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은 인생에서 재정적으로 가장 중요한 투자이자, 감정적인 투자이기도 하다. 쉽게 말해 입시는 학생들에게 ‘영혼을 갈아 넣는’ 작업이라는 뜻이다. 전국 대학 카운슬러 협회(NACAC)에 따르면 지원자 가운데 52%는 대학 지원 과정이 학업적으로 고등학교 내내 해온 그 어떤 일보다 스트레스가 컸다고 답변했다. 지원자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대학을 찾고, 대학에 깊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에세이를 쓰는 것에 상당한 시간을 투자하며, 궁극적으로 자신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최선의 길을 선택한다. 특히 지금의 Z세대(Gen Z) 학생들은 고도로 개인에게 맞춤화된 알고리즘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대학 입시에서도 비슷한 접근 방식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Z세대는 보통 1997년부터 2012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인터넷 문서이든 동영상이든 개인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맞춤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알고리즘의 최대 수혜자 세대이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대학은 학생들의 기대에 부응할 만큼 개인화된 마케팅과 입시 경험을 제공하지 못한다. 대학들은 더욱 맞춤화된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지원자 대비 입학 사정관의 숫자를 고려하면 이것을 달성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먼저 현실을 보자. 대학에 입학하기를 희망하는 학생은 너무 많고 입학 사정관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지원자들은 대학 원서에 약 60시간에서 200시간에 달할 만큼 상당한 시간을 투자하지만, 대학이 1차 심사에서 원서를 검토하는 데는 90초도 채 걸리지 않는다. 지원 과정에서 학생이 대학들에 대해 조사하는 것만 해도 20시간에서 40시간 정도 걸릴 수 있지만, 대학은 잠재적인 신입생을 찾기 위해 그 수준의 투자를 거의 하지 않는다. 대신 대학의 접근 방식은 종종 일반적인 마케팅 캠페인으로 제한된다. 사실 이것을 대학의 잘못이라고 할 수도 없다. 평균적으로 입학 사정관 한 명이 원서를 읽는 학생들의 숫자는 49명에서 160명에 달해, 입학 사정관들 사이에 번아웃이 흔하다. 결과적으로 대학들의 입학사무처는 50%의 이직률을보이고 있으며, 전체 직원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보고한 곳은 3%에 불과하다. 또한 입학 사정관 자리를 채우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가운데 지원자 수는 늘어나면서 입학사무처들은 등록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평범하고 일반적인 홍보 전략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지원자 가운데 46%는 지난해 입학 사정관과 상호교류를 한 경험이 없다고 보고했으며, 64%는 대학에서 받는 정보가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대학들로부터 매년 평균 1300건의 이메일과 우편물을 받는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접근이 해당 대학에 원서를 제출할 만큼 학생에게 동기를 부여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14%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몇 년간 대학들은 ‘등록률 절벽’이라고 불릴 만큼 학생 등록률이 감소하는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재정난을 겪는 일부 대학들은 놀라운 속도로 학교 문을 닫고 있다. 필라델피아 연방 준비은행(FRB)은 최근 학생 등록률 등의 지표를 사용해서 대학들의 재정적 어려움에 대한 예측 모델을 만들었다.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80개 대학이 추가로 문을 닫아 10만명이 넘는 학생과 2만880명의 교직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잠재적으로 지역 경제에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그럼 이런 암울한 예상을 타개하고 생존하기 위해 대학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Z세대 학생들은 이미 인공지능(AI)을 사용하는 비율이 87.5%에 달하며, 58.2%는 매월 AI를 사용한다. 학생들이 SNS플랫폼에서 맞춤형 추천과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대학들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화된 마케팅과 지원에 신경 써야 한다. 예를 들어 대학에 등록할 때 가장 큰 장벽이 되는 것 중 하나는 교육비용에 대한 부담이다. 아울러 재정보조 신청 절차의 복잡성도 등록률을 감소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이런 이유로 대학들은 개인의 필요에 맞는 정보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이는 결국 교육기관의 생존과도 직결돼 있다. ▶문의:(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 어드미션 매스터즈신입생 등록률 입학 사정관들 대학 원서 학생 등록률
2025.05.18. 18:22
여름방학은 모든 학년에서 다 중요하지만 특히 12학년을 맞이할 학생들은 이제 대학 원서 준비에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며 또한 여름캠프, 인턴십 등도 함께해야 하는 시기여서 더욱 현실적으로 대학입시의 부담을 느낀다. 12학년들은 이제까지의 모든 성적, 특별활동 등을 정리하여 대학 지원 리스트를 만든다. 이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9학년부터 11학년까지의 학업성적을 종합해 학생이 가고 싶은 대학에 얼마나 근접한지 또 어디를 갈 수 있는지 등 대학 리스트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이 GPA이다. 하지만 자녀들은 예상하지 못한 어려움으로 기대치에 못 미치는 성적을 받을 수 있으며 최상위 성적이 아니더라도 대학에 갈 수 있는 방법들이 있기 때문에 그 방법을 알아보자. ▶대입에서 GPA는 얼마나 중요한가 대학에서는 가장 먼저 ‘Number’ 즉 Test scores(15%), Grades & Coursework(20%)의 점수들을 합친 것을 Number라고 하여 점수를 먼저 리뷰한다. 이 과정에서 내신성적은 20%이지만 여기서 코스 선택의 난이도를 리뷰한 성적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즉 다시 말하여 높은 수준의 수업을 듣고 높은 성적을 받은 것을 의미한다. SAT/ ACT와 내신성적 등을 합쳐 대학 원서에서 차지하는 수치는 35%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학들은 Academic Index의 지표를 만들어 좀 더 쉽게 학생들의 지원서를 리뷰하며 내신성적은 입학 사정관이 자녀들의 지원서를 읽어볼 수 있는 단계까지 갈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이기 때문에 내신성적은 매우 중요하다. ▶부족한 GPA로 대학 가는 방법 5가지 1. 아직도 성적을 높일 기회는 있다. 여름방학을 통하여 온라인 클래스를 택할 수 있도록 학교 카운슬러와 상의하여 들을 수 있는 과목들을 수강한다. 물론 모든 고등학교들이 허용하지 않을 수 있지만 자녀의 해당 학교와 의논을 통하여 필요한 클래스를 수강하여 GPA를 올린다. 2. 낮은 성적에 대한 충분한 설명 대입 원서에 추가 정보섹션을 활용하여 내신성적에 영향을 미친 외부 상황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학교 카운셀러에게도 충분히 설명하여 추천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누구나도 동의할 수 있는 상황을 자세히 설명한다. 3. 시험 점수들을 높인다 SAT/ ACT/ AP시험 점수를 높이는 것은 앞서 말한 Academic Index 지수를 높이는 가장 빠른 방법으로 시험 점수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더 도움이 되며 더구나 전국적으로 치러지는 시험 점수의 높은 결과는 학생의 아카데믹 수준을 더 잘 알 수 있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4. 돋보이는 에세이 자녀의 에세이는 전체 입학 사정관이 학생들의 합격 당락을 결정하는데 에세이가 차지하는 비율은 25%다. 앞서 말한 내신성적과 코스의 난이도는 20%를 차지한다고 말한 것을 비교한다면 에세이의 중요성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에세이는 학생의 가능성과 학생의 모습을 잘 그려낼 수 있는 에세이면 좀 더 구체적으로 대학의 어떤 부분과 학생이 더 잘 어우러질 수 있는지도 상상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돋보이는 에세이는 나쁜 성적을 모든 것을 커버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는 도움이 된다. 5. 강력한 교사 추천서 추천서 역시 입시에 중요한 부분이며 10%의 대입 심사를 차지할 정도이기 때문에 강력한 선생님의 추천서는 어느 정도의 낮은 GPA를 상충할 수 있어 지금부터라도 교사와의 관계를 좋게 하는 것도 대학 입학에서의 전략적인 부분이다. 단 추천서를 부탁할 선생님은 가능한 11학년 선생님이 좋으며 2년 이상 자녀를 가르친 선생님이면 더 유리하다. 원서를 쓰기 전까지 부족한 성적을 대신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여 성적 이외의 학생의 다른 면과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줄 수 있다면 학생의 꿈의 대학을 포기하지 않아도 될 수 있을 것이다. ▶문의:(323)933-0909 www.thebostoneducation.com 수 변 원장 / 보스턴 에듀케이션에듀 포스팅 에세이 추천서 대학 입학 대학 원서 대학 지원
2023.05.29.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