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에] 아름다운 손편지
97세의 위진록 수필가와 68세의 정순진 국문학 교수가 공동 집필한 서간집, ‘세월의 흔적’ 출판기념회에 다녀왔다. 한국과 미국의 여러 지역에서 날아온 두 저자의 일가족 2~3대가 앉아있는 테이블에는 밝고 훈훈한 가족애가 넘쳤다. ‘8년간의 손편지에 담긴 인생’이라는 부제가 달린 책의 원제는 ‘손편지, 아름다운 사연 아름다운 인연’. 총 250쪽의 장정본으로 만만치 않은 분량이다. ‘태평양 세기 연구소(Pacific Century Institute)’ 대표 스펜서 김님의 후원으로 제작되었다는, 사회자 장소현 극작가의 인사말이 따뜻했다. 책 출간에 따른 편집·교정과 소통에 위 선생님의 아내 김로신 여사의 노고가 컸다. 내가 선생님 다음으로 못지않게 존경하는 김여사님은 그림, 서예, 심지어 댄스까지 뛰어난 재인이시다. 출판기념회가 열리기 며칠 전, 위 선생님을 찾아뵈었다. 선생님은 특유의 힘찬 필체로 사인하고 도장까지 찍은 서간집과 정순진 작가의 수필집 ‘괜찮다 괜찮다’를 건네주셨다. 위 선생님을 만나 문학이야기를 나눈 지 수년째다. 선생님은 해이해진 내 문학 정신을 일깨워주고 문학의 진수를 몸소 보여주셨다.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 세토우치 자쿠초의 ‘겐지 이야기’를 중심으로 작가와 작품세계를 유려하게 토로하시는 선생님은 홍안의 소년이었다. “하정아, 네 문장은 좀 더 단단해져야 해”라며 여러 성향의 글을 접하도록 독려하셨다. 나는 책보다는 끊임없이 탐구하는 그의 문학적이고 음악적인 삶에 고무되었다. 글을 쓰고 고칠 때마다 선생님처럼 바흐의 무반주 첼로곡을 듣다 보니, 어느새 내 글쓰기 습성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에 가족상을 당했을 때는 긴 편지에 브람스의 독일진혼곡을 담아 위로해 주셔서 힘을 냈다. 이번에 주신 책 두 권을 읽을 때는 랄로-스페인 교향곡을 연속으로 들었다. 작곡가 라벨, 시벨리우스, 볼레로, 드뷔시를 다시 만나고, 음악가를 색채로 표현하는 법도 배웠다. ‘세월의 흔적’은 두 분의 ‘웅숭깊은 식견’이 유감없이 발휘된 아름다운 문학이었다. 낯선 어휘가 얼마나 많은지, 국어사전을 펼쳐야 했다. 갈마들다(서로 번갈아 들다), 녹열위상(綠熱位相·생명과 열정이 교차하는 상태), 한요하다(조용하면서도 넉넉하다)…. ‘손편지의 마음, 손편지의 멋’도 새삼 알았다. ‘편지를 쓰는 사람은 쓰기 편한 시간에 쓰고, 상대방은 상대방대로 읽기 편한 시간에 읽고, 오가는데 시간이 걸려 적당히 기다리기도 하고 기대도 할 수 있다.’ 200통에 가까운 편지의 여정이 주는 감화가 컸다. 장기간 편지를 교류할 수 있었던 이유를 짐작해보았다. 문학적 교감과 조응. 그리고 상대가 언급한 내용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실하고 진지한 해석. 두 분의 대화가 향기롭다. “꽃은 해마다 변함없이 똑같은 모습으로 피어나 기쁨을 주지만, 사람은 해가 가고 나이가 들면 달라지고 새로워지면서 웅숭깊어져서 기쁨을 주지요.” “교수님의 편지를 읽으면서 아나톨 프랑스가 한 문장에 관한 말을 상기하고 있습니다. 햇빛 같은 글, 7가지 색의 결합체인 햇빛 같은 교수님의 편지에서 감동을 체험하고 있지요.” 멋진 두 분이 ‘태산처럼 강녕(康寧)’하시기를 기원한다. 하정아 / 수필가이 아침에 손편지 마음 손편지 정순진 국문학 장기간 편지
2025.11.19. 1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