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LA 메트로 무료 서비스 연장…일부 버스 노선은 운행 중단

LA 메트로가 산불 사태가 계속되는 가운데 버스와 전철의 무료 이용 서비스를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재니스 한 LA 카운티 수퍼바이저는 “산불과 강풍으로 인한 위협이 계속되고 있다”며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메트로 전 구간에서 무료 서비스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하거나 대피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전철은 정상 운영중이지만 아직 산불로 인해 일부 버스 노선은 여전히 우회 중이거나 운행이 중단된 상태다. 180번, 217번, 690번 버스는 각각 우회 운행 중이며, 134번과 602번 버스는 산불로 인해 운행이 전면 중단됐다.   또한, 660번과 662번 버스는 워싱턴 블러바드 북쪽 구간에서 서비스가 중단됐으며, 메트로 마이크로 서비스는 패서디나, 알타데나, 시에라마드레 지역의 일부 구간(우드버리 로드, 뉴욕 드라이브, 시에라마드레 블러바드 북쪽)에서 운행이 제한되고 있다.     메트로 서비스와 관련한 최신 정보는 메트로 웹사이트(alerts.metro.net) 또는 소셜미디어(@MetroLAAlert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강한길 기자서비스 메트 무료 서비스 운행 중단 마이크로 서비스

2025.01.14. 20:30

요금 1불 메트로밴 세금낭비 vs 편의

  대중교통 취약지역에서 1달러만 내면 전용 밴(사진)을 이용할 수 있는 LA카운티 대중교통 서비스를 놓고 세금 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   LA타임스에 따르면 지난 2020년 12월 LA메트로폴리탄교통국(이하 LA메트로)이 시범운용에 나선 ‘메트로 마이크로 프로그램(Metro Micro program)’ 서비스가 이번 달 종료된다. LA메트로 이사회는 비용부담과 효율성 측면에서 해당 서비스 유지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     메트로 마이크로 서비스는 LA카운티 내 대중교통 취약지역 8곳에서 1달러만 내면 전용 밴을 이용할 수 있다. 우버나 리프트보다 턱없이 싼 가격에 애용하는 층이 많은 상황이다.     하지만 이용자가 늘수록 LA카운티의 재정 부담은 커지고 있다. 신문은 LA메트로 측이 1달러 서비스를 제공할 때마다 43달러를 부담한다고 전했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가 8~10인용 전용 밴을 사실상 자가용처럼 이용, 효율성 문제도 떠올랐다. 신문은 일주일 평균 메트로 마이크로 이용자가 350명이지만, 1회 서비스당 운영비 총액은 324달러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시범운용 3년 동안 100만 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들어간 예산은 총 3100만 달러.   지난달 LA메트로 이사회에 참석한 제니스 한 수퍼바이저는 이용자 대비 너무 많은 비용부담을 이유로 개선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 수퍼바이저는 “메트로 마이크로는 LA메트로의 돈 먹는 하마(money loser)”라고 말했다.   반면 LA메트로 운영디렉터인 코난 청은 “(메트로 마이크로는) 효율성의 문제가 아닌 사람들을 위한 보다 나은 서비스”라며 서비스 유지를 바랐다. 메트로 마이크로를 이용해본 주민들도 경제적 부담 완화, 안전확보, 편의성을 꼽으며 서비스 유지를 희망하고 있다.           한편 LA메트로 마이크로 웹사이트(micro.metro.net)는 노스샌퍼난도/밸리, 하일랜드파크/이글록/글렌데일, 엘몬테, 패서디나/알타데나, 노스할리우드/버뱅크, LAX/잉글우드, 와츠/캄튼, UCLA/웨스트우드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안내하고 있다.   해당 지역 주민은 스마트폰 앱 또는 전화로 메트로 마이크로 서비스를 예약한 뒤, 1달러만 내면 전용 밴을 타고 30스퀘어마일 이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월요일 예비 la메트로 서비스 서비스 이용자 마이크로 서비스 지난달 la메트로이사회

2023.09.18. 20:1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