니아주 베이커스필드(2.38%),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2.05%), 매릴랜드주 볼티모어(2.00%)의 순으로 2~5위에 이름을 올렸다. 6~10위는 미조리주 세인트 루이스(1.83%), 루복(1.77%), 플레이노(1.71%), 애리조나주 길버트(1.65%), 노스 캐롤라이나주 더럼(1.64%)의 순이었다. 이에 비해 연체율이 제일 낮은 도시는 캘리포니아주 샌타 애나(0.20%-전국 100위)였고 캘리포니아주 어바인(0.25%-99위), 애리조나주 글렌데일(0.27%-98위), 코퍼스 크리스티(97위), 버지니아주 체서피크(0.33%-96위)의 순이었다. 이밖에 주요 도시들의 연체율과 순위를 살펴보면, 필라델피아(1.50%-13위), 워싱턴DC(1.44%-17위), 애틀란타(1.41%-21위), 뉴욕(1.16%-30위), 시카고(1.11%-33위), 보스턴(1.08%-34위), 샌프란시스코(0.97%-47위), 마이애미(0.93%-51위), 덴버(0.73%-65위), 시애틀(0.67%-72위), 로스앤젤레스(0.54%-81위) 등이다. 한편, 이번 조사를 담당한 월렛허브의 애널리스트 칩 루포는 “학자금 대출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상당한 수준의 연체 보호를 누렸지만, 이제는 제때 지불하지 않으면 부채가 점점 더 늘어나 신용을 잃을 위험이 있다. 그러나 좋은 소식은 제때 지불하지 못하더라도 연체 사실이 실제로 신용 조사국(credit bureaus)에 보고되기전 최소 30일 동안에는 연체금을 갚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연방 학자금 대출의 경우는 이 기간이 90일까지 연장되므로 다시 정상 궤도에 오르고 장기적인 결과를 피할 수 있는 시간이 조금 더 있다”고 전했다. 손혜성 기자 플레이노 크리스티 대출 연체율 학자금 대출 도시 전국
2024.11.13. 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