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리아 美 1호점, 추억만 팔 건가 …"실망했다" 쓴소리도
롯데리아 북미 1호점이 지난 14일 정식 개장했다. 1979년 서울 소공동에 첫 개점 했으니 무려 46년만의 미국 진출이다. 한국 최초의 ‘토종 버거’는 이제 미국에서 ‘K-버거’의 자존심으로 불리게 됐다. 주류 언론들도 롯데리아의 북미 1호점 개점 의미를 긍정적으로 분석했다. 특히 폭스뉴스는 “고 신격호 회장이 1972년 일본에서 ‘롯데리아’로 사업을 시작했다”는 역사까지 소개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소비자들의 반응이 가히 폭발적이었다. “4시간을 기다렸다” “드라이브 스루 대기 줄이 1마일은 되는 듯했다”며 뜨거운 현장 열기를 앞다퉈 전했다. 특히 개점 당일 대기줄에 서 있던 군인 일행에게 매장 매니저가 직접 ‘프리패스’로 안내하며 특별 대우한 동영상이 390만회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돼 네티즌들로부터 호평을 받기도 했다. 이렇듯 개장 직후부터 언론과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었으니 롯데리아 입장에서는 일단 연착륙에 성공했다고 자평할 법도 하다. 하지만 칭찬 일색인 반응이 불편한 이들도 있다. 현장에서 몇 시간을 기다리고 기다려 그 맛을 본 이들이다. ‘옐프(Yelp)’에 올라있는 댓글들은 참혹하다. 기다림에 지친 별 1개짜리 수많은 분노들은 차치하더라도 별 4개를 준 이들조차 “두 번은 가지 않겠다”는 글을 남겼다. 그중 토머스라는 이용자가 남긴 글은 롯데리아 미주법인이 반드시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나와 아내는 일본과 한국계라서 롯데리아는 늘 특별한 장소였다. 일본과 한국에 갈 때마다 롯데리아를 방문하는 게 전통이었고, 30년이 지난 지금은 우리 아이들도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그 추억을 되새기려 풀러턴 지점을 찾았는데 아쉽게도 실망스러웠다. 운영이 완전히 엉망진창이었다. 이대로라면 롯데리아 브랜드 이미지에 오히려 해를 끼칠 위험이 있다. 제대로 운영할 수 있을 때까지 잠정적으로 문을 닫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행간에서는 ‘제발 좀 잘해달라’는 30년 고객의 간절한 바람이 읽힌다. 충성 고객들의 실망은 최근 한국에서도 확인된다. 롯데리아는 원조 ‘가성비 버거’의 자리를 맘스터치에게 내줬다. 2021년 매장 수를 역전당하더니 지난해엔 영업 이익(391억원)도 맘스터치(734억원)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최근에는 안전성 문제까지 제기됐다. 지난 4월 한국 식약처 조사결과 롯데리아 베트남법인에서 생산한 새우 패티에서 동물용 항생제의 일종인 독시사이클린이 기준치의 최대 7배가 검출돼 전량 폐기되기도 했다. 공교롭게도 풀러턴 매장 개점 당시 이정욱 롯데리아 미국법인장이 “새우를 직접 공수해 온다”던 곳이 바로 그 베트남 법인이다. 롯데리아는 한인들에게 향수를 자극하는 추억의 맛이다. 하지만 추억만 팔아서는 버거 본고장에서 성공할 수 없다. 미국 내 버거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3000개가 넘는다. 맛도, 서비스도, 제품 안전성도 기대 이하라면 소비자가 등을 돌리는 것은 시간 문제다. 한 이용자는 ‘롯데리아가 아니라 로우테리아(Low-tteria)가 맞다. 이렇게 오래 기다려야 했다면 차라리 차량국(DMV)에나 갈 걸 그랬다’고 비꼬았다. K-버거 대표 주자의 별명이 부디 로우테리아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 정구현 기자·논설실장현장에서 롯데 리아 리아 미주법인 리아 브랜드 리아 북미
2025.08.19. 2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