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이 아침에] 김영애 작가의 마지막 편지

김영애 수필가의 장례식은 지난해 12월 열렸다. 그가 반평생을 보낸 LA의 메모리얼 가든에서다. 이역만리 머나먼 곳이어서 한달음에 달려갈 엄두가 나지 않아 영상으로만 영결식을 지켜보며 애도하는 수밖에 없었다.   기억의 필름을 되감아 보니 열네 해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어느 날 난데없는 편지 한 통이 날아들었다. “감명 깊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저는 미국에 사는 교포인데 여건이 허락한다면 선생님과 교분을 맺고 싶습니다.”     김영애 작가가 보낸 편지였다. 그가 감명 깊게 읽었다는 글이란, 모 일간지에 쓴 나의 칼럼 ‘사랑은 있어도 사랑이 없다’를 두고 하는 이야기였다.     김 작가와의 인연은 이렇게 시작되어 시나브로 깊어졌다. 그 세월 동안 김 작가의 글솜씨는 일취월장이었다. ‘수필세계’ 신인상을 시작으로 경희해외동포문학상, 무원문학상 등 여러 상을 받으면서 재미수필가들 가운데 단연 돋보이는 성취를 보여주었다. 김 작가의 기쁨은 나의 기쁨이었고, 김 작가의 자부심은 나의 자부심이었다.   그렇게 인연이 깊어지던 2019년 봄, 김 작가로부터 우리 부부를 LA로 한번 초청하고 싶다는 편지가 왔다. 처음엔 정중히 사양의 뜻을 밝혔다. 공연히 폐를 끼칠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였다.     그로부터 4년이 흐른 지지난해 여름 다시 편지가 날아들었다. 몸이 너무 안 좋아 이번 만남이 이승에서의 마지막 해후가 될지 모른다는 것을 암시하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결국 초청에 응하기로 한 건 ‘마지막 해후’란 표현이 마음을 흔들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봄, 나는 마침내 LA 땅을 밟았고 김 작가와 해후했다. 편지에 쓰인 것과는 달리 얼굴은 생각만큼 크게 축나 보이진 않았다. 내심 안도의 한숨이 쉬어지면서 마음속에 드리워졌던 염려의 그림자도 금세 걷혔다.   김 작가는 우리가 LA에 머무는 동안 관광지 여행을 다닌 날들 빼고는 숙소를 따로 정하지 않고 자신의 보금자리에서 함께 지내도록 배려해 주었다. 요즘처럼 개인주의, 이기주의가 팽배해 일가친척조차 집에 들이길 꺼리는 세상에서 며칠간이나 함께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던가. 그 배려심에 나도, 아내도 감동했다.   귀국하는 날 탑승 수속을 마친 뒤 헤어지는 아쉬움에 한참 동안 서로 말이 없었다. 마침내 헤어질 시간이 왔다. 나는 김 작가의 손을 부여잡고 어쨌든지 건강 잘 챙기라며 신신당부했다. 대합실을 빠져나오면서 김 작가 부부의 모습이 시야에서 멀어질 때까지 자꾸 뒤를 돌아다보았다.   귀국하여 반년 남짓 시간이 흐른 어느 날, 이메일이 날아왔다. “이 편지는 아마도 교수님과 저와의 마지막 사연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그동안 교수님과 문학적으로 교류를 할 수 있어서 참으로 영광이었습니다. 혹시 제게 무슨 일이 있더라도 자책은 말아 주십시오.”     ‘마지막 사연’이란 구절이 마음에 걸려 줄곧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아니나 다를까, 김 작가가 끝내 우리 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게 된 건 편지가 오고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서였다. 순간 너무나 허망해져서 멍하니 허공만 바라보았다. 우리가 그동안 주고받은 수많은 편지의 구절이 파노라마처럼 스치며 지나갔다. 영원한 이별이 이다지 서둘러 찾아올 줄 미처 몰랐다. 나는 태평양 바다 건너를 향해 손을 모으고 김 작가의 왕생극락을 빌고 빌었다.   이역만리로 맺어진 인연의 꽃은 이렇게 피었다 졌다. 김 작가와 이승에서의 인연은 여기까지였나 보다. 하지만 내 마음속 인연의 꽃은 이 세상 하직하는 날까지 영원히 피어있을 것임을 믿는다. 곽흥렬 / 수필가이 아침에 김영애 편지 마지막 편지 김영애 수필가 마음속 인연

2025.07.23. 19:58

썸네일

[이 아침에] 리사에게, 다시 행복하기로 약속할게

돌아오기 위해 길을 떠난다. 돌아올 마음이 없다면 애초에 떠나지 않았을 것이다. 사는 것이 힘들 때, 고독의 그림자가 발목을 잡을 때. 주름진 생의 고비마다 떠나고 싶었다. 피하고 싶었다. 허무와 방랑의 끝자락에서 그래도 돌아가야 할, 지켜내야 할 무엇이 있다는 것은 얼마나 슬픈 행복인가.   리사가 마지막 내게 남긴 편지 접어 가방에 넣고 여행길에 오른다. 리사는 이제 영원히 돌아오지 못할 길을 갔다.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라서 믿기 어렵지만 리사가 내 곁에 없다는 사실은 태양이 지고 뜨는 것처럼 확실하게 아프다.     리사는 장애아로 태어났지만 순수하고 착한 천사였다. 퍼즐과 레고 게임 천재고 유머가 가득한 멘트로 가족들과 이웃들의 사랑을 받았다. 리사는 글쓰기를 좋아한다. 탈없이 건강하던 리사가 응급실에 실려가기 5일 전에 쓴 편지다.     ‘엄마는 행복할 자격이 있어요. 엄마는 매우 특별한 사람입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모두가 당신을 사랑합니다. 고마워요. 리사가(Mom you deserve to be happy. You are a very special person. Be happy all the time. Everybody loves you. You deserve happiness always. Thank you, Lisa.).’   또박또박 눌러쓴 편지가 너무 기특해서 냉장고 문에 붙여 놓았더니 리사는 햇살처럼 밝은 미소로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그것이 리사가 내게 남긴 마지막 편지가 됐다. 나를 두고 홀로 떠나는 자신의 죽음을 리사는 감지하고 있었을까.     인생의 길은 수만 갈래다. 여러 갈래로 흩어져 있어 가야할 길이 어딘지 알지 못한다. 꿈꾸고 염원하는 길은 나타나지 않았다. 내가 꿈꾸던 길은 어쩌면 존재하지 않는 허상이었는지 모른다.   어릴 적 연날리기 할 때 연실을 한없이 풀어내야 하는데 기술 부족으로 내 연은 잘 끊어 먹히거나 땅바닥에 내 동대기 치기 예사였다. 그래도 찔레꽃 넝쿨 앞에 앉아 어질어질 피어오르는 아지랑이에 취해 졸음을 참던 순간은 따스하고 행복했다. 사는 것이 힘들어도 살면 살아진다. 청춘은 늙지 않는다. 길 위에서 길을 찾는 바보짓이라도 하늘 끝까지 치솟는 연 따라 창공을 나르고 아지랑이 품에 안고 사랑하는 날들은 감미로웠다.   진시황제는 불로장생을 위해 불로초에 집착했지만 다섯 번째 천하 순행 때 길 위에서 49세로 죽는다. 절인 생선을 마차에 실어 그의 죽음을 은폐했는데 시황제의 최후는 냄새 나는 생선과 함께 썩어갔다.   무엇을 위하여, 무엇을 얻으려고 살아왔던가. 사랑에 대한 갈망, 지식에 대한 탐구, 인간에 대한 연민, 삶에 대한 열정과 노력, 나는 그냥 살아왔을 뿐이다, 쓰러지지 않으려고 뚜벅뚜벅 걸어왔다.     ‘천국에 사는 사람들은 지옥을 생각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우리 다섯 식구는 지옥에 살면서 천국을 생각했다. 단 하루라도 천국을 생각해보지 않은 날이 없다.’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중에서.  리사의 마지막날들을 사랑으로 지켜준 딸과 아들에게 감사 이메일을 보낸다. 리사를 보내고 힘들었던 시간을 내려놓고 리사가 남긴 편지의 약속처럼 살기로 한다.     ‘저는 이번 생애에서 고통과 괴로움을 뒤로하고 새롭게 시작할 거에요(I am going to leave the pain and suffering behind on this trip and start anew).’   길 위에서 다시 행복하기로 했다.  이기희 / Q7 Editions 대표이 아침에 행복 약속 마지막 편지 everybody loves special person

2025.03.25. 19:39

썸네일

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행복 찿아 떠나는 길섶에서

돌아오기 위해 길을 떠난다. 돌아올 마음이 없다면 애초에 떠나지 않았을 것이다.사는 것이 힘들 때, 고독의 그림자가 발목을 잡을 때. 주름진 생의 고비마다 떠나고 싶었다. 피하고 싶었다. 허무와 방랑의 끝자락에서 그래도 돌아가야할,지켜내야할 무엇이 있다는 것은 얼마나 슬픈 행복인가.   리사가 마지막 내게 남긴 편지 접어 가방에 넣고 여행길에 오른다. 리사는 이제영원히 돌아오지 못할 길을 갔다.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라서 믿기 어렵지만리사가 내 곁에 없다는 사실은 태양이 지고 뜨는 것처럼 확실하게 아프다.   리사는 장애아로 태어났지만 순수하고 착한 천사였다. 퍼즐과 레고 게임 천재고유머가 가득한 멘트로 가족들과 이웃들의 사랑을 받았다. 리사는 글쓰기를 좋아한다. 탈없이 건강하던 리사가 응급실에 실려가기 5일 전에 쓴 편지다.     ‘Mom you deserve to be happy. You are a very special person. Be happy allthe time. Everybody loves you. You deserve happiness always. Thank you,Lisa. (마미는 행복할 자격이 있습니다. 당신은 매우 특별한 사람입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모두가 당신을 사랑합니다. 고맙습니다. -리사)     또박 또박 눌러쓴 편지가 너무 기특해서 냉장고 문에 붙여 놓았더니 리사는 햇살처럼 밝은 미소로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그것이 리사가 내게 남긴 마지막 편지가 됐다.   나를 두고 홀로 떠나는 자신의 죽음을 리사는 감지하고 있었을까.   인생의 길은 수만 갈래다. 여러갈래로 흩어져 있어 가야할 길이 어딘지 알지못한다. 꿈꾸고 염원하는 길은 나타나지 않았다. 내가 꿈꾸던 길은 어쩌면 존재하지 않는 허상이었는지 모른다.   어릴 적 연날리기 할 때 연실을 한없이 풀어내야 하는데 기술 부족으로 내 연은 잘 끊어 먹히거나 땅바닥에 내동댕이 치기 예사였다. 그래도 찔레꽃 넝쿨 앞에 앉아 어질어질 피어오르는 아지랑이에 취해 졸음을 참던 순간은 따스하고 행복했다.   사는 것이 힘들어도 살면 살아진다. 청춘은 늙지 않는다. 길위에서 길을 찿는 바보짓이라도 하늘 끝까지 치솟는 연 따라 창공을 나르고 아지랑이 품에 안고 사랑하는 날들은 감미로웠다.   진시황제는 불로장생을 위해 불로초에 집착 했지만 다섯 번째 천하 순행 때 길위에서 49세로 죽는다. 절인 생선을 마차에 실어 그의 죽음을 은폐했는데 진시황제의 최후는 냄새나는 생선과 함께 썩어갔다 .     무엇을 위하여, 무엇을 얻기위해 살아왔던가. 사랑에 대한 갈망, 지식에 대한 탐구, 인간에 대한 연민, 삶에 대한 열정과 노력, 나는 그냥 살아왔을 뿐이다. 쓰러지지 않으려고 뚜벅뚜벅 걸어왔다.   ‘천국에 사는 사람들은 지옥을 생각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우리 다섯 식구는지옥에 살면서 천국을 생각했다. 단 하루라도 천국을 생각해보지 않은 날이없다.’-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중에서.   리사의 마지막날들을 사랑으로 지켜준 딸과 아들에게 감사 이메일을 보낸다. 리사를 보내고 힘들었던 시간들을 내려 놓고 리사가 남긴 편지의 약속처럼 살기로 한다. ‘I am going to leave the pain and suffering behind on this tripand start anew.’ 길 위에서 다시 행복하기로 했다. (Q7 Editions 대표)     이기희이기희 하늘 마지막 편지 everybody loves special person

2025.03.04. 13:02

썸네일

[이 아침에] 마지막 편지

혹시 유서를 써 본 적이 있으신지요. 아는 분의 부음을 전해 듣고 불현듯 어김없이 다가올 내 생의 마지막 날을 생각해보았습니다. 그래서 조금은 엉뚱한 유서 얘기를 묻게 됐습니다.   저는 유서를 써 본 경험이 있습니다. 오래전, 2박 3일 일정으로 부부가 함께 성당에서 주관하는 피정에 참석했습니다. 둘째 날 저녁이었습니다. 진행자가 내일 아침까지 완성해 오라면서 ‘당신은 내일 죽게 됩니다. 배우자에게 유서를 쓰십시오’ 라는 주제를 벽에 걸었습니다. 순간 가슴이 철렁했습니다. 아, 죽음이란 예고 없이 찾아오는 것이구나. 어느 날 이렇게 갑자기 떠나가야 하는 게 인생이구나. 산다는 것은 무엇이고 죽는다는 것은 또 무엇인가. 방에 돌아와 깊은 생각에 잠겼습니다.     어둠이 깊어지고, 시간이 흘러갈수록 정말로 내일 죽음이 찾아올 것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가정이 아닌 사실이라고 생각하니, 시시각각 다가오는 죽음 앞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갈피를 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진정하려고 해도 마음뿐이었습니다. 내가 죽다니. 아직 할 일이 많은데 이렇게 죽어야 한다니. 살아온 날들이 한 장면씩 되살아나고 최선을 다해 살아오지 못한 많은 날이 참으로 후회가 되었습니다.    나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내가 미워했던 이들까지도 회개하고 용서하는 마음을 담아 마지막 편지를 썼습니다. 죽음이 임박하니 순간순간이 절박하고 간절했습니다. 일분일초가 아까웠습니다. 누구를 미워하거나 원망할 틈이 없었습니다. 보이는 모든 것이 아름다웠습니다.     갑자기 눈앞이 흐려왔습니다. 한없이, 끝도 갓도 없이 눈물이 쏟아졌습니다. 얼마나 울었을까. 다시 곰곰 생각해보니, 내일은 내가 죽을 날이 아니었습니다. 아, 나에게 아직 생명이 남아있다니. 감사합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새벽에 눈을 떠보니 곁에 아내가 잠들어있었습니다. 눈 뜨면 사랑하는 사람의 얼굴을 볼 수 있다는 것이 행복인 것을 그때 알았습니다. 창문을 열고 밖을 내다보니 나뭇잎이 바람결에 한들거리고, 여명이 가만가만 온 누리에 번지고 있었습니다. 반짝이는 별을 바라보면서 새벽 공기를 한껏 들이마셨습니다.   피정을 끝내고 나니, 모든 게 귀하게 다가왔습니다. 아내도, 아이들도. 친구도, 이웃도, 모두  새롭게 보였습니다. 나무도, 풀도, 나는 새도, 다 사랑스러웠습니다. 그것들을 얼싸안고 뺨에 비비고 사랑하면서 하루하루를 살아가자고 다짐했습니다. 적어도 피정을 끝내고 돌아온 한동안은 그런 마음으로 살았습니다. 세월이 지나면서 점차 무디어지더니, 시나브로 그때의 감정이 메말라갔습니다.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그 길을 누가 거절할 수 있겠습니까. 마음대로 올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갈 때도 순서 없이 떠나야 합니다. 언제 세상을 떠야 할지 아무도 모릅니다. 당신도 나도 말 한마디 못하고 허둥지둥 가야 할지 또 누가 알겠습니까. 하고 싶은 말이 있으시나요, 늦지 않게 지금, 마지막 편지 한장을 써 보시면 어떨까요. 정찬열 / 시인이 아침에 편지 마지막 편지 유서 얘기 새벽 공기

2024.03.27. 18:4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