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사설] 흥사단 개관 연기 사유 밝혀라

일제강점기 미주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거점이었던 LA 흥사단 옛 본부 건물의 재개관이 2년 연기됐다는 소식에 한인 사회가 답답해하고 있다. 그 과정과 이유에 대한 투명하고 성의 있는 설명이 없었기 때문이다.   건물 소유권을 가진 국가보훈부는 지난 20일 옛 흥사단 본부 건물의 리모델링 계획을 발표하면서 “국내외 사정을 고려해 연기 조정됐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내놓았다. 심지어 LA총영사관조차 구체적인 사유를 통보받지 못했다고 하니, 사업을 진행하는 한국 정부가 소통의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을 품을 수밖에 없다.     역사 사적지의 보존과 복원 사업은 특정 기관이나 정부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특히 멀리 타국에 이민온 선조들의 피땀 어린 노력이 서려 있는 곳이기에, 이곳을 아끼고 후대에 물려주고자 하는 한인 사회의 염원은 간절하다. 리모델링 연기가 불가피했다면, 먼저 그 이유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한인 사회의 이해를 구했어야 마땅하다. 더구나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재개관하겠다는 상징성까지 포기하지 않았나.   한국 정부가 직접 나서기 어렵다면, 건물의 유지 및 관리를 위탁받은 한미유산재단(위원장 이기욱)에서라도 적극적으로 나서 한인 사회에 상황을 알렸어야 했다. 정부 발표 이후에도 지금까지 재단측이 침묵하고 있다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밖에 볼 수 없다.   물론 정부 사업 계획이 연기될 수는 있다. 특히 그 대상이 역사 사적지라면 더욱 신중해야 한다. 1930년대 건축 양식으로 복원해야 하고 미주 독립운동사적지 거점으로 활용하려는 중요한 사업인 만큼, 철저한 고증과 투자는 필요하다.     하지만 단순히 행정 착오나 소통 부재와 같은 이유로 사업이 지연되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     흥사단 옛 본부 건물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다. 도산 안창호 선생의 독립 정신과 미주 한인들의 애국심이 숨쉬는, 미래 세대에 자긍심을 심어줄 귀한 역사적 유산이다.     관계 기관과 단체들은 지금이라도 투명하고 진솔한 소통을 통해 한인 사회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사업이 순조롭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무엇보다 오는 8월 9일 개최될 예정인 리모델링 안내 오픈하우스 행사는 일방적인 발표회가 아니라, 진정으로 한인 사회와 소통하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흥사단 개관 흥사단 본부 리모델링 연기 미주 독립운동사적지

2025.07.23. 19:4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