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튼에 위치한 하나로교회와 코너스톤교회 유스 연합인 ‘하코나마타타’의 찬양의 밤이 ‘하코 랜드’ 라는 주제로 지난 토요일(16일)에 하나로교회에서 열렸다. 프로그램은 하코나마타타 중·고등부 학생들의 하코밴드, 하코4중주, 워십댄스, 태권도, 스킷 드라마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중간에 특별 연주로 한예종에서 국악을 전공한 연주자 신희선 사모가 함께 해서 아이들에게 힘을 보탰다. 또한, 하나로교회 어린이합창단이 초대되어 노래와 율동을 선보이며 찬양의 밤을 열었다. 신희선 사모는 봉황새 모양을 닮았다 해서 ‘생황’ 이라고 이름 붙여진 한국 전통 악기로 찬송가 ‘참 아름다와라’를 연주했고, 이어서 ‘아리랑’과 손경민의 ‘감사’를 한국 전통 피리 연주로 선보였다. 첫 순서로 진행된 ‘Haco of Rocks’에서 하코 찬양 밴드는 찬양곡을 연주하며 관객들의 찬양을 리드했고, ‘Matatanic’라는 이름으로 바이올린, 플룻, 클라리넷의 하코4중주 연주와 ‘Haco Up’ 워십댄스가 이어졌다. 중간에 스페셜 게스트의 연주가 있은 후에는 ‘Haco Panda’ 라는 이름으로 태권도 워십이 선보여졌고 ‘예수’ 라는 제목의 스킷드라마가 하코랜드 찬양의 밤의 대미를 장식했다. 워십댄스와 스킷 드라마 외에 베이스 연주와 태권도를 선보인 애슐리 학생(10학년)은 “찬양의 밤을 함께 준비하면서 같이 모여 연습하는 게 어렵긴 했지만, 기도하면서 함께할 때 하나님께서 인도해주시는 것을 느낄 수 있어서 모든 과정이 놀라웠고 너무 행복했고 감사했다”고 말하며 “예수님을 전할 수 있는 이런 기회를 계속적으로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고, 이번 행사에 참석한 사람들의 마음을 하나님이 만져주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기타 연주와 스킷에서 예수님 역할을 한 오해빈(10학년) 학생은 “힘든 준비 과정을 통해서 함께 연합됨을 경험했고, 잘 모르고 친하지 않았던 아이들과도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좋았다”며 “예수님을 전하는 이런 기회에 함께 할 수 있어서 기쁘다”고 전했다. 하나로교회 중·고등부 담당 임영광 목사는 “아이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교단, 교회 상관 없이 같이 성장하고 신앙 안에서 서로 위로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좋고 감사하다. 연합사역을 하면서 감사가 넘치게 된다”고 말했으며, 코너스톤교회의 김시온 중·고등부 담당 목사는 “하나님이 다음 세대를 위한 놀라운 계획을 갖고 계시고 여전히 살아서 역사하신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끼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관객석에 자리잡고 있었던 한 비기독교인 외국인은, 친구의 초대로 오게 되었다고 하면서 “왠지 모르지만 스킷을 보면서 눈물이 났다”고 고백했다. 이번 행사를 기도하며 지지해온 하나로교회 한 성도는 “예산과 자금이 하나도 없는 상황에서 아이들 중심으로 마음이 모아지면서 준비하게 되었다”며, “기도하며 준비하는 가운데 필요한 재정이 여러 사람들의 후원금을 통해 넉넉히 채워지는 것을 경험하면서 아이들에게도 은혜롭고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고 전했다. 찬양의 밤이 진행되는 내내 사람들의 웃음과 따뜻한 온기가 떠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신앙 간증과 예수 스킷 드라마 공연이 진행될 때는 몇 몇 관객들이 감동의 눈물을 훔치는 모습을 보였다. 〈캐서린 조 기자〉찬양 랜드 고등부 학생들 문화 예술 하나로교회 어린이합창단
2024.11.21. 14:35
온난화의 바로미터가 된 ‘Greenland’는 왜 ‘그린란드’로 불릴까? 섬의 이름을 ‘그린랜드’로 잘못 부르는 경우도 많다. 스코틀랜드(Scotland)와 아일랜드(Ireland)를 떠올려 보면 ‘그린랜드’가 오히려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핀란드(Finland)와 아이슬란드(Iceland)를 떠올리면 다시 궁금증이 인다. 나라나 지역 이름에 ‘land’를 포함하는 곳이 많은데 헷갈릴 수밖에 없다. 답은 외래어 표기법에서 찾을 수 있다. 외래어를 우리말로 옮길 때 현지 발음에 최대한 가깝게 적되 국명·수도명 등 이미 굳어진 것은 관용에 따른다. ‘land’형으로 끝나는 국명 또는 지명을 우리말로 표기할 때 음가에 관계없이 영어권 지명은 ‘랜드’로 통일한다. 영어권 국가인 뉴질랜드, 미국의 메릴랜드·클리블랜드, 영국의 하일랜드 등이 해당된다. 북유럽이나 동유럽권은 ‘란드’ 또는 ‘란트’로 구별해 적는다. 독일어는 도이칠란트·라인란트 등 ‘-란트’로 표기한다. 네덜란드어 지명도 ‘-란트’로 쓰되 국명은 관용을 인정했다. 우리말 바루기 랜드 외래어 표기법 네덜란드어 지명도 영어권 지명
2022.04.15. 1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