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11일부터 링컨터널 현금 톨 부스 폐쇄

11일부터 링컨터널의 현금 톨 부스가 폐쇄돼 운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뉴욕뉴저지항만청(NYNJPA·이하 항만청)은 지난 11월초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일정에 따라 12월 11일 현금 톨 부스를 모두 폐쇄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항만청은 지난 수년간 총 5억 달러를 투입해 ▶조지워싱턴브리지 ▶링컨터널 ▶홀랜드터널 ▶베이욘브리지 ▶괴탈스브리지 ▶아우터브리지 크로싱 등 허드슨강을 지나는 6개 교량·터널의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 왔다.   11일 링컨터널을 마지막으로 뉴욕과 뉴저지를 연결하는 6개 주요 교량·터널의 현금 톨 부스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6개 교량·터널 이용자들은 자동적으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해 집주소로 발송되는 통행료 청구서를 받고 통행료를 추후 납부하는 방식으로 통행료(16달러)를 지불하게 된다. 이지패스(E-ZPass) 이용자들은 추후 납부 없이 할인된 가격으로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다.   한편, 항만청은 오는 15일 이사회에서 통행료를 17달러로, 이지패스 이용자는 혼잡시간대에 13달러75센트에서 14달러75센트, 비혼잡시간대 11달러75센트에서 12달러75센트로 인상하는 방안을 표결할 계획이다. 인상안이 이사회에서 승인될 경우 2023년 1월 8일부터 적용된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링컨터널 현금 링컨터널 현금 부스 폐쇄 통행료 자동징수

2022.12.09. 18:35

“뉴저지주로 확장하는 뉴욕기업에 세액공제”

  “왜 뉴저지 주민들이 매일 두 시간을 다리나 터널에서 교통체증과 싸우며 버려야 하고, 아이들의 야구 경기를 놓치고, 비싼 통행료와 주차비·휘발유값으로 연간 2만 달러를 써야 합니까. 이들은 뉴저지주에서 일하고, 그 돈은 뉴저지주 경제를 살리는 데 쓰여야 합니다.”   9일 오전, 뉴저지주 페어론의 유명 다이너 앞을 찾은 조시 고트하이머(민주·뉴저지 5선거구) 연방하원의원은 뉴욕시가 추진 중인 교통혼잡료를 비판하며 “터무니없는(absurd) 이중과세”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날 조지프 라가나 뉴저지주 상원의원, 크리스 털리·리사 스웨인 뉴저지주 하원의원 등이 내놓은 ‘스테이 인 저지’(Stay in Jersey) 법안을 지지하기 위한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뉴저지주의회에 제출할 이 법안은 뉴욕 기반 기업들이 뉴저지주에 지역허브를 설립하도록 장려하고, 뉴저지 거주자들의 통근 비용을 절약하도록 한다는 것이 골자다. 법안에 따르면 뉴저지주는 2027년까지 연간 1500만 달러 규모의 프로그램을 마련, 뉴욕 기업들이 뉴저지주에서 사업하면 택스크레딧(세액공제)을 제공한다. 렌트 등 투자로 직원 통근비를 절약했다는 것을 뉴저지경제개발청(NJEDA)에 증명하면 정규직 직원 1인당 250달러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다.   현재 뉴저지 거주자가 조지워싱턴브리지와 홀랜드·링컨터널을 이용해 뉴욕으로 출퇴근하는 데에는 하루 16달러가 들며, 교통혼잡료까지 시행될 경우 하루 비용은 39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고트하이머 의원은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철자를 거꾸로 읽으면 현금자동입출금기(ATM)”라며 “MTA는 팬데믹 연방 자금을 받고도 재정상황을 해결 못 해 뉴저지 주민들을 갈취하려 한다”고 말했다. 또 “연간 2만 달러에 달하는 고가의 통행료와 휘발유값 등을 지역경제에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욕시 교통혼잡료는 극심한 교통체증을 막기 위해 맨해튼 60스트리트 남쪽 지역으로 진입하는 운전자들에게 통행료를 부과하는 정책이다. 장기간 미뤄진 환경영향평가가 곧 공개되고 공청회 일정도 정해지며 내년부터 교통혼잡료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미 비싼 통행료를 지불하는 뉴저지 주민들에겐 ‘이중과세’에 해당한다는 반발이 나오고 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 뉴저지 교통혼잡료 통행세 조지워싱턴브리지 링컨터널 혼잡료 이중과세

2022.08.09. 21:0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