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디에이고 카운티 내 11곳의 공공 도서관에서 채소와 과일의 씨앗(사진)을 무료로 나누고 있다. '시드 앤 서스테이너빌리티 프로젝트(Seeds & Sustainability Project)'로 명명된 이 나눔은 정원 가꾸기와 퇴비화를 통해 지역 사회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씨앗은 각 가정당 하루에 2개씩 가져갈 수 있는데 씨앗 종류는 멜론, 스쿼시, 토마토, 당근 고추 등 과일, 채소 류와 수분을 매개하는 충매화 종류가 있다. 무료 씨앗 제공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카운티 내 도서관 지점은 다음과 같다. ▶알파인, 엘 카혼, 폴브룩, 라메사, 레몬그로브, 링컨 에이커, 랜초산타페, 샌마르코스, 밸리센터, 비스타. 도서관서 무료 도서관서 무료 무료 씨앗 씨앗 종류
2024.05.30. 20:37
덴버 공립 도서관에서 2023년 한해동안 가장 많이 대출된 책은 보니 가머스의 소설 ‘화학 수업’인 것으로 집계됐다. 덴버 폭스 뉴스는 최근 지난해 덴버 공립 도서관을 찾은 책벌레 주민들이 가장 많이 대출한 신간 서적 톱 10에 대해 소개했다. 소설에서 논픽션까지 장르도 다양한 톱 10 도서들은 다음과 같다. ▲1위 보니 가머스의 ‘화학 수업’(Lessons in Chemistry by Bonnie Garmus) ▲2위 개브리엘 제빈의 ‘내일 그리고 내일 그리고 내일’(Tomorrow, and Tomorrow, and Tomorrow by Gabrielle Zevin) ▲3위 해리 왕자의 ‘스페어: 서섹스 공작 해리 왕자’(Spare: Prince Harry The Duke of Sussex by Prince Harry) ▲4위 제넷 맥커디의 ‘엄마가 돌아가셔서 기뻐요’(I’m Glad My Mom Died by Jennette McCurdy) ▲5위 테일러 젠킨스 리드의 ‘에블린 휴고의 일곱 남편’(The Seven Husbands of Evelyn Hugo by Taylor Jenkins Reid) ▲6위 레베카 야로스의 ‘네 번째 날개’(Fourth Wing by Rebecca Yarros) ▲7위 콜린 후버의 ‘진실성’(Verity by Colleen Hoover) ▲8위 콜린 후버의 ‘그것은 우리로부터 시작된다’(It Starts with Us by Colleen Hoover) ▲9위 에밀리 헨리의 ‘행복한 장소’(Happy Place by Emily Henry) ▲10위 로빈 월 키머러의 ‘스위트그래스 땋기: 원주민의 지혜, 과학적 지식과 식물의 가르침’(Braiding Sweetgrass: Indigenous Wisdom,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Teachings of Plants by Robin Wall Kimmerer) 사람들은 ‘진실성’이나 ‘에블린 휴고의 일곱 남편’과 같이 마지막에 엄청난 줄거리의 반전이 있는 소설들을 좋아하는 한편으로 장르가 매우 다른 자서전에도 푹 빠졌다. 인기 있는 자서전 중 하나는 해리 왕자가 쓴 것이었는데 그는 어머니인 다이애나 왕세자비를 잃은 가슴 아픈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시트콤 아이칼리(iCarly)에 출연한 여배우 제넷 맥커디가 저술한 자신의 자서전 ‘엄마가 돌아가셔서 기뻐요’도 독자들의 심금을 울렸다. 덴버 공립 도서관 최다 대출 서적 톱 5는 덴버 지역 뿐 아니라 미전국적으로도 인기가 높은 책들이었다. 특히 작년에 뉴욕 타임스 베스트 셀러 목록, 공항 편의점, 반스&노블 서점, 굿리즈(Goodreads)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책들도 포함됐다. 이은혜 기자도서관서 덴버 덴버 공립 공립 도서관 덴버 폭스
2024.04.26. 13:41
리처드 닉슨 대통령 기념 도서관에서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문화행사 및 세미나'가 열린다. 7일 LA총영사관(총영사 김영완)과 LA한국문화원(원장 정상원)은 리처드 닉슨 재단과 공동으로 한미동맹 중요성을 알리는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미동맹 70주년 기념행사는 오는 20일(화)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요바린다 리처드 닉슨 기념 도서관 및 박물관에서 열린다. 주최 측은 ▶1953년 당시 닉슨 부통령 한국방문 및 이승만 대통령 면담 사진 등 한미관계 관련 자료전시회 ▶한국 전통 성년례 및 난타 공연을 준비했다고 전했다. 이날 세미나는 한미관계의 과거, 현재, 미래를 주제로 다룬다. 토론에 앞서 ▶1953년 한미동맹의 형성 과정(데이비드 필즈 위스콘신대 동아시아연구소 부소장) ▶한미동맹에 대한 양국 국민의 인식(진 박 로율라메리마운트대 국제정치학 교수) ▶미중경쟁 등 급변하는 국제정치 환경 하 한미관계 현황과 전망(이호철 인천대 국제정치학 명예교수) 발표도 마련됐다. 또한 1953년 미 제2군수사령부 사령관으로 부산에 부임해 폐허가 된 한국 재건에 헌신한 고 리처드 위트컴 장군 가족에게 평화의 사도 메달을 전달한다. 메달은 위트컴 장군의 딸 민태정 위트컴희망재단 이사장이 대리 수여할 예정이다. 행사 참석 희망자는 웹사이트(forms.gle/TEkTEBMGMq3AKFkKA)로 등록하면 된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도서관서 한미동맹 한미동맹 중요성 기념 문화행사 리처드 닉슨
2023.06.08. 20:58
연방의회에서 최초로 김치와 관련된 이벤트가 개최된다. 31일 미주한인이민사박물관(MOKAH·관장 김민선)에 따르면 오는 12월 6일 워싱턴 DC 연방의회 도서관에서 김치의 날 축하 행사가 열린다. 이날 행사는 MOKAH가 한국의 법정 기념일인 ‘김치의 날’을 미국의 공식 기념일로 지정하자는 결의안을 낸 캐럴린 멀로니 의원 등 12명의 하원 의원들과 함께 기획했다. 행사에서는 김치 담그기 시연과 함께 김치를 이용한 다양한 음식이 의회 관계자들에게 소개될 예정이다. 현재 117대 연방의회의 임기가 내년 1월 3일 종료되기 전에 김치의 날 결의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의회 내 여론을 환기하겠다는 목적이다. 한미 문화교류의 긍정적인 사례인 김치를 기념하자는 이 결의안은 지난 7월에 제출됐지만, 중간 선거를 앞둔 하원에서 처리 일정이 잡히지 않았다. 그러나 멀로니 의원 등은 12월 마지막 회기에서 결의안을 통과시킨다는 계획이다. 의회 내 반응도 한국의 김치를 기념하자는 결의안 내용은 당파적 색채가 없기 때문에 여야를 막론하고 우호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인 행사 사상 가장 많은 수의 의원들이 참석할 예정이라는 게 MOKAH의 전언이다. 특히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도 김치의 날 결의안에 깊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연방의회가 아직 외부인들에게 의회를 개방하지 않는 상황에서 김치의 날 축하 행사가 열리게 된 것도 펠로시 의장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앞서 펠로시 의장은 지난 8월 방한 당시 김진표 국회의장과 한미동맹 강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면서 김치의 날 결의안 문제도 논의했다. 김민선 관장은 “연방의회에서 김치의 날 축하 행사가 열린다는 사실 자체가 결의안 통과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아직 결의안 지지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의원들도 행사를 계기로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연방의회 도서관서 연방의회 도서관 사례인 김치 의회 관계자들
2022.10.31. 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