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들의 묘소를 찾아 기록하고 관리하는 일은 단순한 ‘발굴 작업’이 아니다. 역사의 공백을 메우고, 이름 없는 희생을 드러내는 작업이다. LA로즈데일 묘지를 중심으로 진행 중인 ‘독립유공자 묘소 찾기 프로젝트’는 잊힌 역사를 차세대에 전하는 게 목적이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LA를 비롯한 하와이, 쿠바, 멕시코 등 전역으로 확대될 이번 프로젝트는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아직도 발견되지 않은 독립유공자들의 묘소가 많기 때문이다. 지난 13일 한국 국가보훈부는 총 311명의 독립유공자 포상 명단을 발표했다. 이 중 24명이 미국을 비롯한 멕시코, 쿠바 등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이중 한영대, 임광명, 조종익 지사는 로즈데일 묘지에 안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 진행된 묘소 찾기 프로젝트에서 아직 찾지 못한 1기(신형호) 외에도 3기가 추가된 셈이다. 보훈부는 매년 3·1절, 광복절, 순국선열의 날(11월 17일) 등 세 번에 걸쳐 독립유공자 포상 명단을 발표한다. 미주에서는 훈장 전달, 묘소 발굴, 후손 찾기 등 사후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상당수 묘소가 방치돼 있다. 추가 독립유공자가 계속 발표된다는 것은 곧 찾아야 할 묘소도 그만큼 늘어난다는 의미다. 이번 보훈부의 발표로 미주 지역 독립유공자 수도 334명에서 358명으로 늘었다. 민병용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이사는 “미주 지역에서의 독립운동 역사와 유공자에 대한 활동은 관심도 적고 이를 발굴할 전문가도 부족했다”며 “지난 2003년부터 명단 작성과 묘소 찾기를 시작했지만 여전히 확인하지 못한 묘소는 많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먼저 남가주 전역으로 확대된다. 학생들은 내달 포레스트론 할리우드 힐스 묘역에서 17기 중 미확인된 7기의 위치를 찾고, 10월에는 중가주 리들리 공동묘지에서 8기의 묘소 위치를 확인할 예정이다. 추후에는 전역으로 범위를 넓혀, 각 지역에 흩어진 독립유공자 묘소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관리할 계획이다. 최종 목표는 한국 국립묘지로의 이장이다. 이를 위해 한국 국가보훈부와 협력을 계획하고 있다. 파묘가 결정되면 대한인국민회와 화랑청소년재단이 화장을 마친 뒤 유해를 한국에 인계하는 방식이다. 한편, 묘소 찾기 프로젝트는 지난 5월 처음 시작됐다.〈본지 5월 27일자 A-1면〉 대한인국민회와 화랑청소년재단 측은 묘소 찾기 외에도 학생들을 3인 1조로 배정해 독립유공자들의 묘소를 매달 정기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한인 은행권 최초의 리저널뱅크이자 최대 한인 은행인 뱅크오브호프가 이번 프로젝트를 후원하고 있다. 강한길·송윤서 기자독립유공자 국립묘지 독립유공자 묘소 추가 독립유공자 독립유공자 포상
2025.08.14. 21:14
국가보훈처는 오는 17일 제83회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76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15일 밝혔다.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애족장 15명, 건국포장 13명, 대통령표창 48명으로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으며 여성은 11명이다. 애족장이 전수되는 함삼여 선생은 1910년 7월 이후 하와이에서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통상대의원 등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고 군사단체를 후원했다. 백인숙 선생(애족장)은 1919년 하와이에서 대한부인구제회 결성에 참여하고 이후 대의장 등으로 활동했다. 이번 포상에서는 국가보훈처가 하와이 지역 한인 묘비 탁본 사업으로 공적을 확인한 미주지역 독립운동가 12명, 학적부 발굴로 광주학생운동 때 활동을 파악한 독립운동가 5명이 포함됐다. 보훈처는 학생운동 참여 독립유공자 발굴을 위해 학적부 총 26만9천667매를 수집하고 이 중 독립운동에 참여한 것으로 판단되는 2천596명을 확인했으며 자료 추가 발굴과 보완으로 포상 대상자를 계속 파악할 방침이다. 포상은 제83회 순국선열의 날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 기념식장에서 유족에게 전수된다.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포상된 1949년부터 이번 순국선열의 날까지 총 1만7664명이 독립유공자로 포상됐다. 건국훈장 1만1684명, 건국포장 1508명, 대통령표창 4472명이며 이 가운데 여성은 607명이다. 박민식 보훈처장은 "조국 독립을 위해 희생.헌신한 분들께 독립유공자 포상을 할 수 있게 돼 매우 뜻깊다"며 "나라를 위한 선열들의 고귀한 생애와 정신이 우리 후손들에게도 온전히 계승될 수 있도록 알려 나가겠다"고 말했다.독립유공자 백인순 독립유공자 포상 미주지역 독립운동가 포상 대상자
2022.11.14. 2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