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가 서민과 중산층의 거주지 마련을 돕기 위해 제공하는 ‘하우징 커넥트 로터리’(Housing Connect Lottery·이하 하우징 로터리) 당첨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뉴욕시 렌트가 급등하면서, 주택도시개발부(HUD)가 정의한 어포더블하우징(소득의 3분의 1 수준) 기준을 적용해도 필요한 최소 소득기준이 높아져서다. 1인 가구 기준 연 소득이 10만 달러를 넘어야 지원할 수 있는 곳도 30%를 넘어섰다. 11일 본지가 뉴욕시 하우징 로터리 현황을 파악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신청받고 있는 36개 렌트건물 중 11곳은 1인 가구 기준 연 소득이 최소 10만 달러를 넘어야 지원할 수 있었다. 당첨되면 스튜디오 기준 월 3000달러 수준 렌트를 부담해야 한다. 1인 가구 기준 연 8만~13만 달러 수준의 소득을 요구하는 곳들이 13곳으로 가장 많았다. 결국 하우징 로터리 렌트 중 3분의 2는 1인 가구 기준 연 소득이 8만 달러는 넘어야 도전할 수 있는 곳들인 셈이다. 싱글이 아닌 맞벌이 부부의 경우 로터리 도전이 더 어렵다. 2인 가구 이상에게 요구하는 소득 기준이 1인 가구 기준과 큰 차이가 나지 않게 설정돼 있기 때문이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오히려 소득 제한 기준을 넘겨 지원도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물론 연 소득이 거의 없거나, 1인 가구 기준 소득이 연 8만 달러 미만이라도 지원할 수 있는 곳도 있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시니어 아파트 등을 제외하고 나면 퀸즈 라커웨이, 브롱스 끝자락 등 도심과 매우 동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다. 몇 년째 하우징 로터리에 지원하다 최근 플러싱 퀸즈도서관 근처 건물에 당첨, 입주하게 된 한인 남성 김 모씨(39)는 “직장이 맨해튼에 있어 아스토리아 일대 로터리를 노렸지만, 갈수록 경쟁률은 더 높아지는 것 같아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은 쪽에 지원할 수밖에 없었다”며 “매년 렌트가 거의 오르지 않는다는 점은 반갑지만, 시정부에서 좋은 위치의 렌트를 로터리로 많이 확보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소득기준이 미달돼 브루클린 그린포인트 하우징 로터리를 포기한 한 여성은 “1인당 지원기준 소득이 10만 달러를 넘어서는 하우징 로터리를 저렴한 주택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며 “‘식스 피겨’(six figures)의 중요성을 재확인한 것 같아 씁쓸하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로터리 하우징 하우징 로터리 뉴욕시 하우징 로터리 도전
2023.07.11. 21:13
세월이 비껴간 단아한 모습 가고 싶은 옛이야기 같은 곳 돌아돌아 가면 내 유년의 뜰이 눈부시게 피어있고 은빛 커튼 사이로 누군가 켰던 애수 어린 아코디언 소리 풀씨처럼 아득히 떠나와도 따뜻한 그 음성 맴돌아 혜화동 로터리 꿈길에 걸어본다. 조찬구 / 시인·뉴저지글마당 혜화동 로터리 혜화동 로터리 아코디언 소리 은빛 커튼
2021.12.17. 1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