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대학원생 학비 대출 어려워진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법(One Big Beautiful Act) 시행으로 대학원생의 학비 마련이 어려워지고, 학자금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Grad PLUS 대출 프로그램 폐지=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대학원생이 등록금 전액과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도록 보장하던 ‘대학원 플러스(Grad PLUS)’ 대출 프로그램의 폐지다.   연방정부는 그동안 대학원생에게 두 가지 대출 프로그램을 제공해왔다. 한 가지는 ‘직접 비보조 대출(Direct Unsubsidized Loan)’로, 이를 통해 대학원생들은 연간 최대 2만500달러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다른 하나는 Grad PLUS 프로그램으로, 학생의 필요에 따라 등록금과 생활비 전액을 추가로 대출받을 수 있다.     하지만 Grad PLUS 프로그램이 폐지될 경우 연방정부를 통해 등록금과 생활비 전체를 조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Direct Loan’만으로 한 해 수만 달러에 달하는 학비와 렌트, 생활비를 감당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저소득층이나 신용도가 낮은 학생들에겐 사실상 대학원 진학의 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출 상환 옵션 통합=또 신규 대출자에 대한 소득 기반 상환(Income-Driven Repayment·IDR) 제도가 단일화될 전망이다. 기존에는 ▶IBR(Income-Based Repayment), ▶PAYE(Pay As You Earn), ▶REPAYE(Revised PAYE), ▶ICR(Income-Contingent Repayment) 등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 대출자가 자신의 상황에 유리한 옵션을 택할 수 있었지만, 이 옵션들이 통합될 경우 상환 비율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REPAYE는 저소득층에 한해 연방정부가 이자 일부를 대신 내줬는데, 통합 제도에서는 이 혜택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또 기존 20~25년 상환 이후 잔액이 탕감됐던 것과 달리, 탕감 조건이 더 엄격해질 가능성도 크다.     한편 교육부는 오는 8월 1일부터 SAVE 플랜 대출자에 대한 이자 부과를 재개한다고 밝혔다. SAVE 플랜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내놨던 소득기반 대출 상환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지난 2월 연방항소법원이 이 플랜의 핵심 조항 효력을 무산시키는 판결을 내렸고, 이에 따라 교육부는 이자 유예 조치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이자 부과가 재개되면 약 770만 명의 SAVE 플랜 가입자들은 연평균 3500달러 상당의 추가 이자 부담을 질 것으로 전망된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대학원생 대출 대출 프로그램 그동안 대학원생 신규 대출자

2025.07.10. 21:26

UCLA 학생 미국 입국하다 구금

UCLA 국제 대학원생이 지난 16일 미국과 멕시코 국경에서 세관국경보호국(CBP)에 의해 구금돼 논란이다.   UCLA 전략 커뮤니케이션 부총장 메리 오사코는 “국제 대학원생 한 명이 미국에 입국하려다 샌디에이고 남쪽 샌이시드로 국경검문소에서 CBP에 의해 구금됐다”며 “현재 학교 측은 관련 정보와 구금 이유 등을 파악 중”이라고 지난 17일 밝혔다.   학생의 이름과 국적 등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해당 학생은 여성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이 학생을 구금하기 전 UCLA 측에 연락을 시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18일 UCLA 학교 신문인 데일리 브루인에 따르면, 이번 사건과 관련해 학생과 교직원 수백 명이 17일 캠퍼스에서 시위를 벌였다. 시위 참가자들은 ‘학생을 즉각 석방하라’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당국의 이민 정책을 강하게 비난했다. 시위에는 UCLA 교수협의회, 대학원 노조(UAW 4811) 소속 구성원 등이 참여했다.   UCLA 수니타 파텔 법대 교수는 이날 시위에서 “연방정부의 이러한 강압적 조치를 용납해선 안 된다”며 “모든 대학들이 함께 나서서 ‘이제 그만하라’고 외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UCLA 교수협의회 이사인 마이클 최 교수도 “학교가 침묵할 경우 우리가 나서야 한다”며 “UCLA는 모든 학생들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적극적인 입장을 표명하라”고 외쳤다. UCLA는 이미 지난달 19일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연방 정책 변화에 따른 여행 주의보를 발령한 바 있다.   한편, 온라인 매체 ‘인사이드하이어에듀’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전국 240개 이상의 대학에서 1550명 이상의 유학생 및 졸업생 등이 비자 상태 변경 또는 취소 조치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한길 기자대학원생 캠퍼스 시위구금 이유 국제 대학원생 대학원생 cbp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UCLA 입국 유학생

2025.04.20. 19:16

썸네일

21희망재단 제6회 장학생 선발…대학·대학원생 15명에 각 2500불

21희망재단(이사장 변종덕)이 뉴욕·뉴저지·펜실베이니아·커네티컷주에 거주하는 대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오는 12월 11일(수)까지 신청을 받아 제6회 장학생을 선발한다.     장학생은 15명(이중문화, 예술, 스포츠 분야 특기생 3명 포함)을 뽑아 1인당 2500달러씩 수여될 예정이다.   접수 방법은 웹사이트 게시판(21hope.org/main_board)에서 지원서를 다운 받아 작성 후 사무실로 우편으로 보내거나 또는 e메일([email protected])로 제출하면 된다.     제출서류는 ▶신청서(증명사진 첨부) ▶재학증명서와 성적증명서(대학 1년생은 고교 3학년) ▶추천서(학교 또는 지역사회 지도자, 단체장, 담임 목회자 등) ▶봉사활동 증명서(선택사항) ▶부모 또는 본인의 세금보고서(2023년) ▶자기소개서 및 에세이(500자 이내) ▶특기 장학생은 수상경력 또는 본인 우수함 입증자료 등인데, 에세이 주제 등 상세한 내용은 e메일 또는 전화(347-732-0503)으로 문의하면 된다. 단 2024년에 뉴욕 일원의 타 한인 단체나 재단에서 장학금을 받은 학생은 선발에서 제외.   선발된 장학생은 개별통지 및 재단 웹사이트 등을 통해 발표되며, 시상식은 12월 27일(금) 낮 12시에 산수갑산2 식당에서 열릴 예정이다. 시상식에 불참할 경우 시상 취소.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희망재단 대학원생 장학생 선발 대학원생 15명 특기 장학생

2024.11.07. 20:45

서울대 대학원생들 어바인 시청 방문

태미 김 어바인 시의원은 지난 15일 시청을 방문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학생들과 만남을 가졌다. 이 학생들은 석사 과정의 일환으로 UC어바인에서 강의를 듣고 있다. 서울대 방문단은 행정대학원 나종민 교수가 인솔했다. 태미 김(배너 바로 뒤 주황색 상의 입은 이) 시의원이 방문단과 함께 자리했다.   [태미 김 시의원 제공]대학원생 서울대 서울대 대학원생들 시청 방문

2024.07.24. 20:00

썸네일

[대입 들여다보기] 대학원생도 FAFSA 재정보조 신청 가능…부모 아닌 본인 수입·자산만 기입해야

많은 고교생들이 대학에 진학하기 전부터 대학원 또는 프로페셔널 스쿨 진학을 꿈꾼다.   대학 학부도 그렇지만 대학원 또한 공부하는 데 적잖은 돈이 든다.     ‘에듀케이션 데이터’(ED)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석사 프로그램 학비는 보통 연 5만4000달러에서 7만3000달러 사이다. 전공과 학교, 프로그램 기간 등에 따라 비용이 차이가 난다.     대학원 비용의 일부를 충당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연방 무료 학비보조신청서(FAFSA)를 작성해서 제출하는 것이다. 칼리지보드에 따르면 2022~2023학년도에 풀타임 대학원생은 평균 2만8300달러의 연방정부 보조금을 받았다.     그러나 대학원생으로 FAFSA를 작성하는 것은 학부 때 하는 것과는 좀 다르다.     대학원을 위한 FAFSA는 어떻게 다르고, 연방 재정보조 프로그램 중 대학원생이 받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학부 기간에 FAFSA를 접수한 적이 있다면 대학원 때도 기존 연방 FSA ID와 패스워드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학부 때와 마찬가지로 대학원 때도 FAFSA를 매년 작성해서 제출해야 한다. 그러나 대학원생이 신청할 수 있는 연방 재정보조 프로그램은 학부 때와 차이가 있다.     대학원의 FAFSA는 학생의 재정자료만 요구한다. 또한 대학원생에게 가능한 연방 보조의 종류에는 교사자격증(teching credential)을 추구하는 대학원생만을 위한 펠그랜트, 다이렉트 비보조 융자(unsubsidized loan), 대학원 플러스 융자, 연방 워크 스터디 프로그램 등이 있다.     대학원생은 다음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FAFSA 정보에 근거해 재정적 필요성을 입증해야 하며, 미국 시민이거나 자격을 갖춘 비시민이어야 한다. 또한 적합한 학위 또는 자격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학원에 진학해야 하며, 해당 대학에 정식 학생으로 등록해야 한다.     이때 알아야 할 점은 학부생과는 달리 대학원생은 FAFSA를 작성할 때 부양가족(dependent)으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신 독립적인(independent) 학생으로 고려된다.     이 말은 재정보조 신청서에 부모의 개인 및 재정 정보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일부 대학원생은 부모의 집에 살면서 수입이 없다는 이유로 자신을 피부양자로 생각하고 부모의 재정 정보를 FAFSA에 기입하는 실수를 한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것으로 학생이 24세가 되었거나 대학원생이라면 피부양자가 아닌 independent로 고려된다.     그래서 오직 학생의 수입과 자산만 재정보조 신청서에 기입해야 한다.     그렇다면 대학원생은 FAFSA를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대학원 과정에 합격한 뒤 StudentAid.gov에서 FAFSA 온라인 신청서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PDF 파일을 프린트해서 종이 신청서를 제출하거나 전화(800-433-3243)로 신청서를 요청할 수 있다.     FAFSA를 작성할 준비가 되었다면 다음 단계를 따른다.     첫째, 자신의 개인 정보와 재정 정보를 수집한다. 두 가지 정보의 상세사항을 모두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운전면허증, 소셜번호 또는 외국인 등록번호, 가장 최근의 택스 리턴 사본, 은행 스테이트먼트, 자산 기록, 비과세 수입 관련 서류 등이 필요하다. 또한 국세청(IRS) 자료를 불러오는 도구를 이용해서 자동적으로 상세 재정정보를 불러와야 할 수도 있다.     둘째, 어떤 대학원인지 밝혀야 한다. 온라인 FAFSA를 제출할 때 최고 20개 대학원까지 포함시킬 수 있다. 종이 신청서는 최고 10개까지 가능하다. 이를 위해 해당 학교의 연방 학교코드를 찾아야 하는데 이 코드는 보통 대학의 재정보조 웹사이트에 나와 있다.     셋째, FSA 로그인 정보와 ID를 확인하는 것이다. 학부 때 FAFSA를 제출했다면 같은 ID와 패스워드를 사용하고, 접수하지 않았다면 StudentAid.gov를 통해 새 FSA ID와 패스워드를 만들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최대한 빨리 FAFSA를 접수하는 것이다. 재정보조는 선착순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보통 매년 10월 1일부터 FAFSA가 오픈하니 가능한 일찍 접수하고, 어카운트를 통해 진행상황을 점검한다.   ▶문의: (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대입 들여다보기 대학원생 재정보조 재정보조 신청서 풀타임 대학원생 재정보조 프로그램

2024.04.07. 17:21

재미과기협, 2024 장학생 모집…학부·대학원생 총 55명 선발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KSEA, 회장 손용호)가 2024 장학생 총 55명을 모집한다.   신청 대상은 과학, 공학, 수학, 의약학 등 관련 분야 전공 학부생 또는 대학원생으로 KSEA 회원이거나 신규가입자에 한한다.   지난해 박사후 과정 연구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창설된 ‘Postdoc Fellowship’ 5명에게도 장학금을 수여한다.   학부생의 경우 장학금 신청서 제출시 2학기 또는 3쿼터를 마쳐야 신청자격이 주어지며, 대학원 장학생은 석사와 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자격이 주어진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모두 장학금 신청 시점에 재학생 신분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학부생은 30명을 선발해 각 1500달러를 준다.   임지훈 뉴욕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의 기부로 신설된 ‘KSEA-Rim Scholarship’도 10명에게 수여한다.   한미과학협력센터(KUSCO, 이사장 이광복)와 공동 수여하는 ‘KSEA-KUSCO’ 대학원생 장학금은 20명에게 각 2000달러를 지급한다.   박사후 과정 연구생에게 지급하는 ‘Postdoc Fellowship’은 5명에게 각 2000달러를 수여한다.   마감은 내달 31일이다. 제출 서류는 온라인 신청서, 성적증명서, 추천서 2부, 영문 에세이, 이력서다.   신청은 웹사이트(www.ksea.org/scholarship)로 받으며, 문의는 이메일([email protected])로 하면 된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대학원생 장학생 대학원생 장학금 장학생 모집 대학원생 모두

2024.02.22. 18:13

의료비영리 미션시티 클리닉, 여름 인턴십 참여 학생 모집

의료 비영리 단체 '미션시티 커뮤니티 클리닉(MCCN)'이 여름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할 학생을 모집하고 있다.   미션시티 클리닉 여름 인턴십은 오는 22일부터 8월 중순까지 약 8주간 진행된다.   이 기간에 인턴 학생은 LA 지역별로 질병 및 의료 서비스 등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된다. 마크 이 디렉터는 "약 8명의 팀을 구성해서 메디컬 프로그램에 대해 연구를 할 계획"이라며 "의학 공부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지원 자격은 LA카운티 거주민으로 고등학교 11학년부터 MCAT(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를 준비하는 대학생이다.     지원자는 코로나 백신 접종자이며 결핵 피부 반응 검사(TB test)를 받아야 한다.   이 디렉터는 "열정적이고 커뮤니티 봉사에 관심 있는 학생들의 많은 참여 기대한다"며 "봉사 시간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여름 인턴십 프로그램은 한인타운 내에 위치한 MCCN(3660 Wilshire Blvd., Suite 102)에서 하이브리드로 진행될 계획이다.   ▶문의: (213)263-2100, (213)674-7706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미션시티 대학원생 여름 인턴십 대학원생 상대 미션시티 클리닉

2023.06.13. 14:19

강 드림재단 52명에 장학금 전달…대학·대학원생 1200불씩

한인 의류업체 엣지마인(회장 강창근·사진)이 설립한 비영리 재단 ‘강 드림재단(Kang Dream Foundation)’이 5만6400달러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강 드림재단 측은 제11회 장학생으로 선발된 대학생 및 대학원생 42명(각 1200달러)과 고등학생 10명(각 600달러) 등 52명에게 총 5만6400달러의 장학금을 지급했다고 최근 밝혔다.   장학생 선발은 KYCC (한인타운 청소년회관), LA한인회, 밀알선교회 등 17개 단체의 추천을 받아 진행됐다.     재단 측은 “재정적인 어려운 환경에서도 학업 성적이 우수하고 장래가 촉망되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꿈과 목표를 이루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 드림재단은 강창근 회장이 사회환원을 실천하기 위해 지난 2013년 회사 창립 20주년을 맞아 설립했다. 이후 자선단체 지원과 장학사업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드림재단 대학원생 대학원생 1200불씩 드림재단 52명 장학금 전달

2023.05.30. 23:32

썸네일

뉴스타부동산 장학생 모집…대학·대학원생, 31일 마감

뉴스타부동산이 ‘2022년도 제22회 뉴스타부동산 장학생’을 모집한다.     지원 대상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으로 미국 내 거주하는 외국인도 지원 가능하며 뉴스타 장학재단 심사위원회를 통과하면 된다.   제출 서류는 나의 롤 모델, 가족사항과 수혜 사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담은 영문 에세이, 추천서(담당 교수 및 교사, 사회 단체장, 카운슬러) 그리고 성적 증명서 또는 입학허가서 사본이다.   접수 기간은 오는 5월 31일까지로 문의와 접수는 뉴스타 장학재단(전화 213-632-0288,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웹사이트(https://newstarfoundation.com)로도 가능하다.   뉴스타부동산은 지난 21년 동안 회사와 뉴스타 에이전트 장학 이사들의 지속적인 후원으로 누적 기금 184만 달러를 마련해 1910명의 학생에게 장학금을 수여했고, 지난해는 80명에게 총 8만 달러를 지급했다.뉴스타부동산 대학원생 뉴스타부동산 장학생 장학재단 심사위원회 접수 기간

2022.05.18. 18: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