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쩌둥(毛澤東)은 중국 창사 사범학교 시절에 스승 양창지의 집을 드나들면서 그의 딸 양카이후이를 사랑하게 된다. 부모의 반대에도 결혼해 아들 마오안잉(毛岸英·1922~1950)을 낳았다. 혁명 와중에 아내는 고향에서 국부군에 붙잡혔다. 전향을 거부하다가 처형됐는데 당시 아들은 8세였다. 그 뒤 마오안잉은 모스크바로 유학해 기계 기술자가 되어 돌아왔다. 아들을 본 마오쩌둥은 혁명가의 아들은 농민을 알아야 한다며 시골로 보냈다. 아들이 농사지은 고구마를 아버지에게 보여주자 마오쩌둥은 고구마는 쳐다보지도 않고 아들의 손을 매만지며 “열심히 살았구나”라고 격려했다. 1949년 10월 미녀 배우 류쑹린(劉松林)과 결혼시켰다. 이듬해 북한의 남침으로 한국전쟁이 시작되자 마오쩌둥이 아들에게 말했다. “전쟁에는 지도자의 아들이 먼저 가야 한다.” 포로가 되면 난처하다며 참모들이 말리자 마오쩌둥은 “그는 마오쩌둥의 아들이다”라고 말했다. 마오안잉은 한국전쟁에 지원해 평안북도 동천군에서 미군의 폭격을 맞아 28세에 사망했다. 펑더화이(彭德懷) 사령관이 차마 마오쩌둥에게 직보하지 못하고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에게 연락했다. 저우언라이가 보고하자 마오쩌둥은 “시신은 확실하던가”라고 물었다. 여느 필부처럼 자식을 잃은 아픔을 그렇게 표현했다. “예. …. 고향에 묻어줄까요?” “아니요. 전사는 죽은 자리에 묻어주는 법이오.” 그래서 마오안잉은 숨진 자리에 묻혔다. 마오쩌둥이 한국전쟁에서 남의 집 자식을 수없이 죽였다. 그 사실을 빼더라도 자기 나라 청년 122만 명을 사지에 몰아넣었다. 15만 명의 젊은이가 목숨을 잃었으며, 80만 명이 장애인이 되었거나 생업을 잃었다. 그리고 씻을 수 없는 남북 분단 고착화를 남긴 것이 야속하고 한스럽다. 마오쩌둥은 지하에서 지금도 자신의 처사가 옳았다고 생각하고 있을까. 신복룡 / 전 건국대 석좌교수신 영웅전 마오쩌둥 당시 아들 평안북도 동천군 창사 사범학교
2024.12.01. 17:00
고침내용 : [역사결의 채택 가능성 등 추가, 제목 변경]시진핑, 마오쩌둥 반열 오르나…내달 공산당 '역사결의' 가능성(종합) 공산당 19기 6중전회 내달 8∼11일 개최 "1945년·1981년 역사결의는 마오쩌둥·덩샤오핑 시대 진입 상징" (베이징=연합뉴스) 김윤구 특파원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역사적 위상이 다음달 공산당의 19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19기 6중전회)를 계기로 마오쩌둥(毛澤東), 덩샤오핑(鄧小平)에 맞먹는 수준으로 격상될 수도 있을 전망이다. 이번 6중전회는 내년 가을의 당 대회를 앞두고 시진핑의 임기 연장을 위한 토대를 닦는 자리다. 6중전회에서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시대에 이어 3번째로 '당 역사 결의'를 채택할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6중전회는 다음 달 8∼11일 베이징에서 열린다.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18일 시진핑 총서기 주재로 회의를 열어 이 같은 일정을 결정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공산당은 지난 8월 6중전회가 11월에 개최된다고 발표했지만 정확한 날짜는 공개하지 않았었다. 신화통신은 '당의 100년 분투의 중대한 성취와 역사 경험에 관한 결의'를 심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초안에 대한 논의는 이뤄졌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는 중국 공산당이 6중전회에서 3번째 역사 결의를 채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중국 공산당은 1945년 공산당 6기 7중전회에서 '여러 과거사 문제에 관한 결의', 1981년 11기 6중전회에서 '건국 이래 당의 여러 과거사 문제에 관한 결의'를 채택했다. 이는 모두 공산당 역사의 결정적인 전환점으로 각각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핵심 지위를 확립했으며 마오쩌둥 시대와 덩샤오핑 시대로 들어갔음을 상징했다고 둬웨이는 평가했다. 둬웨이는 중국 공산당이 과거 100년의 중대 성취와 역사 경험을 총결산하는 것을 내년 당 대회에서 시진핑이 연임 후에 핵심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것과 연결했다. 이번 6중전회는 마오쩌둥 시대, 장쩌민(江澤民)과 후진타오(胡錦濤) 시기를 포함한 덩샤오핑 시대를 이어 시진핑 시대에 진입했다는 것을 알릴 것으로 보인다. 신화통신은 중화민족은 일어서고, 부유해지고, 강해졌다면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은 돌이킬 수 없는 역사 과정에 진입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따라서 역사 결의가 채택되면 시진핑 집권 이래 중국이 명실상부한 강대국의 반열에 올라섰음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지난달 28일자 1면에 '우리는 어떻게 해야 계속 성공할 수 있는가'라는 제목의 '선언'에서 시 주석이 최고지도자로 등극한 이후 추진한 부패 척결, 군사력 증강,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등을 열거한 뒤 중국이 강대국으로 비약한 근본은 "시진핑의 신(新)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의 과학적 지도에 있다"고 쓴 바 있다. 역사 결의에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에 대한 평가가 담길지도 관심거리다. 1981년 결의에서는 문화대혁명이 재앙을 가져왔다고 인정했다. 6중전회에서는 차기 지도부 인선에 관한 논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공개로 열리는 이번 회의에는 공산당 중앙위원과 후보위원 등 300여명이 참석한다. 지난해 10월 26∼29일 열린 19기 5중전회는 내수 시장을 강화하는 '쌍순환' 발전 전략을 통과시킨 바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1.10.18.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