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에서 전동 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등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화재와 폭발 사고가 급증하면서, 시의회가 연방 및 주정부에 강력한 규제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화재 4년 새 6배 급증 토론토소방국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리튬이온 배터리로 인한 화재가 약 600% 증가했다. 올해 9월 기준 관련 화재는 68건에 달했으며, 그중 39건이 전동 킥보드나 전기자전거 등 개인 이동장치에서 발생했다. 이 같은 급증세에 따라 시의회는 알레한드라 브라보(Alejandra Bravo) 의원의 제안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위험 완화’ 결의안을 채택했다. 해당 결의안은 연방정부와 온타리오주 정부가 배터리의 수입과 유통, 실내 보관 및 충전시설 관리 규정을 강화할 것을 요구한다. “온라인 배터리, 사실상 무방비 상태” 토론토소방국 짐 제솝 국장은 “리튬이온 배터리는 현재 온라인에서 아무런 인증 없이 구매할 수 있으며, 손상되거나 과충전된 제품이 많다”며 “폭발이 일어나면 90초 안에 실내가 유독가스로 뒤덮인다”고 경고했다. 브라보 의원 역시 “지침 수준의 권고만으로는 부족하며, 법적 규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와 시민단체도 규제 지지 자전거 단체 사이클 토론토(Cycle Toronto)도 이번 조치에 지지를 표했다. 이 단체는 “시의 단속이 사용자 중심으로만 이뤄지고 있다”며 “불법이거나 인증되지 않은 배터리를 판매하는 소매업체에 대한 관리가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연방정부에 강제 기준 요청 현재 캐나다 보건부와 교통부는 관련 표준을 ‘권장사항’으로만 두고 있다. 이에 사이클 토론토는 모든 수입 제품과 국내 유통 제품에 대해 해당 안전 기준을 법적으로 의무화할 것을 연방정부에 요구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휴대전화, 노트북, 전자담배, 장난감 등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며, 작은 크기에 강력한 에너지를 담을 수 있어 효율적이지만, 과열이나 손상 시 폭발 위험이 높다. 전문가들은 규제 부재 속에서 ‘인증받지 않은 배터리’가 늘어나며 도시 안전에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리튬배터리 토론토 사이클 토론토 리튬이온 배터리 온라인 배터리
2025.10.18. 22:18
토런스 경찰국은 29일, 2025년형 테슬라 모델 Y가 연루된 화재 사고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로 인해 구조 작업에 난항을 겪었다고 발표했다. 이번 사고는 1월 28일 오후 10시 15분경 마드로나 애비뉴와 플라자 델 아모 교차로에서 발생했다. 경찰에 따르면, 사고 차량은 마드로나 애비뉴를 따라 남쪽으로 주행하던 중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갑자기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 신호등 기둥과 충돌했다. 경찰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차량은 이미 화염에 휩싸여 있었다. 경찰관들은 차량 내부로 진입하려 했지만, 강렬한 불길과 열기로 인해 탑승자를 구조하지 못했다. 토런스 소방국 대원들도 현장에 출동해 화재를 진압하려 했으나, 차량의 리튬 이온 배터리로 인해 진압 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탑승자는 결국 현장에서 사망했으며, 신원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사고 발생 후 카슨 스트리트와 세풀베다 블러바드 사이 도로는 약 5시간 동안 폐쇄되었으며, 경찰은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한편, 리튬 이온 배터리가 구조 작업을 어렵게 만든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4년 9월, 샌 페드로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운반하던 대형 트럭이 전복되면서 대형 화재가 발생해 항만 운영이 중단되고 고속도로가 2일간 폐쇄된 바 있다. 토런스 경찰국은 이번 사고와 관련된 정보를 가진 시민들의 제보를 요청하며, 경찰 교통과(310-618-5557)로 연락해 줄 것을 당부했다. AI 생성 속보리튬배터리 인명구조 테슬라 모델 신호등 기둥 토런스 경찰국
2025.01.30. 11:00
뉴욕시가 최근 잇따라 화재로 인해 인명사고를 일으키고 있는 불량 전기자전거 배터리를 강력히 규제하기로 했다. 뉴욕시의회는 17일 화재긴급운영청문회(Fire and Emergency Management Hearing)를 열고 불량 전기자전거 리튬이온 배터리 교환 프로그램과 배달회사들의 전기자전거 사용 직원 안전조치 의무화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전기자전거 리튬배터리 규제 조례안을 최대한 속히 심의 통과시키기로 했다. 뉴욕시는 지난 2021년에 불량 전기자전거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104건의 화재가 일어나 4명이 사망했다. 이후 전기자전거 사용이 늘어나면서 2022년에는 216건의 화재가 발생해 6명이 목숨을 잃었고, 올해 들어서는 1분기를 지나는 동안 벌써 63건의 화재로 5명이 사망했다. 특히 지난주에는 아스토리아에서 2층 아파트에 살던 19세 틴에이저 여성과 7세 소년이 입구 부근에서 전기자전거 배터리를 충전하다 화재가 나는 바람에 피하지 못하고 목숨을 잃는 참사가 일어나 큰 충격을 줬다. 뉴욕시의회가 패스트트랙으로 추진하는 전기자전거 리튬배터리 규제 조례가 시행되면 뉴욕시는 소방국 등이 참여해 결함이 있거나 공인 받지 못한 리튬이온 배터리(faulty and uncertified lithium-ion batteries)는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 배터리로 교환해 주는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또 식품 배달회사들은 직원들이 전기자전거 배터리를 충전할 때 화재를 막는 내화 컨테이너(fire-resistant containers)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고, 불량 배터리는 리베이트 형식으로 교환해줘야 한다. 이와 함께 뉴욕시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낮지만 인증이 안 된 배터리 판매를 금지하고, 전기자전거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내 또는 입구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피하는 등의 안전수칙 홍보를 확대하기로 했다. 박종원 기자리튬배터리 전기자전거 전기자전거 사용자 전기자전거 리튬배터리 불량 전기자전거
2023.04.18. 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