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미학적 수단이다. 또한 기록의 도구이기도 하다. LA한인사회에서 사진전과 커뮤니티 역사의 기록, 이 두가지 공통 영역에 김상동 남가주사진작가협회 회장이 있다. 그는 1989년부터 한인 커뮤니티의 일부분이 되어 해마다 작품전을 개최하고 한인사회를 기록해왔다. 김회장이 지난 30년동안 30여개국을 여행하며 찍은 사진을 모아 첫 사진집 ‘리플렉션 오브 저니’(Reflection of Jouneyㆍ사진)를 출간했다. 작품 사진집이 아닌 여행사진집이다. 수십 년 동안 사진 작업을 하며 편안하게 남기고 싶은 사진들을 선별해 수록했다. 그는 “포토샵하는 디지털 사진 시대지만 나는 아날로그적 사진을 추구한다”며 “사진집에서 아날로그적인 향수를 감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집에는 총 120여점 이상 작품이 수록됐다. 30여개국을 출사다니며 김회장의 철학이 담긴 작품들이다. 그는 “내 사진은 미국 사진에서 영향을 받았다”며 “인위적으로 꾸미지 않는 사진을 추구하게 되었고 렌즈를 통해 생각하고 보는 것을 다르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김회장식이 추구하는 사진학의 출발은 뉴욕 인스티튜트 오브 포토그래피에서 본격적으로 사진공부를 시작하면서다. 1988년 가족 초청으로 LA로 이주한 그는 일을 마치고 매일 산타모니카에서 사진을 찍었다. 고등학교때부터 카메라를 손에서 놓지 않았던 그는 본격적으로 사진학을 공부하고 싶어 전문학교에서 사진공부를 했다. 2005년부터는 미주중앙일보 문화센터에서 ‘김상동의 사진 세상’ 클래스를 진행했다. 열기는 대단했다. 팬데믹 이전 15년동안 배출한 사진작가수는 500여명이상. 디지털 카메라 붐이 일던 그 때 기초부터 올라가는 강의 방식, 경험으로 다져진 이론 교육, 새로운 교육 방식은 신선했다. 김회장이 시작한 남가주사진작가협회는 한인사회 역사의 방점을 찍었다. 사진작가들의 모임이지만 목적은 커뮤니티 봉사다. 등록된 회원은 40~45명. 김회장은 사진을 잘 찍는 사람이 아닌 사진 통한 커뮤니티 봉사와 참여 비중을 회원 선정 기준으로 뒀다. 출사지는 쿠바, 아이슬랜드, 중국 등 전세계 30여곳 이상. 그중 아프리카 사진에 애정이 깊다. 사진집 표지와 전반부에 아프리카 사진을 배치했다. 렌즈를 통해 아프리카의 실상을 알리고 싶었던 사진들이다. 소망소사이어티와 굿네이버스를 통해 찍은 사진을 모아 아프리카 사진전을 개최해 23개 우물을 팠다. 2006년부터는 LA한국문화원과 함께 사진전 ’리치 오브 더 랜드(Riches of the Land)‘를 개최하고 있다. 지금 한인타운 대표 사진전으로 자리잡았다. 수십 년 사진작가로 활동했지만 개인 사진전은 단 2번 뿐이다. 작가로서 전시회는 적지만 LA한인타운 올림픽경찰서 입구에 LA다운타운 야경을 담은 8피트X27피트의 김회장 작품이 벽 전체를 장식하고 있다. 오는 18일 오후 6시 ‘리플렉션 오브 저니’ 출판기념회가 LA한인타운 M플라자 내 ‘M카페’에서 열린다. 사진집은 한인타운 내 세종문고, 반디북스, 해피북스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이은영 기자여행기 렌즈 김상동 남가주사진작가협회 작품 사진집 커뮤니티 봉사
2024.10.13. 18:00
뉴포트 비치의 한 안과 의사가 환자의 한쪽 눈에서 무려 23개의 콘텍트 렌즈를 제거하는 불가사의한 일이 벌어졌다. ABC7 뉴스는 가주안과협회 회원인 안과의사 캐터리나 쿠르티바 박사는 최근 시력이 흐려지고 눈이 아파서 찾아온 여성 환자를 진료하면서 한쪽 눈에서 빼지 않아 눈동자에 남아 있다 눈꺼풀 밑에 쌓여 있는 23개의 콘텍트 렌즈를 발견하고 이를 제거했다고 밝혔다. 쿠르티바 박사는 이 희귀한 콘텍트 렌즈제거 과정을 동영상에 담았고 이를 인스타그램에 올렸다. 해당 동영상은 9월 13일 이후 조회수 320만회를 훌쩍 넘기며 인기 동영상이 됐다. 환자는 현재 시력을 되찾고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병일 기자콘텍트 렌즈 콘텍트 렌즈제거 인기 동영상 해당 동영상
2022.10.17. 17:17
아인슈타인은 시간이 속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10년 후 공간이 중력에 의해서 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런 휜 공간을 만드는 엄청난 중력 덩어리의 존재를 추측했고 길고 복잡한 수학 계산 끝에 보이지도 않는 블랙홀의 존재를 상상했다. 그는 빛이 파동이면서도 입자라는 이중성 때문에 입자라면 당연히 중력의 영향을 받을 것이고 그렇다면 큰 중력을 가진 물체 옆을 지날 때는 휠 것이라는 데까지 생각이 미쳤다. 우리 주변에서 그 정도 중력을 행사할 수 있는 천체는 당연히 태양이었지만, 멀리서 오는 별빛이 태양의 영향을 받아 휘어지는 현상은 관찰할 수가 없었다. 낮에는 태양 빛이 워낙 밝아서 별이 하나도 보이지 않았고, 밤에는 별은 총총한데 태양이 없었다. 그러다 마침 개기일식이 다가온 것을 알고 손뼉을 쳤다. 일식 때는 달이 태양을 가려 대낮에도 잠깐 어두워져서 별빛이 보이기 때문이다. 그는 영국의 아서 에딩턴이란 천체물리학자에게 편지를 보내 자기 이론을 설명하고 도움을 청했다. 그 당시는 제1차 세계대전 중이어서 영국은 적국인 독일인 과학자에게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무엇보다도 영국이 낳은 불세출의 뉴턴에게 대드는 자는 이미 과학자이기를 포기한 사람 취급을 하던 때였다. 그래서 뉴턴주의자들이 골치를 앓던 수성의 근일점 문제를 일반상대성이론으로 쉽게 해결해 버린 아인슈타인을 정신 나간 과학자라고 매도하기까지 했다. 독실한 퀘이커 교도였던 에딩턴은 종교적 이유로 징집을 거부하고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이 가는 노동수용소행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확인하기 위해서 서부 아프리카의 프린시페섬에서 일식을 관찰하고 싶다는 청원을 했고 영국 왕립천문학회에서는 에딩턴의 능력이 아까워서 그가 수용소에 가는 대신 일식 관측으로 때울 것을 수락했다. 태양 뒤에 있는 별빛은 태양에 가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태양 주변을 스쳐 지나는 별빛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휘어진 공간을 직진하는 까닭에 우리 지구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에딩턴은 정밀한 사진기로 그 별의 정확한 위치를 촬영해 두었고, 개기일식 순간에 태양 주변의 사진을 찍어 두 사진을 비교해 보고 깜짝 놀랐다. 아인슈타인의 말대로 그 별이 사진에 찍혔지만 사실 그 별은 그 자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태양 뒤에 숨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빛이 휘어서 볼 수 있었던 것뿐이었다. 빛이 휜다는 사실은 빛의 속성인 직진을 위반하는 것이어서 물리학 원리에 모순되어 보이지만, 엄밀히 말해서 빛이 휜 것이 아니라 휘어진 공간을 직진했던 것이고 태양의 중력이 공간을 휘게 했다. 실로 엄청난 발견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삼일운동이 있던 해, 아인슈타인은 에딩턴과 함께 근대 물리학의 기반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았다. 에딩턴의 사진은 전 세계 신문에 실렸고, 아인슈타인은 괴짜 과학자에서 첨단물리학자로 떠올랐다. 드디어 아인슈타인의 세상이 온 것이다. 에딩턴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이 세상에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지금 나밖에 없다!" (작가) 박종진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중력 렌즈 중력 렌즈 중력 덩어리 정도 중력
2022.07.15. 16:48
남가주 사진작가협회(회장 김상동)가 정기전시회 ‘리치 오브 더 랜드(Riches of the Land)’를 다음 달 3일부터 10일까지 LA 한국문화원에서 개최한다. ‘또 다른 세계(Another World)’라는 주제로 2년 만에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는 12명의 사진작가가 참여해 메크로 특수렌즈를 사용해 만든 40여점의 작품을 전시한다. 남가주 사진작가협회 김상동 회장은 “팬데믹 동안 작가들은 주변에서 미처 눈을 돌리지 못했던 소재들의 숨겨진 아름다운 또 다른 세상을 찾았다”며 “집 마당과 골목 어귀, 혼자 오른 작은 산책길에서 꽃들과 곤충을 친구 삼으며 이 사진전의 주인공으로 만들었다”고 전했다. 남가주 사진작가협회는 2005년 비영리단체로 설립돼 지난 15년 동안 해마다 특별한 주제를 선정해 사진전을 개최해왔다. 이번 전시 참여 작가는 김상동, 헬렌신, 문성, 이준철, 진박, 이혜정, 임희빈, 조앤김, 김연동, 쥬디변, 지나 락커, 조나리다. 협회는 해마다 전시 작품으로 제작한 고급 캘린더 150부를 오프닝 리셉션에 온 관람객에게 선착순으로 무료 증정한다. 이번 전시는 LA한국문화원(원장 박위진)이 주관하고 중앙일보 후원으로 열린다. 오프닝 리셉션은 내달 3일 오후 7시. ▶장소: 5505 Wilshire Blvd. LA ▶문의: (213)253-8999 이은영 기자렌즈 정기전시회 남가주 사진작가협회 메크로 특수렌즈 회장 김상동
2021.11.21. 1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