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대학 등록생 수, 팬데믹 이전 수준 넘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계속해서 감소세를 이어가던 전국 대학 등록생 수가 드디어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국립학생정보연구센터(National Student Clearinghouse Research Center)가 23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2025학년도 대학 등록자 수는 지난 학년도 대비 4.5%(81만7000명) 증가해 2019년 수치를 넘어섰다.     학부생 등록은 전년 대비 4.7%(71만6000명) 증가했지만, 2019년 대비 1% 감소한 수준이었다. 대학원생의 경우 전년 대비 등록 건수가 3.3%(10만 명) 늘어났다.     인종별로 보면 학부생 기준 흑인과 히스패닉의 등록생 증가율이 6.8%로 가장 높았다. 아시안의 경우 전년 대비 4.2% 늘어났으며, 백인의 증가율은 1%에 그쳤다. 하지만 보고서는 “백인 등록생이 증가한 것은 2019년 이후 처음”이라고 분석했다.     대학원생은 흑인의 증가율(9.1%)이 가장 높았고, ▶히스패닉(8.7%) ▶아시안(8.1%) ▶백인(2.5%)이 뒤를 이었다.     특히 신입생 등록의 경우 전년 대비 5.5%(13만 명)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학 유형별로는 4년제 공립대학 신입생이 지난 학년도보다 7.2% 늘었으며, 4년제 사립대 신입생 증가율은 3.3%에 그쳤다.       주목할 만한 점은 올해 신입생 가운데 아시안 신입생 증가율이 가장 크다는 점이다. 지난 학년도 대비 아시안 신입생은 6% 증가했으며, ▶히스패닉(5.1%) ▶흑인(3.5%) ▶백인(0.9%)이 뒤를 이었다. 2024~2025학년도는 연방대법원이 소수계 우대 대학 입학제도인 ‘어퍼머티브 액션(Affirmative Action)’ 위헌 판결 이후 처음 맞이하는 입학 시즌이었는데, 이 판결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주별로 보면 뉴욕주의 대학 등록생은 전년 대비 6.1%(6만1497명) 증가했으며, 뉴저지는 5.6%(1만9394명), 커네티컷은 7.4%(1만2197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등록생 대학 등록생 증가율 대학 등록생 공립대학 신입생

2025.01.23. 21:18

뉴욕시 공립교 등록생 소폭 줄었다

뉴욕시 공립학교에 등록한 학생 수가 소폭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시 교육국(DOE)이 15일 발표한 예비 데이터에 따르면, 2024~2025학년도 가을학기 뉴욕시 공립교(Pre-K~12학년)에 등록한 학생 수는 총 91만 1000명이다. 이는 2023~2024학년도의 91만 2064명에서 다소 줄어든 수치다.   이번 감소는 학년별 학급 정원을 20~25명으로 축소하라는 공립학교 시스템 변화에서 기인했다.   현재 전체의 46%가 정원 기준을 충족한 상태다. 시내 공립학교는 내년 9월까지 최소 14%의 학급을 추가해 총 60%의 학급 정원을 조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주정부 보조금 수억 달러가 삭감될 수 있다.   멜리사 아빌레스라모스 시 교육감은 “규정 준수 상황에 만족한다”고 밝혔다. 강민혜 기자등록생 뉴욕 등록생 소폭 뉴욕시 공립학교 소폭 감소세

2024.11.17. 18:33

뉴욕시 공립교 등록생 8년 만에 증가

뉴욕시 공립학교에 등록한 학생 수가 8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 추세로 돌아선 것으로 파악됐다.     시 교육국이 지난달 기준으로 집계, 7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3~2024학년도에 뉴욕시 공립교(Pre-K~12학년)에 등록한 학생 수는 총 91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해 등록한 학생 수인 90만6000명 대비 증가한 것이다. 8년 만에 등록학생 수가 증가한 것이긴 하지만, 다만 일시적인 현상인지 그 추세가 계속 이어질지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뉴욕시 공립교는 등록한 학생 수에 따라 주정부 자금을 지원받기 때문에 등록학생 수를 중요하게 여긴다.     또한 시 교육국은 인구통계적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뉴욕시 학생의 구성이 변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 교육국에 등록한 흑인 학생은 전체의 19.5%를 차지하고, 아시안 학생은 18.7%를 차지해 거의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2011~2012학년도 당시 흑인 학생 비율이 28%를 차지하고, 아시안은 16%에 불과했던 것과는 크게 달라진 모습이다.     실제로 뉴욕시에서 아시안 인구는 2010년에서 2020년 사이에 8% 증가했지만, 흑인 인구는 지난 20년간 약 9% 감소했다. 다만 여전히 공립교 교사 중 아시안은 7.8%로, 아시안 학생 비율에는 한참 모자란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등록생 뉴욕 뉴욕시 학생 뉴욕시 공립학교 증가 추세

2024.08.08. 18:01

UC대학도 이젠 아시안이 주류…올가을 가주 등록생 사상 최대

올 가을 학기에 UC에 등록한 캘리포니아 출신 학생 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UC 총장실이 19일 발표한 2023년 가을학기 전체 학부 등록생 통계에 따르면 총 19만4571명으로, 전년도의 19만426명에서 4145명(2.1%)이 늘었다. 이는 전체 학부 등록생의 83.4%에 달하는 규모다. 또 전년 대비 5% 증가한 수치다.   반면 외국인 유학생 출신은 전년도의 2만2999명에서 9.25%(2128명) 감소한 2만871명으로, 전체 등록생의 8.9%로 나타났으며, 타주 출신 학생은 1만7830명으로 전체 등록생의 7.6%로 파악됐다. 이는 2017년 이후 가장 적은 규모다.   마이클 드레이크 UC 총장은 예산이 허용될 경우 2030년까지 최소 2만 명, 최대 3만3000명까지 가주 출신 학생을 등록시키겠다고 밝힌 만큼 앞으로도 UC의 가주 출신 학생 입학 문호는 확대할 전망이다.   통계에 따르면 UC 학부 등록생 중 신입생은 4만2085명으로, 전년도의 3만9964명에서 5.2% 늘었다.   가주 출신 신입생이 가장 많은 캠퍼스는 샌디에이고로 5547명이 등록했다. 반면 전년 대비 가주 출신 신입생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캠퍼스는 어바인(5236명)과 샌타크루즈(3964명)로 각각 580명, 507명이 증가했다. 그 뒤로 데이비스가 373명을 증원했으며, 샌디에이고 224명, LA 215명으로 나왔다.   캠퍼스 내 최다 인종은 아시안으로 파악됐다. 전체 학부생 중 36.3%로, 3명 중 1명인 셈이다. 특히 지난 가을학기 신입생 중에서 아시안은 전체 신입생의 절반 가까이 달하는 22만467명으로 집계됐다.   아시안의 뒤를 이어 라틴계는 26.2%, 백인 20.3%, 흑인 4.6%, 아메리칸 인디언 0.6%, 태평양 섬 주민이 0.2%로 그 뒤를 이었다.   한인 통계를 보면 UC 캠퍼스에 등록한 한인 학생은 총 1만2551명으로, 학부에 1만722명, 대학원 과정에 1829명이다.   이 규모는 전체 아시안 학생(8만4698명)의 12.6%를 차지한다.   한인 학부 등록생의 경우 2017년 1만32명에서 2018년 9834명, 2019년 9651명, 2020년 9595명으로 줄었으나 점차 늘어나 1만 명대를 회복했다. 반면 석사 과정의 경우 꾸준히 증가해왔다. 〈표 참조〉   이밖에 UC 캠퍼스에서 유학 중인 한국 유학생은 1168명으로, 중국(1만2329명), 인도(1850명)에 이어 3번째로 많다.   한편 UC는 가주 출신 학생들의 입학 문호를 꾸준히 늘려왔다. 앞서 UC는 2010년대 초반 경기 침체로 대거 삭감됐던 교육 예산을 상쇄하기 위해 유학생 및 타주 학생들의 등록을 늘리는 대신 가주 출신 학생들의 입학 정원은 축소해 학부모 및 정치권의 반발을 받았다. 이후 가주 의회는 가주 출신 학생에게 입학 문호를 확대하는 조건으로 UC에 예산 지원을 늘려왔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아시안 등록생 유학생 출신 학부 등록생 등록생 통계

2024.01.19. 21:42

썸네일

가주 학생 15만명 학교 등록 포기…공립교 등록생 27만명 감소

“15만 명이 넘는 캘리포니아의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스탠퍼드대와 AP가 팬데믹 이후 가주 내 줄어든 공립학교 킨더가튼 등록 학생 수를 진단하고서 남긴 질문이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최근 팬데믹을 겪은 3년 동안 공립학교에 등록한 학생 수가 무려 27만1000여 명 감소했다.   이는 3년 전 등록 학생 수의 56%에 달하는 규모로 감소 배경으로는 자연적 인구 감소, 홈스쿨링과 사립학교로의 이동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전체 감소의 50%를 넘는 15만2000여 명의 ‘증발’은 전국 최대 규모로 설명할 길이 없다는 것이 연구진의 표현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27만 중에 인구 자연 감소분은 약 9만6000여 명으로 분석되며, 홈스쿨링을 택한 학생은 1만4000여 명(3년 전 대비 30% 증가), 사립학교로의 이동은 약 9500여 명(3년 전 대비 4% 증가)이다.     홈스쿨링의 증가는 플로리다(43%), 뉴욕(65%), 펜실베이니아(53%)에서도 모두 증가해 전국적인 추세임이 확인됐다.       물론 ‘탈 가주’를 통해 네바다, 애리조나로 이주한 가정도 있지만, 그 규모는 가늠할 방법이 없으며 수십만에 육박하지는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AP는 사실상 ‘학교 등록을 포기하는’ 가정이 늘고 있으며, 교육구에 신고하지 않는 홈스쿨링이 늘어나고 있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추정했다.   동시에 팬데믹을 이유로 아예 킨더가튼을 건너뛰는 경우도 빈번하다는 것이다. 실제 가주는 킨더가튼 과정이 ‘선택’이다.     한편 가주를 포함해 자료가 제공된 22개 주에서 약 120만 명이 학교 등록을 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이와 같은 현상이 팬데믹으로 유발됐지만, 결국엔 아동들의 교육 및 사회성 결여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계의 적극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등록생 학생 공립학교 킨더가튼 동안 공립학교 감소 배경

2023.02.09. 19:59

한빛아기학교 등록생 모집, 내달 7일부터 9주간…90불

한빛아기학교가 42기 프로그램을 준비하며 2살~4살 연령대의 유아 등록생을 모집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주신 소중한 몸"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아기학교는 오는 2월7일~4월4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전10시~11시30분에 열린다.   엄마와 함께 배우는 찬양 율동 바이블 스토리 놀이 및 만들기 등 아기학교 프로그램을 수강하기 원하는 경우 한빛교회 홈페이지(sdhanbit.org)에서 직접 등록하면 된다. 수강료는 90달러 정원은 30명.     ▶문의: (858)874-2412   ▶주소: 4717 Cardin St.                     S.D.한빛아기학교 등록생 한빛아기학교 등록생 유아 등록생 내달 7일

2023.01.27. 19:31

캘스테이트 등록생 30년 만에 최저

캘리포니아 주립대 등록률이 30년 만에 최저치로 곤두박질쳤다.   캘스테이트(CSU) 이사회가 22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 가을학기 학부 등록생은 40만4820명으로 전년도보다 1만7500명이 줄었다.   CSU 등록생 규모는 팬데믹 전인 2020년까지 계속 증가해왔으나 2021년부터 산하 23개 캠퍼스 중 17개 캠퍼스의 등록생이 줄어들면서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올 가을학기에도 등록생이 전년도 대비 늘어난 곳은 캘폴리험볼트, 캘스테이트 샌버나디노, 샌디에이고 스테이트 3곳뿐이다.     전체 등록생 규모도 감소하고 있다. 통계를 보면 2018년 48만1210명에서 2019년 48만1929명, 2020년 48만5550명으로 매년 늘었으나 2021년에 47만7466명으로, 다시 2022년에는 45만7992명으로 떨어졌다.     이러한 등록생 감소는 30년 만에 최저치로 곤두박질한 커뮤니티 칼리지(CC) 등록률과 무관치 않다.     보고서는 커뮤니티 칼리지를 거쳐 편입하는 학생 규모가 줄었고 풀타임 학생들이 파트타임으로 바꾸면서 등록생 규모가 줄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커뮤니티 칼리지 산하 115개 캠퍼스에 등록한 올 가을학기 학생 수는 전년도보다 20%, 약 15만 명이 감소해 전체 학생 수가 200만 명도 채 못 미친다. 이러한 등록 학생 규모는 장기 불황이 이어진 2007~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도 적다.   또 올해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CSU로 편입한 학생은 7년 만에 가장 적은 4만6323명이며, 전년도 대비 1만2000명이 줄었다.   커뮤니티 칼리지 학생 수 감소 원인은 팬데믹 기간에 성인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 대신 일자리를 찾아 떠났기 때문이다. 가주학자금위원회가 지난 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한 후 2021학년도에 커뮤니티 칼리지에 등록한 20~24세 학생 수는 2019학년도 대비 21.6% 감소했으며, 25~29세 학생 수는 20.9%가 줄었다. 가장 큰 감소세를 보인 연령대는 50세 이상으로 2019학년도 대비 32.6%가 축소됐다.     인종별 등록률을 보면 아시안 학생 이탈이 두드러졌다. 이 보고서는 같은 기간 동안 아시안 학생 등록은 16.6% 감소했고, 필리핀계(-19.8%), 퍼시픽 아일랜더(-15.5%) 등이었다고 밝혔고, 이 밖에 흑인 -20.9%, 라틴계 -18%, 백인 -15.8%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보고서는 직업 훈련 과목을 개설한 캠퍼스는 학생 수가 오히려 증가했다고 전했다. 한 예로 컨 커뮤니티 칼리지나 베이커스필드 칼리지는 자동차 정비 등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해 등록생이 10% 이상 늘었다. 오렌지카운티에 있는 샌타애나 커뮤니티 칼리지도 비 학위 프로그램인 정보통신기술, 의료지원 과목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면서 등록생이 22%나 점프했다. 장연화 기자등록생 파트타임 등록생 감소 등록생 규모 커뮤니티 칼리지

2022.11.23. 20:27

대학 등록생, 3년 연속 감소

미국 대학들이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이 줄어들고 있는데도 여전히 등록생 감소 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전국학생정보연구센터(NSCRC)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2023학년도 가을학기 전국 대학 등록생은 전년도 대비 1.1% 감소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3년 연속 학생 수가 줄어든 것이다.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2021학년도 가을학기의 경우 신입생의 수가 16.1%나 감소한 것을 포함해 전체 학생 수가 4% 줄었다.   방역 탓에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던 상황이라는 점과 캠퍼스 내 감염에 대한 공포 등이 학생 수 감소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 탓에 대학 학비가 부담스러워진 가정이 늘어난 것도 이유로 꼽혔다.   갈수록 높아지는 대학 등록금의 영향으로 학생들이 대학 졸업장의 가치와 비용을 저울질하고 있으며, 대학 졸업이 중산층으로 향하는 통로라는 명제에 의문을 표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분석도 나온다.   인종별로 보면 신입생수는 백인이 7%로 가장 많이 줄었다. 아시안 신입생은 3.2% 감소해 두 번째로 많이 감소했으며, 흑인 신입생이 2% 감소했다. 히스패닉 신입생과 아메리칸원주민 신입생은 각각 1.4%, 2.3%씩 오히려 늘어났다.     지난해에도 미국 대학의 등록 학생 수는 3.1% 감소했다.   등록 학생 감소 현상은 중서부나 북동부의 중위권 이하 대학에서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명문대로 분류되는 대학들은 큰 피해를 보지 않았다.   온라인 대학(POI)과 흑인 대학(HBCU)들은 오히려 등록 학생 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대학의 등록 학생 수는 1년 전과 비교해 3.2% 늘었다. 특히 18~20세 연령대가 적극적으로 온라인 대학에 등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만 명의 학생이 온라인으로 수강하는 웨스턴 거버너스대의 경우 18~24세 연령대의 학생이 5년 전에는 6%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11%로 늘었다. 심종민 기자등록생 대학 대학 등록생 등록생 감소 온라인 대학

2022.10.20. 21:28

팬데믹 회복에도 대학 등록생 감소세

미국 대학들이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이 줄어들고 있는데도 여전히 등록생 감소 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전국학생정보연구센터(NSCRC)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1~2022학년도 봄학기 전국 대학 등록생은 1334만3158명으로 지난 2020~2021학년도 봄학기의 1400만5856명 대비 4.9% 감소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던 2019~2020학년도 봄학기 대학 등록생은 1473만2976명으로 지난 2년간 9.4%, 138만9788명의 학생이 줄어들었다.   대학 종류별로 보면 4년제 공립대 등록 대학생은 587만4550명으로 전년도 대비 3.9% 감소, 4년제 비영리 사립대 등록생은 247만6011명으로 전년도 대비 2% 감소, 4년제 영리 사립대 등록생은 50만1334명으로 전년도 대비 2.5% 감소했다. 2년제 공립대는 7.8% 감소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대학원 등록생은 2021~2022학년도 봄학기 282만7108명으로 전년도 대비 0.8% 줄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 같은 현상이 갈수록 높아지는 대학 등록금의 영향으로 학생들이 대학 졸업장의 가치와 비용을 저울질하고 있으며, 대학 졸업이 중산층으로 향하는 통로라는 명제에 의문을 표하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서 2021~2022학년도 봄학기 신입생 입학생은 33만9286명으로 전년도 봄학기 대비 4.2% 증가했다.   지난 2021~2022학년도 가을학기에도 신입생 입학생은 211만663명으로 전년도 대비 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상황을 낙관적으로 볼 수 있는 여지도 남겼다. 심종민 기자등록생 감소세 대학원 등록생 대학 등록생 등록생 감소

2022.05.26. 21:00

UC버클리 등록생 수 예정대로 진행 가능

등록생 축소 위기에 놓였던 UC버클리 구제 법안〈본지 3월 15일 자 A4면〉이 지난 14일 오후 통과됐다. 같은 날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서명까지 받아 효력이 발휘됐다.   이에 따라 UC버클리는 5000명 이상의 가주 신입생을 등록시키려던 원래 계획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앞서 지난 11일 필 팅 주 예산위원회 의장 등 주의원들이 발의한 통과된 법은 가주 공립대학들이 학생 수 축소, 혹은 동결 조치 시행 전 18개월 동안 환경 조사를 할 수 있도록 기간을 허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장수아 기자버클리 등록생 uc버클리 등록생 uc버클리 구제 등록생 축소

2022.03.15. 19:34

등록생 축소 위기 UC버클리 구제 법안 발의

법원으로부터 등록생 동결 판결을 받은 UC버클리를 구제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 돼 주목된다.     지난 11일 발의 된 이 법안은 가주 공립대학들이 학생 수 축소, 혹은 동결 조치 시행 전 18개월 동안 환경 조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고 하고 있다.  즉, 18개월 이내에 환경 조사 결과를 입증하지 못할 경우 학생 수 축소를 진행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UC버클리가 법원의 명령에 따라 등록생 2600여명의 입학을 취소해야 하는  사태를 막기 위한 것이다.     법안을 발의한 의원들은 성명을 통해 “가주의 환경 보호 규정을 보존하는 것과 가주의 경제 발전을 위해 대학 정원을 확대하는 것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찾고자 하는 것이 법안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주의회 예산위원회 의장인 필 팅 주 하원의원(민주·샌프란시스코)은 법안이 통과되면 “UC버클리가 5000명 이상의 가주 출신 신입생을 선발하려던 원래 계획을 계속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지역 환경단체인 ‘세이브 버클리 네이버후드’는 지난해 8월 UC 버클리 측이 지역 교통체증과 주택 부족 문제 등을 고려하지 않고 등록생 규모를 늘렸다며 등록 학생 수를 동결해 달라는 소송을 알라메다 카운티 수피리어 법원에 제기했으며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등록생 축소를 명령한 바 있다.   장수아 기자등록생 버클리 등록생 축소 uc버클리 구제 등록생 동결

2022.03.14. 18:56

LAUSD 등록생 감소 폐교 위기 증가

LA통합교육구(LAUSD)가 등록 학생 감소로 역사가 있는 학교들까지 폐교를 우려하고 있다고  LA타임스가 8일 보도했다.     소위 ‘Z세대’로 불리는 젊은 층들이 결혼을 미루거나 거부하면서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는 데다, 가주의 높은 물가를 피해 다른 주로 떠나는 젊은 층들이 늘어나면서 학교마다 신입생으로 등록하는 학생 수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한 예로 LA 한인타운 인근인 알링턴 하이츠에 있는 피오피코중학교는 최근 폐교 절차를 밟고 있다. 1987년에 개교한 이 학교는 한때 18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다녔지만, 지금은 300명만 남아 있다. 특히 2010년부터 유치원부터 8학년까지를 아우르는 5개의 차터스쿨이 이 학교 2마일 이내에 잇따라 개교하면서 그나마 남아 있던 학생들도 빠져나가고 있다.     개교한 지 118년을 맞은 사우스 센트럴 LA지역의 트리니티초등학교도 재학생이 1800여명에서 259명으로 줄었다. 라틴계 학생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이 학교는 학부모들에게 폐교 가능성을 알린 상태다. 학교의 통보에 반발한 일부 학부모들은 현재 매일 학교 앞에서 폐교 중단을 외치는 팻말 시위를 벌이지만 상황은 낙관적이지 않다.   LAUSD에 따르면 2003년의 경우 등록생 규모가 74만7000명에 달했으나 현재는 43만7358명으로, 무려 41%나 줄었다. LAUSD는 내년도 등록생 규모를 40만 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장연화 기자등록생 감소 등록생 감소 등록생 규모 위기 증가

2022.03.08. 18:45

작년 급감 뉴욕시 프리K 등록생 수, 올해도 비슷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감한 뉴욕시의 유니버설 프리K 등록학생 수가 회복되지 못한 채 올해에도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데일리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시의회 교육위원회 청문회에서 시 교육국 관계자는 올해 뉴욕시 교육국 산하 유니버설 프리K 등록학생 수가 대략 6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교육국 측은 정확한 등록 학생 수는 10월 말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9월 시장실이 발표한 시정운영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1학년도 프리K 학생 수는 5만8469명이다. 학생수 통계는 해당 학년도의 10월 31일 기준으로 잡는다.   즉, 프리K 등록학생 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1만 명 가까이 급감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뉴욕시의 프리K 등록학생 수는 6만7000~7만 명 수준이었다.   2020년 3월 코로나19가 뉴욕시에 상륙하기 전에 통계가 잡힌 2019~2020학년도의 프리K 학생 수는 6만7589명이다. 2016~2017학년도의 경우 6만9510명에 달했다.   교육국은 공립교 학생수가 왜 이렇게 단기간에 크게 줄었는지에 대해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지만 ▶출산율 저하 ▶코로나19로 인한 주민 가정의 교외 이주 증가 ▶신규 이민자 감소 등 다양한 원인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2021~2022학년도부터 32개 전학군으로 확대된 ‘3K포 올’ 덕분에 3K 등록학생수는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교육국에 따르면 2020~2021학년도 3K포 올 등록학생 수는 1만6000명인 반면, 올해에는 3만6000명을 넘겼다.   교육국 관계자는 “뉴욕시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 회복하고 있는 과정에서 교육국은 더 많은 가정에 무상보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등록생 급감 교육국 관계자 올해 뉴욕시 교육국 측은

2021.10.28. 20: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