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5월에 걸쳐 맨해튼 소극장 ‘The Public’에서 공연된 연극의 제목이 희한하다. “Glass. Kill. What If If Only. Imp.” 우리말로 “유리. 죽여. 만약 만약이라면 어쩌지. 도깨비.”라 옮기기로 한다. 영국 극작가, 올 86세 ‘Caryl Churchill’의 걸작품. 첫 번째 무대, ‘Glass’에서는 유리처럼 깨지기 쉬운 여성의 취약성을, 두 번째, ‘Kill’에서는 곧잘 전쟁을 일으키는 인류의 뿌리 깊은 가학성을 묘파한다. 세 번째, ‘What If If Only’. 아홉 살짜리 내 손녀딸 세실리아(Cecelia)가 등장한다. 심한 상실감에 빠진 사내에게 그녀는 말한다. “I am going to happen!” “나는 발생할 것이에요,”라 하면 좀 이상하게 들린다. “나는 피어날 거예요.”는 어떨까. “나는 일어설 거예요?” 마지막 무대, ‘Imp’에서 마약중독자, 지체부자유자 등등 사람들의 대화는 끊임없이 계속되지만, 소통의 흔쾌한 연속성은 여전히 부재한다. 도깨비가 무서워서 병 속에 넣어 코르크로 입구를 막아 두는 정황. 이들의 대화에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에 버금가는 단절감이 범람한다. 이 연극은 만화경 같은 구성으로 짜여졌다는 평을 받은 바 있다. 실체는 없고 그림자만 있는, 말이 사라지고 느낌만 살아나는 예술적 분위기. 당신과 내 대화에서 서로 딴소리를 하는 상황이 연출된다. 그나마 의사가 대충 전달되는 게 재미있지. 사실주의 그림보다 추상화에 마음이 쏠리는 이치와 비슷하다. 문맥이 엉망이라도 바닥을 치는 진실 같은 것이 확 느껴지는 순간에. 옛날에 문라이팅을 할 때 병동에서 두 노인환자가 양지바른 창문을 향해 앉아 대화하는 정경을 접한 적이 있다. 한쪽이 말한다. 자기 아들이 음주운전에 자꾸 걸려 감옥에 갈 것 같다고. 다른 쪽이 말한다. 자기 딸의 두 번째 임신이 또 아들이라는 소식을 듣고 아주 기쁘다고. 이들은 짐짓 따스한 미소를 지으며 대화를 계속한다. 공감이나 적개심이 전혀 없이 다정하고 평화로운 의사소통을 이어가는 것이다. 허언(虛言). 빌 虛, 말씀 言. 빈말은 허망하다. 망상에서 나온 말을 망언(妄言)이라 하지. 망령될 忘, 말씀 言. 망상은 내 소관이다. 허언과 망언을 분별하기가 어려워서 고심하는 것 또한 직업의식이다. 사전은 허언을 ‘실속이 없는 빈말’ 외에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것처럼 꾸며대어 말을 함’이라 풀이하고, 유의어로 ‘거짓말, 공염불’을 든다. 우리는 거짓말을 거짓말이라 하는 대신 ‘허언’이라는 한자어로 포장한다. 거짓말쟁이를 허언증 환자라 지칭하며. 기원전 1세기. 줄리어스 시저의 양자(養子) 옥타비아누스는 그의 정적(政敵)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알콜중독, 바람둥이, 클레오파트라의 꼭두각시라는 가짜뉴스를 퍼뜨린다. 안토니우스는 옥타비우누스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자살한다. 이것이 위키피디아가 지적한 인류 최초의 ‘fake news, 가짜뉴스’다. 고의적으로 한 새빨간 거짓말! 세 번째 무대, ‘만약 만약이라면 어쩌지’에 나오는 이런 대사가 뼈를 때린다. “I‘m the ghost of a dead future. I’m the ghost of a future that never happened…”, “나는 죽은 미래의 유령이에요. 한 번도 생겨나지 못한 미래의 유령이요….” 다시 말해서, 당신과 나는 아직 깨어나지 않은 미래의 유령인지도 모른다. 서량 / 시인·정신과 의사잠망경 도깨비 유리 허언과 망언 허언증 환자 거짓말 공염불
2025.05.27. 18:04
버지니아주 소도시 ‘Falls Church’ 가는 길에 폭우가 왕창 쏟아진다. 차들이 꽉 막히고 윈드쉴드 와이퍼가 끽끽 요동치고 짙은 안개가 장대비에 합세한다. 날씨가 도깨비 같다. 2025년 재미 서울의대 컨벤션 길. 내가 맡은 강의에 ‘귀신(鬼神)’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다. 귀신 鬼는 그렇다 치더라도, ‘귀신 神’은 좀 난처하다. ‘하느님’을 귀신이라 부르는 것은 불경스럽다. 신을 도깨비라 할 수도 없는 노릇. 민속설화에 「혹부리영감」, 「도깨비방망이」가 있지. 전자는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이고 왔다’는 관용어가 나올 지경으로 우리 모두에게 잘 알려진 스토리. 도깨비들이 사는 집에 무단 투숙한 혹부리영감은 자기의 구성진 노래가 목에 달린 혹에서 나온다는 새빨간 거짓말을 한다. 그들은 노래를 잘 부르고 싶어서 영감의 혹을 떼어주고 방망이의 요술로 재운(財運)도 준다. 이 소문을 듣고 다른 혹부리영감이 똑같은 수법을 시도했지만 이미 사태를 파악한 도깨비들은 혹을 떼어 주기는커녕 전에 입수한 혹까지 붙여준다. 「도깨비방망이」는 혹을 거론하지 않지. 주인공은 육체적으로 건전할뿐더러 정신적으로 이기성(利己性)보다 애타성(愛他性)이 돈독한 나무꾼. 나무를 하는 중, 첫 번째로 굴러온 개암 열매를 아버지에게, 두 번째 개암은 어머니에게 드리고, 마지막 세 번째 것을 자기 몫이라며 주워 넣는다. 그는 날이 저물어 도깨비들이 외출하고 없는 집에 들어가 자려 한다. 집에 돌아온 그들이 방망이를 휘두르며 요술을 부리는 광경을 숨어 본다. 그가 개암을 딱! 하고 깨물자 그 소리에 놀라 방망이를 놓고 도망치는 도깨비들. 나무꾼은 도깨비방망이를 하나 얻어 곧 부유해진다. 다른 나무꾼에게도 개암 열매가 굴러온다. 그는 첫 개암을 자기 것, 두 번째를 자기 아내에게, 세 번째를 부모 몫으로 할당한다. 각본대로 개암을 딱! 깨물자 도깨비들은 방망이로 그를 실컷 두들겨 팬다. 한번 당하지 두 번 당하지 않는 도깨비들. 어릴 적 부르던 ‘도깨비 나라’가 떠오른다. - 이상하고 아름다운 도깨비 나라/ 방망이로 두들기면 무엇이 될까/ 금 나와라와라 뚝딱/ 은 나와라와라 뚝딱. - 한국이 도깨비 나라라는 생각, 이 순간에도 많은 도깨비가 방망이를 휘두르고 있다는 느낌. 숱한 나무꾼들이 도깨비방망이를 차용해서 재운(財運)을 타기도 하지만, 이기성과 애타성이얽히고설킨 대인관계의 우선순위가 비틀어진 흉내쟁이 나무꾼들이 흠씬 두들겨 맞는 시나리오를 예감한다. 영어로 도깨비는 ‘goblin’이라 하지. 고대 영어로 ‘화내다, 짜증 내다’라는 뜻이었단다. ‘goblin’은 방망이 대신 초승달 모양의 고대 무기로서, 길이 2m 정도의 ‘scimitar 언월도, 偃月刀’를 들고 다닌다는 기록. 내 첫 시집 『맨해튼 유랑극단』(2001)에 「도깨비 하나」라는 제목의 시가 있다. - // 내가 좋아하는 친구 하나 있더니/ 사실은 이 친구가 도깨비다/ 낮에 자고 밤에 찾아온다/ 초승달 등 넘어 내 옆에 온다/ …(중략)… 잔뜩 눈알만 부라리다가/ 이윽고 키득키득 웃어대는 도깨비 자식/ 그때 밤하늘 별무리 금싸라기가/ 온통 내 눈까풀 위에 쏟아져 내렸다/ 눈을 감아도 그냥 뜬 채로 였다// 도깨비는 참 외로운 존재로 보인다. 도깨비는 내 친구. 서구적 도깨비보다 우리의 도깨비가 마음에 든다니까. 노래를 잘 부르고 싶은 욕심으로 혹부리영감의 거짓말에 한 번쯤 슬쩍 넘어가는 우리의 얼떨떨한 도깨비들이. 서량 / 시인·정신과 의사잠망경 도깨비 나라 도깨비가 방망이 도깨비 나라 도깨비가 마음
2025.04.15. 20:34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이며 가장 프랑스적인 도시 퀘벡의 명성은 그리 새삼스러울 일 없지만 겨울 퀘벡은 또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다. LA에서는 보기 힘든 눈 내린 도시 풍경 속 관광객들 많지 않은 고요함까지 덤으로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성수기보다 훨씬 저렴한 항공료와 숙박비는 덤이다. ▶어디를 가볼까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퀘벡으로 향한 이유, 바로 올드타운(Vieux-Quebec)에서 여행을 시작해야 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올드타운은 그리 크지 않은 지역이다 보니 반나절이면 교회와 성당 등 유서깊은 건축물을 다 구경할 수 있다. 특히 드라마 '도깨비' 무대가 됐던 샤토 프롱트낙 호텔(Fairmont Le Chateau Frontenac) 방문을 잊지 말자. 겨울철엔 객실 요금도 저렴한 편이어서 이곳에 투숙하는 것도 퀘벡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방법이다. 올드타운을 제대로 즐기려면 특정 관광지를 방문한다기보다 그저 산책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다 지치면 카페나 식당에서 몸을 녹이며 따뜻한 커피 한잔 혹은 간단한 식사를 하며 하릴없이 보내는 것이 가장 완벽한 하루를 보내는 방법. 그리고 퀘벡하면 빼놓을 수 없는 성곽길을 따라 산책하는 것도 잊지 말자. 길이 약 2.8마일에 이르는 퀘벡 성벽은 1608~1871년 사이에 건축됐는데 벽을 따라 걷다보면 세인트로렌스 강을 따라 펼쳐진 도시 전체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이렇게 올드타운을 구경했다면 퀘벡 하면 떠오르는 그곳, 쁘띠 샹 플랭(Quartier du Petit Champlain)으로 향하자. 북미에서 가장 유럽스러운 지역인 이곳은 좁은 골목을 따라 클래식한 상점과 식당들이 즐비한데 예쁜 골목도 그러하지만 '도깨비' 촬영지로도 유명해 촬영 스팟을 찾아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쁘띠 샹 플랭에서 유명한 맛집은 바로 퀘벡 전통요리를 맛볼 수 있는 '라팡 소떼(Lapin Saute)'인데 이곳의 시그니처 메뉴는 토끼고기 푸틴. 또 이곳에 왔다면 반드시 들러야 하는 '라 쁘띠 카반 아 수크레(La Petite Cabane a Sucre)'에서는 캐나다식 달고나인 메이플 테피(Maple Taffy)를 먹어볼 만하다. 만약 스키어라면 몽트랑블랑(Mont Tremblant)에서 스키를 즐기는 것도 여행 계획에 꼭 넣자. 퀘벡 주 로렌시아 산맥에 위치한 몽트랑블랑은 많은 적설량과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 눈 제조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전세계 스키어들에게 사랑받는 스키장이다. 만약 올해 2월 초 퀘벡을 방문할 예정이라면 2월 3일~12일까지 열리는 '퀘벡 윈터 카니발'을 구경할 수 있다. 1894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이 유서깊은 겨울 축제에서는 야간 퍼레이드부터 얼음조각 전시, 스케이팅, 아이스 카누 레이싱 등 다양한 전시와 대회를 만나볼 수 있다. ▶뭘 먹을까 퀘벡은 미식 도시로도 각광받고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감자튀김에 치즈와 그레이비를 곁들인 푸틴(Poutine) 맛집은 '스낵바 생장(Snack Bar Saint-Jean)'이 유명하다. '푸틴 위크'라 명명된 2월 둘째주에 퀘벡에 간다면 더 다양한 종류의 푸틴을 로컬 식당 곳곳에서 맛볼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곳에 왔다면 전통 요리를 맛봐야 하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페브 오 라르(Feves au lard)'. 이 음식은 불어로 '지방이 많은 콩'이라는 뜻. 메이플 시럽을 곁들여 구운 콩으로 캐나다에서는 아침식사로 많이 먹는 메뉴다. 또 퀘벡의 아침식사 메뉴로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크레톤(Creton)'인데 이는 짭짤한 돼지고기 스프레드로 현지인들은 이것을 토스트에 발라 먹는다. 겉보기엔 이상해보이지만 먹어보면 보기보다 훨씬 맛있다. 퀘벡 버전 셰퍼드 파이인 '빠떼 시누아(Pate Chinois)'는 중국 파이란 뜻으로 19세기 중국 철도 건설 노동자들이 감자와 옥수수, 쇠고기, 양파 등을 파이에 넣어 먹은데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퀘벡 스타일의 고기 파이인 '뚜띠에르(Tourtiere)'는 크리스마스 이브부터 새해까지 자주 먹는 명절 음식. 40년 전통의 유명 식당 '오 오스 캐나디앙(Aux Anciens Canadiens)'에 가면 소박한 가정식 고기 파이를 맛볼 수 있다. 이외에도 설탕 파이란 뜻의 '타르트 오 수크라(Tarte au Sucre)', 기본 재료에 충실하고 푹신한 '푸딩 쇼뫼르(Pouding chomeu)' 등도 퀘벡에 갔다면 꼭 맛봐야 할 디저트 중 하나다. 글=이주현 객원기자·사진=퀘벡 관광청 제공드라마 도깨비 퀘벡 전통요리 드라마 도깨비 겨울 퀘벡
2024.01.04. 20:34
뉴욕한국문화원이 핼러윈을 맞이해 어린이 행사를 마련했다. 문화원은 오는 30일 오후 4시 뉴욕공립도서관 53스트리트에서 '쌍둥이 도깨비(The Goblin Twins)’의 저자 프랜시스 차(Frances Cha)를 초청해 ‘뉴욕시를 점령한 도깨비’ 어린이 행사를 개최한다. 미국에서 주목받는 한국계 소설가인 프랜시스 차는 2021년 ‘너의 얼굴을 갖고 싶어(If I Had Your Face)’로 데뷔해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지난 9월에는 호기심 가득한 601살 아기 도깨비의 모험담을 그린 차기작 ‘쌍둥이 도깨비’를 출간했다. 이번 행사에서 프랜시스 차는 어린이 독자들을 대상으로 '쌍둥이 도깨비' 스토리타임을 갖고, 행사에 참여한 어린이들은 도깨비 미술 키트를 통해 도깨비 마스크와 방망이를 만들어 볼 수 있다. 3세 이상 아동 선착순 35명에게 도깨비 미술 키트가 증정된다. 행사는 무료이며, 참여 문의는 전화(212-759-9550)를 통해 하면 된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도깨비 문화원 문화원 도깨비 쌍둥이 도깨비 도깨비 미술
2023.10.19. 17:57
에어캐나다는 현재 경유편만 운행되고 있는 밴쿠버에서 퀘벡시의 쟝 르사쥬 드 퀘벡 국제공항(Aéroport International Jean-Lesage de Québec, YQB)까지 성수기 시즌에 맞춰 직항편을 운항한다고 발표했다. 시작은 내년 5월 20일부터이다. 주 3회 운항을 할 예정이며, 캘거리에서 퀘벡시 사이는 주 4회 운항된다. 퀘벡시는 한국의 드라마 도깨비로 한인들에게 더 잘 알려진 도시이다. 표영태 기자밴쿠버 도깨비 도깨비 도시 드라마 도깨비 퀘벡 국제공항
2021.10.25. 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