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남과 북은 군사적 적대 행위의 전면 중지에 합의했다.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라는 희망을 갖고 판문점 선언을 발표했다. 꿈과 비전은 우리에게 분명 희망을 가져다준다. 그러나 아무리 화려한 꿈과 비전이 있다 하더라도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오직 환상일 뿐이요, 더 나아가 망상일 뿐이다. 누구나 원대한 꿈을 가지고 살아간다. 그러나 버릴 꿈이 있고 붙들어야 할 꿈이 있다. 꿈을 이루기 위래서는 현명한 지혜와 예리한 판단이 필요하지 않겠는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을 투옥했던 당시 조선 집권 세력과 같은 판단력으로는 희망의 꿈을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리라 생각한다. 평화의 꿈, 통일의 꿈…. 말만 들어도 마음에 평화가 다가오는 느낌이다. 하지만 북한의 핵 개발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고 국제사회에도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한국은 물론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북핵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별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2018년의 9.19 남북 군사합의가 군사적 긴장 해소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 9.19 군사합의로 모두가 평화의 꿈을 갖게 된다면 모두가 환영할 만 일이다. 하지만 여러 차례에 걸친 북한의 도발 행위 등 합의 위반 사례를 볼 때 상호 간 적대 행위를 전면 중지하겠다는 합의 이행은 지켜지지 않을 것 같다. 평화의 꿈은 애석하게도 환상으로 바뀌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이 들 뿐이다. 9·19 합의 당시 비행금지 구역 설정 문제 등 북한의 얄팍한 속임수도 문제였다. 북한이 진정으로 평화를 원했다면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북한은 여러 차례의 도발 행위로 약속을 어겼고 희망의 꿈은 망상으로 전락하지 않았나 싶다. 이행되지 않는 군사합의는 무용지물일 뿐이다. 아직도 한국의 9·19 군사합의를 두고 ‘희망의 꿈’이니 ‘환상’이니 갑론을박을 하는 모양이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상대방을 알 만큼 알았건만 자기주장만 내세운다. 이제 정답을 찾아야 할 때가 되지 않았나. 현명한 정치인들이라면 여·야를 초월하여 정상적인 가치관을 바탕으로 행동해야 한다. 이기적인 욕망을 버리고 마음을 모아보자. 국가의 안보와 국민의 안전을 위해 현실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된다. 백인호 / ROTC 1기 예비역 소위발언대 환상 망상 북핵 문제 남북 군사합의 합의 이행
2023.10.02. 19:15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배우 박상원(사진)의 첫 번째 해외 개인전이 LA에서 열린다. EK 갤러리(관장 유니스 김)는 서울예술대학교 후원으로 박상원 작가의 첫 번째 해외 초대전 ‘모놀로그, 섀도우, 씬(a monologue, a shadow and a scene)’을 다음 달 8일부터 29일까지 한 달 동안 개최한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공연학부 교수로 재직중인 박상원 작가는 2008년 서울 관훈갤러리에서 열린 첫 번째 전시회 ‘모놀로그’를 시작으로 6회 개인전을 개최했고 한국과 해외에서 열린 다수의 아트페어 및 그룹전에 참여하며 사진작가로서의 필모그래피를 쌓아왔다. 작품에는 사진작가로서 뷰파인더를 통해 본 일상 풍경이 가득하고 모든 감각의 표현이 절제되고 일시적으로 정지된 순간의 한 장면을 담아냈다. 박작가는 작가노트에서 “찡그린 눈으로 파인더 속에서 그려낸 것들은 여백을 가진 일시적인 순간의 모습이기보다 소리를 포함한 모든 감각의 표현들이 절제된 어느 장면의 일시 정지 상태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또 “배우라 그런지 그 일시 정지 상태 앞에 존재하는 작가의 의도(studium), 관객의 상상(punctum) 그리고 또 다른 화학적 반응을 상상하며 설레는 마음으로 작업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초대전에서는 첫 번째 사진전 ‘모놀로그’, 두 번째 사진전 ‘섀도우', 세 번째 사진전 '씬'에서 선보인 작가의 주요 작품과 신작 60점이 선보여질 예정이다. 박상원 작가는 서울예술대학 연극과 학사,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비주얼 저널리즘 석사를 졸업하고,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디지털 이미지 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첫 번째 전시회 '모놀로그'를 시작으로 6회 개인전을 개최했고 '2009 국제문화플러스', '2012 서울오픈아트페어 초대전', '2022 대한민국사진축전 초대전', 덴마크에서 개최한 '2009 UN 기후변화협약(COP15) 초대전' 등 아트페어 및 그룹전에 참여했다. 2009년 서울과 도쿄에서 열린 '2009 국제문화플러스'에서 삭일회상을 수상했다. EK갤러리 유니스 김 관장은 “배우로서 뿐만 아니라 사진작가로서도 좋은 작품을 선보이는 박상원 작가의 팬들이 LA에 많다”며 “이번 초대전을 통해 아티스트로서 박상원 작가와 만나고 작품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토크쇼 행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박상원 작가 초대전 오프닝 리셉션은 다음 달 8일 오후 6시부터 열리며 작품 관람과 함께 토크쇼, 사인회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주소: 1125 S. Crenshaw Blvd. LA ▶문의: (323)272-3399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연기 망상 서울오픈아트페어 초대전 서울예술대학교 후원 해외 초대전
2023.03.19. 1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