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에서 기록적인 폭우와 홍수로 전국에서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뉴욕시도 홍수에 취약한 지역인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주말 홍수가 뉴욕, 뉴저지, 커네티컷 일부 지역을 강타하는 등 최근 돌발 홍수 피해가 이어지자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주민들에게 기상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돌발 홍수에 대비하라고 촉구했고, 필 머피 뉴저지주지사는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뉴욕시 도시계획국(DCP)이 공개한 홍수 위험 지도에 따르면 해안 지역을 포함한 시 전역이 1피트 이상의 빗물 범람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빗물과 하수 시스템을 포함한 도시의 노후화된 인프라는 폭우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2021년 허리케인 아이다(Ida)로 인해 뉴욕, 뉴저지, 펜실베이니아, 커네티컷에서 44명이 사망했고 이 중 16명은 뉴욕시에서 사망했는데, 당시에도 열악한 배수 시스템과 노후화된 인프라가 홍수 취약성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었다. 지역계획협회(RPA)의 에너지 및 환경 담당 부사장인 롭 프로이덴버그는 NY1과의 인터뷰에서 “45분 동안 6인치의 폭우를 수용할 수 있는 빗물 인프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시의 모든 도로를 뜯어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뉴욕시는 퀸즈 남동부의 하수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등 복원력 강화를 위해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빗물이 도로 배수구로 흘러 들어가기 전에 빗물을 포집하는 이른바 ‘녹색 기반 시설’에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누구에게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홍수 문제를 처리 가능한 장비를 구축하려면 수천억 달러는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시는 개별 주택 소유주에게 공기 주입식 장벽을 제공하는 등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프로이덴버그 부사장은 “돌발 홍수를 해결하는 일은 정말 어렵다”며, “뉴욕시는 홍수 발생 위치를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알림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다. 센서를 사용해 홍수 발생 위치를 찾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공장소 안내방송을 위한 드론이 해당 알림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뉴욕시경(NYPD)은 지난 주말 드론 테스트를 실시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시민 홍수 돌발 홍수 홍수 취약성 홍수 문제
2023.07.18. 21:17
세코이아 국립공원 인근 스프링빌에서 10일 홍수가 발생 2명이 사망했다. 국립기상청은 인근 산악지역에 내린 폭설과 폭우로 돌발 홍수가 발생했다며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중가주 일대의 강과 호숫가에 사는 주민 1만여명은 10일 강제대피 통보를 받았다. 스프링빌 산간지역을 흐르는 툴레강이 범람하면서 마을이 물에 잠겼다. [사진 WxChasing- Brandon Clement 트위터] 김상진 기자사설 범람 비상사태 선포 돌발 홍수 인근 산악지역
2023.03.10. 21:11
돌발 홍수 경보가 LA와 샌퍼낸도 밸리, 샌게이브리얼 밸리, 샌타클라리타, 캐스테익, 인랜드 엠파이어까지 확대됐다. 돌발 홍수 경보가 발령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수는 거의 600만 명에 달한다. 김병일 기자돌발 홍수 돌발 홍수 인랜드 엠파이어
2023.02.24. 16:22
겨울 폭풍의 영향으로 24일 오후 남가주 일부 해안과 계곡에 '돌발 홍수 경보(flash flood warning)'가 발령됐다. 국립기상청(NWS)은 이날 남쪽으로는 시미 밸리부터 오하이와 샌타바버라를 거쳐 북쪽으로는 시스쿽과 로스 알라모스, 솔뱅까지 포함하는 지역에 돌발 홍수 경고를 내렸다. 돌발 홍수 경보는 이날 오후 10시까지 유효하다. 경보 해당 지역에는 이날 오후 2시16분 현재 1~3인치의 강우량을 기록했고 추가로 2~5인치의 비가 더 내릴 수 있는 것으로 예보됐다. 이미 돌발 홍수가 발생한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 지역을 지나는 차량들은 미리 도로 상황을 점검하는 필요하다고 교통 관계자들은 조언했다. 돌발 홍수 상황은 밤 시간대에 더욱 악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병일 기자시미 밸리 돌발 홍수 시미 밸리 경보 해당
2023.02.24. 15:30
지난해 12월 ‘본드 산불’ 피해를 입은 실버라도 캐년, 윌리엄스 캐년, 모제스카 캐년 지역에 돌발 홍수 경계령과 함께 자발적 대피령이 내려졌다. OC셰리프국에 따르면 지난 13일 오후 내려진 자발적 대피령은 남가주에 불어닥친 겨울 폭풍이 잦아들 때까지 유효할 전망이다. 당국은 위험 지역 주민에게 언제든 대피할 준비를 갖출 것을 당부했다. 경계령 산불 지역 홍수 본드 산불 돌발 홍수
2021.12.14. 2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