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열로 인한 화재 및 화상 위험이 제기된 리튬이온 배터리 110만여 개가 리콜된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발화로 인한 화상 가능성이 있는 앵커의 보조배터리 ‘파워코어 10000(사진)’ 약 115만8000개를 전량 회수한다고 지난주 밝혔다. 리콜 대상은 해당 배터리 제품 중 모델 번호가 A1263인 제품이다. 제품 전면에는 브랜드명이 새겨져 있고, 하단에는 모델 번호와 ‘SN’으로 시작하는 시리얼넘버가 표시돼 있다. 이번 리콜은 제품 내 리튬이온 배터리가 과열되어 화재나 폭발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는 보고에 따른 것이다. CPSC는 지금까지 총 19건의 화재 및 폭발 사고가 보고됐으며, 이 중 2건은 경미한 화상 피해, 11건은 총 6만700달러 상당의 재산 피해를 남겼다. 리콜 제품은 지난 2016년 6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앵커 공식 웹사이트, 아마존, 뉴에그, 이베이 등 온라인 판매처를 통해 약 27달러에 판매됐다. CPSC는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은 즉시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업체에 무료 교환 신청할 것을 당부했다. 교환을 위해서는 제품에 ‘recalled’라는 문구와 이름, 날짜를 적은 뒤 제품에 모델 번호와 일련번호가 보이도록 사진을 찍어 제출해야 한다. 한편 리튬 이온 배터리는 화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반드시 지역 폐기물 처리소 등에 폐기 여부를 문의한 후 관련 규정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웹사이트(anker.com/product-recall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훈식 기자아마존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리콜 제품 과열 보조
2025.06.16. 20:43
텀블러 제조업체인 스탠리가 제품 결함으로 260만여 개의 머그컵을 리콜한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지난 12일 스탠리의 ‘스위치백’과 ‘트리거액션’ 여행용 머그컵 260만 개를 화상 위험으로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CPSC에 따르면 이번 리콜은 머그컵 뚜껑의 나사선이 열과 압력에 노출될 경우 수축하여 본체와 분리되고 열리는 결함 때문이다. 이때 내부의 뜨거운 액체가 흘러나와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이와 관련해 전 세계적으로 뚜껑 분리 사고 91건을 보고됐으며, 이 중 16건은 미국에서 발생했다. 전 세계 총 38명이 화상을 입었으며, 이 중 2명은 미국 거주자로 나타났다. 리콜 대상은 12온스, 16온스, 20온스 크기의 이중벽 구조 스테인리스스틸 머그컵 두 종으로, 폴리프로필렌 뚜껑이 장착된 제품들이다. 이 머그컵은 지난 2016년 6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아마존, 월마트, 타깃 등 다양한 소매점을 통해 전국에서 판매됐다. 리콜 대상 제품을 소유한 소비자는 머그컵 바닥에 표시된 제품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조치해야 한다. 제품 번호가 리콜 대상인 11개 번호와 일치할 경우,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업체에 연락해 뚜껑을 무상 교체 받아야 한다. 교체 접수 및 자세한 리콜 제품 정보는 스탠리 웹사이트(stanley1913tmrecall.expertinquiry.com)에서 가능하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한인 캘리포니아 LA 로스엔젤레스 머그컵 뚜껑 리콜 제품 제품 번호
2024.12.12. 15:53
월마트, 타깃 등 전국 여러 소매업체에서 판매된 냉동 와플 제품 수백종이 리콜된다. 식품제조업체 트리하우스푸드는 지난 18일 제조 시설 정기 안전 검사에서 일부 제품이 리스테리아균에 오염됐을 가능성을 발견했다며 자체 리콜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방식품의약국(FDA)에도 이미 리콜을 알린 상태라고 덧붙였다. 리콜 대상 브랜드, 제품, 제조코드 등이 각기 다른 총 698개 제품이다. 제품 중에는 월마트의 자체 브랜드 그레이트밸류(Great Value), 타깃의 굿앤개더(Good & Gather), 크로거의 심플트루스(Simple Truth·사진) 등이 포함돼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업체는 해당 제품들로 인해 발병이나 피해 사례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 리콜 제품을 구매했다면 즉시 폐기하거나 구매처에서 환불받으라고 당부했다. 회수 대상인 제품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트리하우스푸드 웹사이트(treehousefood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리스테리아균은 식중독균의 일종으로 고열과 설사 등의 증상이 있다. 특히 임신한 여성, 신생아, 65세 이상 시니어에 더 위험할 수 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매년 전국 1600명이 리스테리아에 감염되며, 이 중 약 260명이 사망한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한인 캘리포니아 LA 로스엔젤레스 식품제조업체 트리하우스푸드 리콜 제품 브랜드 제품
2024.10.21. 13:32
주요 소매업체에서 판매된 즉석식(ready-to-eat products) 육류 및 가금류 식품이 리스테리아 우려로 대량 리콜된 가운데, 이중 상당수가 뉴욕일원을 포함한 전국 학교에 납품됐다. 17일 농무부(USDA)는 앞서 지난 9일 리콜된 식품업체 브루스팩(BrucePac)의 즉석 육류 및 가금류 제품이 이미 일선 학교에 납품됐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날 USDA는 지난 5월 31일부터 이달 8일까지 생산된 해당 제품 리콜 대상을 늘려 이날 기준 총 1만1766만 파운드가량을 리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뉴저지 학교 최소 35곳, 뉴욕 학교 최소 24곳에 리콜됐어야 할 제품들이 납품된 상태라고 주의를 당부했다. USDA에 따르면, 리콜 제품을 납품받은 학교에 대한 조사를 이어감에 따라 목록은 더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코스트코, 트레이더조, 타겟, 월마트 등 매장서 판매된 다른 샐러드, 부리또 등도 새 리콜 대상으로 포함했다. 강민혜 기자리스테리아 학교서 리콜 제품 학교서 배포 리스테리아 우려
2024.10.20. 16:33
최근 리스테리아균 오염 우려로 햄 등 20만 파운드를 회수조치〈중앙경제 7월 30일자 3면〉를 결정했던 보어스헤드가 700만 파운드로 리콜 규모를 확대했다. 지난달 30일 연방 농무부(USDA)에 따르면, 보어스헤드가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으로 인해 델리 및 가금류 품목 700만 파운드를 추가 리콜한다고 밝혔다. 이번 리콜은 지난달 25일 발표했던 20만7528파운드 제품에 대한 확대 조치다. 리콜 대상 품목에는 버지니아 햄(사진), 올리브 로프, 올 내추럴 트래디셔널 햄, 스모크마스터 비치우드 스모크드 블랙 포레스트 햄, 스킨리스 비프 프랭크, 로즈마리 선드라이 토마토 햄 등이 포함됐다. 제조번호는 ‘EST. 12612’, ‘P-12612’이다. 올해 5월 10일부터 7월 29일 사이에 생산된 제품으로, 유통기한은 7월 29일부터 10월 17일까지다. 이번 리콜과 관련해 13개 주에서 리스테리아균 식중독으로 인해 2명이 사망하고 34명이 입원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되면 근육통, 구토, 설사, 두통, 경련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유산, 조산, 신생아 감염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USDA는 리스테리아균은 냉장·냉동 상태에도 생존할 수 있으므로, 리콜 제품을 보관했던 냉장고는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리콜 대상 제품을 발견하면 섭취하지 말고 구매처에 반품하라고 덧붙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업체 전화(800-352-6277)해 문의하면 된다. 관련기사 보아스 헤드, 육류제품 리콜…리스테리아균 감염 우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육류 리콜 육류 리콜 리콜 제품 리콜 규모
2024.08.01. 21:34
최근 리스테리아균 오염 우려로 햄 등 20만 파운드를 회수조치〈7월 30일자 중앙경제 3면〉를 결정했던 보어스헤드가 700만 파운드로 리콜 규모를 확대했다. 지난달 30일 연방 농무부(USDA)에 따르면, 보어스헤드가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으로 인해 델리 및 가금류 품목 700만 파운드를 추가 리콜한다고 밝혔다. 이번 리콜은 지난달 25일 발표했던 20만7528파운드 제품에 대한 확대 조치다. 리콜 대상 품목에는 버지니아 햄, 올리브 로프, 올 내추럴 트래디셔널 햄, 스모크마스터 비치우드 스모크드 블랙 포레스트 햄, 스킨리스 비프 프랭크, 로즈마리 선드라이 토마토 햄 등이 포함됐다. 제조번호는 'EST. 12612', 'P-12612'이다. 올해 5월 10일부터 7월 29일 사이에 생산된 제품으로, 유통기한은 7월 29일부터 10월 17일까지다. 이번 리콜과 관련해 13개 주에서 리스테리아균 식중독으로 인해 2명이 사망하고 34명이 입원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되면 근육통, 구토, 설사, 두통, 경련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유산, 조산, 신생아 감염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USDA는 리스테리아균은 냉장·냉동 상태에도 생존할 수 있으므로, 리콜 제품을 보관했던 냉장고는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리콜 대상 제품을 발견하면 섭취하지 말고 구매처에 반품하라고 덧붙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업체 전화(800-352-6277)해 문의하면 된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리콜 확대 리콜 확대리스테리아균 리콜 제품 리콜 규모
2024.07.31. 15:32
대장균 감염 가능성으로 전국에서 판매 중인 체다치즈 품목이 리콜됐다. 지난 15일 캘리포니아주 소재의 치즈 회사 ‘로 팜 유에스에이(Raw Farm)’는 연방 식품의약청(FDA)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로부터 “자사의 생체다치즈 제품이 일부 질병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통보를 받고 리콜 조치를 실시했다. 리콜 제품은 ▶16온스와 8온스 생체다 블록치즈 ▶8온스 생체다 슈레드치즈다. 생체다 블록치즈 중 제조일자(date code)가 2023년 11월 13일이거나 그 이전인 제품, 생체다 슈레드치즈 중 제조일자가 2023년 11월 16일이거나 그 이전인 제품이 리콜 대상이다. ‘로 팜’의 치즈 제품들은 ▶뉴욕 브루클린의 ‘아주어 고메(Azure Gourmet)’와 ‘옴니 헬스(Omni Health)’ ▶맨해튼의 ‘카네기 마켓(Carnegie Market)’ 등을 포함해 전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CDC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18일부터 올해 1월 29일까지 전국 4개주에서 10건의 대장균 감염이 보고됐다. 캘리포니아주에서 4건으로 가장 많은 감염이 보고됐으며, 콜로라도주(3명), 유타주(2명), 텍사스주(1명)가 그 뒤를 이었다. 사망자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이중 한 환자는 신부전의 일종인 용혈성 요독 증후군(HUS)에 걸리기도 했다. 10명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분변 샘플에서 서로 일치하는 데이터가 나왔으며, FDA는 “인터뷰에 응한 8명의 환자 중 6명이 발병 전 주에 ‘로 팜’ 브랜드의 생체다치즈를 먹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FDA는 “리콜 대상에 해당되는 치즈를 갖고 있는 경우 섭취하지 말고 반품할 것”을 권고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업체 전화(559-846-9732) 또는 이메일([email protected]/[email protected])로 문의하면 된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체다치즈 제품 생체다치즈 제품 리콜 제품 전국 판매
2024.02.23. 21:27
질식사·화재·부상 위험 등으로 리콜된 영유아 상품들이 온라인에서 버젓이 판매되고 있어서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본지가 이베이, 크레이그리스트,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 등 중고 거래사이트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리콜된 제품들이 제지없이 거래되고 있었다. 이베이에서는 지난 8월 발열로 인한 화상 문제로 리콜된 필립스 아벤트 디지털 비디오 베이비 모니터, 부상 위험으로 인해 6월에 리콜된 로보 얼라이브 주니어 아기상어 장난감에다 심지어 질식사 가능성으로 2022년 8월에 리콜된 4맘스 아기 흔들요람 등이 아직도 거래되고 있다. 최근 논란이 됐던 페이스북에서는 2023년 6월 화재위험으로 리콜된 차량용 주비 비디오 베이비 모니터, 낙상 위험으로 리콜된 모킹버드 싱글 유모차 등으로 의심되는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사진은 리콜 제품과 동일했지만 제품번호나 시리얼 번호가 게재되지 않아서 이들 제품은 의심 제품으로 처리했다. 크레이그리스트에서도 낙상 위험으로 회수 조치된 훔 어린이 자전거 제품을 찾을 수 있었다. 〈표 참조〉 소비자 권익 옹호 단체들은 이용자가 다치거나 자칫 생명까지 위험한 이런 제품들이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아무런 제지 없이 거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사이트에 게재된 사진이 리콜 제품과 구분할 수 없고 판매업체의 제조번호나 제조연도와 같은 중요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서 소비자들이 리콜 제품인지 구분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목됐다. 한 소비자는 “기껏 연방 정부나 제조 업체가 제품의 위험성을 확인해서 리콜 조치를 했지만 정작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 여전히 거래가 되고 있어서 소비자들은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정부의 조치가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소비자들의 대책 요구가 거세지자 연방 의회 의원들은 지난 8월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타깃, 월마트, 아마존, 쉬인 및 이베이를 포함한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는 12개 이상의 소매업체에 안전 규정 및 준수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다. 또한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기업들이 단순히 제품 검색을 막는 것에 그치지말고 플랫폼 내에서 거래되는 리콜 제품을 업체가 일일이 확인해서 삭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콜된 제품을 판매하면 소비자 제품 안전법(CPSA), 연방거래위원회(FTC) 법규정에 따라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게다가 좋은 마음으로 리콜된 제품을 기부하는 것 역시 법규 위반이어서 유의해야 한다. 리콜 제품을 판매하거나 기부할 경우 벌금이나 물건을 압수당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판매된 리콜 제품 때문에 소비자가 피해를 볼 경우, 판매자나 기부자는 소송을 당할 수 있고 손해배상은 물론 변호사 비용까지 부담해야 할 수 있다. 한편, 최근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에서는 100명 이상 영아 사망과 관련된 피셔프라이스의 록앤플레이 요람과 영유아 8명의 사망 원인으로 지목돼 회수된 ‘바피’의 유아용 쿠션이 거래돼 논란이 커졌다. 이에 CPSC는 1000건 이상 리콜 제품 삭제를 페이스북 측에 요구했지만, 업체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꿈쩍하지 않던 페이스북이 이 두 제품에 대한 검색을 막았다고 전했다. 정하은 기자페이스북 영유아 리콜 제품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리콜 조치
2023.10.25. 20:06
FDA는 6월 21일 리스테리아 감염 우려로 월마트, 트레이더조, 타겟, 홀푸드, 알디 등 전국의 주요 매장에서 판매되는 '선라이즈 그로워스 Sunrise Growers Inc' 사의 냉동 과일 제품을 리콜했다. 리스테리아는 어린이, 노약자,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심각하고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임산부에게 유산과 사산 유발의 가능성이 있다. 건강한 사람은 고열, 심한 두통, 경직, 메스꺼움, 복통, 설사 같은 단기적인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아직 이 제품으로 인한 질병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냉동고에 리콜 제품이 있는지 확인하고 발견 시에는 제품을 폐기하거나 매장에 반품하여 환불받을 수 있다. 코드나 유효 기간이 다른 제품은 이번 리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리콜 대상은 리콜 대상 제품 및 제품이 배포된 매장은 다음과 같다. 월마트 •1월 19일부터 6월 13일 사이 배포된 그레이트 밸류 혼합 과일, 그레이트 밸류 스위트 다크 체리 및 그레이트 밸류 망고 청크 •아칸소,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컬럼비아 특별구, 아이다호, 일리노이, 인디애나, 아이오와, 캔자스, 켄터키, 루이지애나, 메릴랜드, 미네소타, 미주리, 몬태나, 네브래스카, 네바다, 뉴멕시코, 노스닥토아, 오하이오, 오클라호마, 오레곤, 펜실베이니아, 사우스다코타, 텍사스, 유타, 버지니아, 웨스트버지니아, 와이오밍. 트레이더조 •3월 28일부터 4월 11일 사이 배포된 트레이더조 오가닉 혼합 열대과일 •아칸소, 앨라배마, 코네티컷, 콜로라도, 델라웨어, 컬럼비아 특별구, 일리노이, 인디애나, 아이오와, 캔자스, 켄터키, 루이지애나, 메인, 메릴랜드, 매사추세츠, 미시간, 미네소타, 미주리, 네브래스카, 뉴햄프셔, 뉴저지, 뉴멕시코, 뉴욕, 오하이오, 오클라호마, 펜실베이니아, 로드아일랜드, 테네시, 텍사스, 버지니아, 버몬트, 위스콘신. 타겟 •10월 14일부터 5월 22일 사이 배포 •Good & Gather 유기농 체리 및 베리 과일 블렌드, Good & Gather 다크 스위트 통체리, Good & Gather 망고 딸기 블렌드, Good & Gather 혼합 과일 블렌드, Good & Gather 망고 청크, Good & Gather 블루베리, Good & Gather 트리플 베리 블렌드 홀푸드 •365 유기농 열대 과일 메들리, 365 유기농 파인애플 청크, 365 파인애플 청크, 365 유기농 홀 딸기, 365 유기농 슬라이스 딸기 및 바나나, 365 유기농 블랙베리가 전국 매장에 배포됐다 알디 •10월 11일부터 5월 22일 사이 배포된 시즌스 초이스 트로피컬 블렌드 앨라배마, 아칸소, 코네티컷, 플로리다, 조지아, 아이오와, 캔자스, 켄터키, 메릴랜드, 매사추세츠, 미시칸, 미네소타, 미시시피, 미주리, 네브래스카, 뉴햄프셔, 뉴욕, 노스캐롤라이나, 오하이오, 오클라호마, 펜실베이니아, 로드아일랜드, 사우스캐롤라이나, 테네시, 텍사스, 버몬트, 버지니아, 웨스트버지니아. AWG(Associated Wholesale Grocers) •4월 5일부터 5월 4일 사이 배포된 베스트 초이스 씨를 제거한 레드 타르트 체리 무가당 제품 •캔자스, 미주리, 네브라스타, 오클라호마의 일부 유통 센터 제품 번호 및 기타 정보는 FDA 웹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다. 상세한 정보는 이메일 [email protected] 하거나 1.888.490.5591로 월요일~금요일(태평양 시간 기준 오전 8시~오후 5시)로 전화하면 된다. 최주미 기자리스테리아 트레이더조 월마트 트레이더조 리스테리아 감염 리콜 제품
2023.06.23. 15:43
유리병 양초 500만개가 화상 위험으로 리콜된다. 대형 생활용품 체인점 타겟은 지난 19일 자사 매장에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는 스레스홀드(Threshold) 유리병 양초 제품이 사용 중 병이 깨지거나 금이 갈 수 있어 화상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리콜한다고 밝혔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에 따르면 이와 관련해 137건의 사례가 보고됐으며 심한 열상 및 화상 피해를 포함해 6명이 부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리콜 대상은 스레스홀드 5.5온스 5개 제품, 14온스 19개 제품, 20온스 13개 제품으로 지난 2019년 8월부터 올해 3월까지 개당 3달러, 20달러씩 판매됐다. CPSC는 리콜 제품 사용을 즉각 중단하고 인근 타겟 매장에서 리턴 및 환불받을 것을 권고했다. 우편으로 리턴할 경우 타겟에 연락해 반품용 배송라벨을 요청하면 된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유리병 양초 유리병 양초 리콜 제품 화상 피해 리콜
2023.05.21. 18:00
A형 간염을 일으킬 수 있는 냉동 딸기 제품이 리콜됐다. LA카운티 보건당국 관계자는 14일, 코스트코와 트레이더 조를 비롯한 일부 마켓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냉동 딸기가 A형 간염 사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이들 제품을 모두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관련 사례는 캘리포니아 주 외에도 다른 여러 주에서 다수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냉동 딸기 제품은 멕시코 바하 캘리포니아의 특정 농장에서 생산된 것으로 지난달에도 연방식품의약국(FDA)은 이곳에서 2022년 생산된 유기농 딸기를 공급받아 생산된 제품에 대해 전국적으로 리콜 조치한 바 있다. 리콜된 제품은 코스트코 커클랜드 시그니처 브랜드, 트레이더 조 브랜드 등 다양한 브랜드를 붙여 판매됐다. LA 지역에서도 여러 매장에서 관련 딸기 제품이 판매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 리콜 제품을 구입한 경우에는 제품 섭취를 즉각 중단하고 이를 폐기 처분하거나 구입한 매장에서 환불을 요청하면 된다. 지난 2주 안에 해당 제품을 섭취했고 A형 간염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다면 예방 치료와 관련해 보건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건당국은 조언했다. 김병일 기자코스트코 간염 코스트코 제품 리콜 제품 냉동 딸기
2023.04.14. 13:27
청소세제 브랜드 '파불로소(Fabuloso)'가 자사의 다용도 세제 약 500만병을 자발적으로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자사 제품에 박테리아가 성장할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리콜된 제품의 생산제조 과정에서 방부제가 의도된 수준으로 첨가되지 않아 이런 위험성이 발생했다고 밝히고 해당 제품에는 슈도모나스 종의 박테리아가 함유됐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박테리아는 숨을 들이마실 때나 피부, 눈 등을 통해 체내로 들어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박테리아가 체내에 들어오면 면역체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 리콜된 제품은 2022년 12월 14일부터 올해 1월 23일 사이에 제조됐다. 제품 설명서에 붙은 바코드 옆 12자리 UPC 번호를 확인하면 리콜 제품 여부를 알 수 있다. 12자리 번호 가운데 첫 8자리가 2348US78부터2365US78까지, 또 3001US78부터 3023US78까지를 포함한다면 리콜에 해당한다. 리콜과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제품 브랜드 사이트(fabuloso.com/recall)에서 확인하면 된다. 김병일 기자파불로소 청소세제 파불로소 청소세제 리콜 제품 청소세제 브랜드
2023.02.09. 13:58
사망 사고로 리콜된 일부 유아용품 중고품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판매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USA투데이는 지난 5일, 최근 수 주일간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된 제품들을 조사한 결과 14건의 리콜과 관련된 유아용품 170여개가 중고품으로 거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리콜된 제품들은 적어도 121명의 어린이 사망 및 375건의 심각한 부상과 관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리콜된 제품일지라도 쉽게 등록은 물론 구매가 가능한 데다가 다른 중고품 매매사이트인 이베이, 크레이그스리스트보다 더 많은 리콜제품이 등록된 것으로 드러났다.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에서 주의해야 할 주요 유아용품에는 97명이 사망해 2019년 470만개가 리콜된 록앤 플레이 슬리퍼가 포함됐다. 이외에도 4명 사망으로 올해 12만 대가 리콜된 록앤 글라이드 수더스, 6명 사망으로 2013년 16만500개가 리콜된 더 냅 내니, 2007년 400만개가 리콜된 범보 베이비 시트, 2009년 100만대가 리콜된 맥라렌 더블 스크롤러 등이 있다. 페이스북 규정에는 리콜 제품 판매를 금지한다고 명시돼 있으나 페이스북의 조치가 충분하지 않다고 USA투데이는 지적했다. 박낙희 기자페이스북 유아용품 리콜 유아용품 리콜 제품 박낙희 NAKI 리콜
2021.11.07. 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