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말 챗GPT의 등장은 세계를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의 소용돌이로 몰아넣었다. 불과 2년 만에 챗GPT는 세계 6위 웹사이트로 성장했고, 연매출은 100억 달러에 달했다. 현재 미국 직장인의 43%가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AI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 즉 데이터 센터의 중요성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데이터 센터는 수많은 특수 컴퓨터 칩이 연결된 거대한 네트워크 시설로, 특히 AI전용 센터는 기존 시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형화되고 막대한 전력과 냉각수를 쓰고 있다. 현재 AI 데이터 센터를 보유한 국가는 전 세계 32개국(약 16%)에 불과하다. 이 중 미국과 중국이 전체 설비의 절반 이상을 운영하고 있어 AI 주도권이 소수 국가에 집중된 양상이 뚜렷하다. 오픈AI는 텍사스에 600억 달러를 투자해 자체 천연가스 채굴 시스템까지 갖춘 세계 최대 규모의 데이터 센터를 건설 중이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라 명명된 이 시설이 완공되면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팅 허브가 될 전망이다. 아마존도 인디애나주의 농지에 축구장보다 큰 데이터 센터 7개를 지었고, 추가로 30개를 더 짓는 ‘라이너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놀라운 점은 이 엄청난 시설이 AI스타트업 앤트로픽(Antropic)만을 위한 전용 인프라라는 사실이다. 중국은 ‘동수서산’ 전략(경제가 발달한 동부에서 데이터를 생산하고 서부에서 처리 및 저장)에 따라 신장, 칭하이, 간쑤 등 서부 내륙 지역에 AI 데이터 센터를 집중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작년 하반기 이후, 중국 전역에서 250개 이상의 센터가 완공되었거나 건설 중이다. 이처럼 가파른 확장 속도는 미국의 우위를 위협할 가능성도 크다. 미국과 중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해외 데이터 센터 확장에도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현재 미국 기업은 63개, 중국 기업은 19개의 해외 센터를 짓고 있다. 이는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해 속도를 높이고, 동시에 각국의 ‘데이터 국외 반출 제한’ 규제를 충족하려는 전략적 조치다. 이처럼 세계는 AI 인프라를 자력으로 구축한 국가와 외부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국가로 나뉘고 있다. 그 격차의 핵심 요인은 그래픽 처리 장치(GPU)의 수급 문제다. 첨단AI 모델을 설계하고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3인치 크기의 고성능 마이크로 칩이 수천~수십만개가 필요하다. 그런데 일부 국가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첨단 GPU의 수출을 제한하고 있어 개발도상국의 AI 인프라 구축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각국 정부는 AI 주권 확보를 위해 토지와 에너지를 저렴하게 제공하고, 규제를 완화하며, 공공 자금도 아끼지 않고 있다. 그 목표는 자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된, 자국민과 기업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자주적 인공지능(sovereign AI)’ 구축이다. AI는 이미 산업과 일상 전반에 깊숙이 스며들어 통제 권력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그 속도는 예상보다 너무 빠르다. 이제 AI에 대한 투자는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미래 패권을 좌우하는 분수령이 되었다. AI 권력을 확보한 국가와 기업이 세계 질서의 숨은 지배자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미국을 향한 중국의 거센 추격 속에서, AI 패권의 향방이 우리의 미래를 결정지을 것이다. 레지나 정 / LA 독자열린광장 권력 미래 데이터 센터 해외 데이터 ai전용 센터
2025.07.29. 18:25
#. 호프만에스테이츠 Sears 부지, 데이터센터 변신 시카고 서버브 호프만 에스테이츠에 위치한 전 시어스(Sears) 본사 건물이 매각돼 데이터 센터로 사용될 예정이다. 호프만 에스테이츠 시는 12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273에이커 규모의 전 시어스 본사 건물이 텍사스 주 달라스에 본사를 둔 컴파스사에 매각됐다고 밝혔다. 정확한 매각 금액과 추후 개발 계획은 즉각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호프만 에스테이츠 시는 컴파스사가 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며 지역 경제에 매우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시어스 백화점 본사 건물은 약 240만 평방피트 규모로 현재는 비어 있다. 컴파스 사는 이 건물을 허물고 대형 데이터 센터를 세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지난 2021년 12월 건물을 소유하고 있던 트랜스폼코사는 이 건물을 매각하기 위해 마켓에 내놨다. 하지만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형 빌딩을 매각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결국 마켓에 나온 지 21개월 만에 데이터 센터로 부지가 매각된 셈이다. 데이터 센터는 사무실이나 산업 단지 분야에 속하지 않아 비교적 주민들의 반대가 덜한 편이다. 다만 전력 사용량이 엄청나게 높기 때문에 매입 당시 이와 관련된 조항이 삽입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편 시카고 지역에는 최근 인공 지능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센터 건설이 한창이다. 마운트 프로스펙트에 위치했던 유나이티드 항공사 전 본사 부지에도 데이터 센터가 들어서고 있으며 페이스북과 메타를 소유하고 있는 메타 역시 드캘브에 10억 달러를 투자해 데이터 센터를 마련 중이다. @NP #. 시카고 보건국, 내주부터 부스터 백신 제공 시카고 보건국이 다음 주부터 시카고 주민들에게 코로나19 부스터 백신을 제공한다. 보건 당국은 다음주 내로 병원, 클리닉, 그리고 약국 등을 통해 부스터 백신을 공급한다며 최소 최근 두 달 사이 아무런 부스터 백신을 맞지 않은 주민들에게는 접종을 권고했다. 백신은 무료로 제공되지만 보험이 없는 주민들은 시에서 운영하거나 연방 지원금을 받는 클리닉에서만 접종 가능하다. 보험이 있는 주민들은 월그린스나 CVS 등의 약국에서 온라인을 통해 예약을 하면 된다. 시카고 시는 이민 신분과 무관하게 누구에게나 백신 접종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KR #. 이번 주말 멕시코 독립기념일 축제-행사 다양 멕시코 독립기념일(9월 16일)을 맞아 이번 주말 시카고 일원에서는 다양한 축제와 행사가 열린다. 이와 관련 시카고 시 비상관리본부(Office of Emergency Management and Communications)는 14일 주민들에게 공공질서 준수와 안전 등을 당부했다. 시 비상관리본부는 “도로 레이싱이나 드리프트 같은 행위는 불법일 뿐만 아니라 위험한 행동으로 금지된다”며 “행사 참석자들은 이웃과 커뮤니티를 존중해 성숙한 시민 의식을 갖고 즐길 것을 권한다”고 전했다. 퍼레이드 등 멕시코 독립기념일 행사가 많은 이번 주말은 시카고 지역 많은 도로가 통제되는 만큼 사전에 확인하는 게 좋다. @JW #. 회사 행사 도중 대형 텐트 무너져 26명 부상 시카고 남서 서버브 베드포드 파크 지역 한 회사의 직원 행사 도중 대형 텐트가 무너져 최소 26명이 부상했다. 지난 14일 오전 10시45분경 5600 웨스트 73가에 위치한 유니폼 제조업체 '신타스'(Cintas)에서 직원들을 위한 행사를 진행되던 도중 설치해둔 텐트가 무너졌다. 이 사고로 모두 26명이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는데 5명은 위독한 상태로 알려졌다. @KR Kevin Rho / Jun Woo 기자로컬 단신 브리핑 데이터센터 호프만 데이터센터 변신 시카고 주민들 데이터 센터
2023.09.15. 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