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닛산 세단·SUV 44만여대 리콜…엔진 베어링 제조 결함

닛산이 엔진 결함으로 인해 약 44만3900대의 차량을 리콜한다.     리콜 대상은 2021~2024년형 닛산 로그, 2019~2020년형 알티마, 2019~2022년형 인피니티 QX50, 2022년형 QX55로, 1.5리터 3기통 또는 2.0리터 4기통 가변 압축 터보 엔진이 장착된 차량이다.   전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해당 차들의 엔진 베어링에 제조 결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엔진 손상과 작동 불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엔진에서 이상 소음이 발생하거나 계기판 경고등이 켜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캐나다에서도 동일한 문제로 3만7800여 대가 리콜된다. 닛산은 내달 22일부터 리콜 대상 고객에게 안내문을 발송할 예정이며, 점검과 수리는 모두 무상으로 진행된다.   점검 결과에 따라 엔진 오일과 부품 교체, 엔진 제어 모듈 재프로그래밍 등이 이뤄지며, 금속 이물질이 발견되면 엔진 전체를 교체하게 된다. 조원희 기자만여대 베어링 엔진 베어링 엔진 결함 44만여대 리콜

2025.07.07. 18:23

썸네일

테슬라 69만여대 리콜…타이어 경고등 미작동

테슬라가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문제로 약 70만 대의 차량을 리콜한다.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2024년형 사이버트럭, 2017~2025년형 모델 3, 2020~2025년형 모델 Y 차량 총 69만4000대를 대상으로 리콜을 결정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NHTSA에 따르면 리콜 차량은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도 경고등이 켜지지 않을 가능성이 보고됐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주행 중 낮은 타이어 공기압으로 운전하면서 사고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테슬라는 문제 해결을 위해 무료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리콜 대상 차량 소유자들에게는 2025년 2월 15일부터 안내 서한이 발송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리콜은 올해 테슬라 사이버트럭과 관련해 발생한 7번째 리콜이다. 지난달에는 구동 인버터 결함으로 인해 구동력 손실 가능성이 제기돼 약 2400대의 사이버트럭이 리콜된 바 있다.   또 지난 7월에 테슬라는 모델 S, X, 3, Y 차량에서 보닛이 의도치 않게 열리는 문제가 보고돼 180만 대 이상을 리콜하기도 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테슬라 만여대 타이어 경고등 테슬라 69만여대 타이어 공기압

2024.12.22. 19:00

도요타, 라브포 180만여대 리콜-화재 위험

    도요타 자동차는 1일 180만여대의 '라브포(RAV4)' 차량을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도요타 측은 구체적으로 2013~2018년 사이에 제작된 특정 차량이 해당된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리콜 이유에 대해 건전지 교체 시 화재 발생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건전지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급회전시 흔들리면서 발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일부 12볼트 건전지의 경우 해당 차량에 맞는 크기보다 조금 작아 차가 급격하게 방향을 전환할 때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요타 측은 12월 중으로 리콜 대상 차량 소유주에게 통보할 계획이다.  디지털본부 뉴스랩도요타 만여대 180만여대 리콜 도요타 자동차 리콜 이유

2023.11.02. 11:30

썸네일

[자동차 리콜 2제] 테슬라 30만대 후미등 이상 · ‘니로’ 2만여대 화재 위험

  ━   테슬라 30만대 후미등 이상       전기자동차 제조업체 테슬라가 후미등 오작동으로 30만대 이상 리콜한다.   AFP 통신이 테슬라가 연방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제출한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2023년형 모델3와 2020∼2023년형 모델Y에서 소프트웨어 문제로 후미등이 간헐적으로 켜지는 오작동이 발생했다. 리콜 대상 차량은 총 32만1000대다.     테슬라는 이번 리콜과 관련해 차량 충돌이나 운전자 부상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테슬라는 10월 말 해외 시장에서 후미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고객 불만이 접수됐고, 소프트웨어 문제점을 확인함에 따라 리콜을 한다고 설명했다.   후미등 오작동과 관련해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의 리콜 여부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테슬라는 올해 들어 국내에서만 370만대 이상 차량을 대상으로 19건 리콜을 시행했다.     ━   ‘니로’ 2만여대 화재 위험       기아가 화재 위험으로 리콜됐던 차량의 추가 수리를 위해 재리콜을 단행했다.     컨수머리포트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 2018년 화재 위험으로 리콜됐던 니로 하이브리드 모델(사진)이 딜러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 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2017~2018년형 2만7000대 이상을 추가 리콜했다.   이에 따라 2018년 리콜 수리를 완료한 경우라도 딜러를 방문해 추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기아는 1차 리콜 수리가 완료된 차량에서 다시 화재가 발생했다는 보고가 접수됨에 따라 조사에 착수했으며 일부 케이스가 딜러에서 수리 완료로 처리됐음에도 실제로는 수리가 이뤄지지 않은 것을 발견해 냈다.   NHTSA가 접수한 서류에 따르면 기아는 이번 리콜과 관련해 5건의 경미한 화재가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들 차량에서 2018년 교체됐어야 하는 불량 부품이 그대로 남아있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지금까지 사고나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아는 딜러에 리콜 수리 완료 후 사진을 찍어 제출하도록 지시했으며 내년 1월 9일부터 해당 차량 소유주들에게 리콜 통보를 하게 된다.   올해 초 현대차도 일부 딜러가 리콜 수리를 하지 않고서 현대측에 비용 청구를 했다며 2017~2018년형 아이오닉 하이브리드를 리콜한 바 있다.   리콜 여부는 전화(800-333-4542)나 웹사이트(www.nhtsa.gov/recalls)에서 차량고유번호(Vin No.)로 확인할 수 있다.     박낙희 기자자동차 리콜 2제 테슬라 만여대 2만여대 화재 리콜 수리 소프트웨어 문제점

2022.11.21. 18:47

썸네일

테슬라 모델 S·X 4만여대 리콜

테슬라가 파워스티어링 이슈로 2017~2020년 사이에 생산된 모델 S와 모델 X 4만168대를 리콜했다.   테슬라에 따르면 스티어링휠이 좌우로 돌아갈 수 있는 노면이 고르지 못한 도로나 포트홀(Pot Hole) 위를 주행할 경우 차량 컴퓨터가 ‘예기치 못한 스티어링 보조 토크(unexpected steering assist torque)’로 감지해 파워스티어링 지원을 줄이거나 멈추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파워스티어링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며 특히 저속에서 스티어링휠을 조작하는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런 현상이 지난 9월 실시한 자체 펌웨어 업데이트 후 발생했다.   테슬라는 이번 리콜과 관련해 지난 1일까지 314건의 보고가 접수됐으며 사고나 인명피해는 없다고 밝혔다.   해당 차량 소유주들에게는 12월 31일 서면 통지가 될 예정이며 새로운 펌웨어 업데이트가 OTA(Over the air)로 진행된다.   리콜 여부는 웹사이트(www.nhtsa.gov/recalls)에서 차량 고유번호(VIN)로 확인할 수 있다.  박낙희 기자테슬라 만여대 테슬라 모델 4만여대 리콜 이번 리콜

2022.11.13. 18: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