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메트로노스 펜스테이션 연장 프로젝트 3년 지연 전망

메트로노스 열차 노선을 맨해튼 펜스테이션까지 연장하는 ‘메트로노스 펜스테이션 액세스(Penn Station Access)’ 프로젝트가 당초 계획보다 3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는 27일 열린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2030년 2분기 완공을 목표로 일정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총 29억 달러가 투입되는 이 사업은 브롱스 지역에 4개의 신규역을 신설하고, 기존 헬게이트 노선(Hell Gate Line)을 활용해 메트로노스 열차를 펜스테이션까지 운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완공 시 브롱스 주민 약 50만 명이 최대 50분 단축된 통근 시간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연의 주요 원인은 암트랙의 협조 부족이다.     암트랙은 해당 구간의 선로를 소유하고 있으며, MTA가 공사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주말 선로 차단(outage)을 충분히 제공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MTA는 착공 첫 2년간 48회의 차단을 요청했으나, 실제 제공된 횟수는 7회에 불과했다.     또한 암트랙 측 인력이 현장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도 빈번했다고 MTA 건설개발국장 제이미 토레스-스프링거는 밝혔다.   MTA는 암트랙과의 협력이 원활히 이뤄질 경우, 2027년까지 전체 열차의 50% 수준인 31편의 열차를 임시역 3곳에서 운행하는 부분 개통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암트랙은 현재까지 1억40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했으며, “프로젝트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조속한 완공을 위해 MTA와 협력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서만교 기자 [email protected]메트로노스 펜스테이션 메트로노스 펜스테이션 메트로노스 열차 맨해튼 펜스테이션

2025.10.28. 21:14

메트로노스, 뉴욕시-올바니 노선 운행

뉴욕주가 뉴욕시와 올바니를 잇는 철도 노선을 확대하며 지역 간 이동 편의성을 대폭 강화한다.   21일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메트로노스와 암트랙이 협력해 뉴욕시-올바니 구간 열차 운행을 복원하고 신규 서비스를 개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구간은 이스트리버 터널 수리 공사로 암트랙 운행이 줄어들며 일부 왕복편이 임시 중단된 상태다. 그 결과 좌석 부족과 요금 상승이 이어지자, 주정부가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암트랙은 오는 12월 1일부터 중단됐던 왕복 노선 중 하나를 복원하고, 요금 인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일반석 요금을 최대 99달러로 제한한다.     또 메트로노스는 내년 봄부터 그랜드센트럴 터미널과 올바니를 오가는 새로운 1일 1왕복 노선을 운행할 예정이다. 이번 노선은 메트로노스가 처음으로 올바니까지 운행하는 장거리 서비스가 될 전망이다.   이번 조치는 허드슨강을 따라 이어진 ‘엠파이어 서비스(Empire Service)’ 노선 개선의 일환으로, 연간 200만 명이 이용하는 해당 구간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메트로노스 노선 메트로노스 뉴욕시 1왕복 노선 노선 운행

2025.10.21. 20:43

내달 6일부터 메트로노스 ‘슈퍼익스프레스’ 운행

내달 6일부터 메트로노스에 ‘슈퍼익스프레스’ 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한다.     퍼킵시와 그랜드센트럴 사이를 운행하는 해당 열차는 두 종점 사이를 90분 안에 주행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열차 대비 최대 20분 단축된 시간이다.   총 6개 열차가 ‘슈퍼익스프레스’로 운행되며, 주중 출퇴근 시간대 중심적으로 편성될 예정이다.     ‘슈퍼익스프레스’가 기존 열차보다 빠른 이유는 ▶정차역 간소화 ▶신호 시스템 개선 ▶데이터 기반 운영 최적화 ▶신형 열차 투입 등 때문이다.   퍼킵시~그랜드센트럴 구간에서 기존 열차는 10개 이상 역에 정차하지만, 슈퍼익스프레스는 ▶뉴햄버그(New Hamburg) ▶비컨(Beacon) ▶할렘-125스트리트 등 3~4개 핵심 역에만 정차한다.   또 메트로노스의 신호 인프라 개선으로 열차가 속도를 높여도 안전하게 운행 가능해졌으며, 기존 속도 제한 구간의 영향이 줄었다. 뿐만 아니라 GPS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열차 경로를 최적화하고, 출발·도착 시간을 미세하게 조정해 정시성과 속도를 모두 개선한다.     이번에 새로 투입된 디젤·전기 기관차는 기존 열차보다 가속력과 최고 속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빠른 운행이 가능할 전망이다.   또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올해 라이더스컵 기간 동안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열차 추가 운행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라이더스컵 기간인 23일부터 28일까지 파밍데일역을 지나는 LIRR 열차가 하루 최대 9편 추가될 예정이다. 호컬 주지사는 “경기가 열리는 베스페이지 블랙 코스를 방문할 때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바란다”며 “LIRR을 타고 파밍데일역에서 내려 셔틀버스를 탑승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윤지혜 기자슈퍼익스프레스 메트로노스 내달 6일 열차 추가 정차역 간소화

2025.09.23. 20:45

커네티컷 메트로노스 요금 10% 인상 전망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커네티컷 지역을 지나는 메트로노스 열차 요금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주 승객과의 요금 형평성을 맞추기 위한 조치로, 인상안이 확정되면 뉴헤이븐선 요금은 오는 9월 1일과 내년 7월 1일 각각 5%씩 인상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커네티컷주 그리니치-뉴욕 맨해튼 구간 월 정기권은 280달러에서 294달러75센트로, 커네티컷주 워터버리-맨해튼 구간은 424달러75센트에서 449달러25센트로 인상된다.   한편 MTA는 "지난해 무임승차로 인해 약 7억 달러 손실을 입었다"며 "올해 무임승차율이 약간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메트로노스 커네티컷 커네티컷 메트로노스 커네티컷 지역 메트로노스 열차

2025.07.29. 20:54

메트로노스 대규모 투자 추진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메트로노스 허드슨 노선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제안했다. 뉴욕시와 퍼킵시를 잇는 메트로노스 익스프레스 라인을 만들고, 해당 구간을 90분만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뉴욕시 외곽 지역에서 뉴욕시로 통근하는 사람들이 더 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뉴욕시 경제 성장을 강화한다는 취지다. 2026년 월드컵을 앞두고 메트로노스나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인프라를 개선하겠다는 목표도 담긴 계획이다.     호컬 주지사는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예산을 적절히 분배해 메트로노스 허드슨라인과 LIRR 인프라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메트로노스 할렘라인에는 세 번째 선로를 추가하고, 허드슨라인 서비스를 펜스테이션에 연결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현재는 허드슨라인이 그랜드센트럴역에만 연결돼 있기 때문에 뉴욕시 북부에서 맨해튼 서쪽으로 출근하는 이들은 다시 그랜드센트럴역에서 한참을 걷거나 다시 동서를 횡단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주정부는 티켓, 페리 및 주차 인센티브를 제공해 메트로노스를 타고 뉴욕시 북부에 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시범 프로그램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김은별 기자메트로노스 대규모 메트로노스 허드슨라인 메트로노스 대규모 메트로노스 할렘라인

2025.01.06. 21:30

MTA, LIRR·메트로노스 겨울 할인 프로그램 시행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메트로노스 겨울 할인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27일 MTA는 “내년 1월 4일부터 3월 30일까지 LIRR과 메트로노스 월간 승차권 소지자는 1달러만 추가로 지불하면 가족 및 친구와 동반 탑승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해당 할인 프로그램은 주말에만 적용되며, 월간 승차권 소지자의 가족 및 친구는 해당 기간 편도 1인당 각각 1달러씩 지불하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추가 여행객은 최대 2명까지만 할인된 가격에 열차 탑승이 가능하다.     프로모션 1달러 티켓은 ‘트레인타임(TrainTime)’ 앱에서 ‘패밀리 페어스(Family Fares)’를 선택해 구입 가능하며, 열차 내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   이 할인 프로그램은 맨해튼 60스트리트 남단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시행이 내년 1월 5일 시작됨에 따라, MTA가 주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하기 위해 시행하는 조치다.   윤지혜 기자메트로노스 프로그램 프로그램 시행 할인 프로그램 메트로노스 겨울

2024.12.29. 17:15

LIRR·메트로노스 요금 할인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와 메트로노스 등 뉴욕일원 통근열차들의 요금이 10% 할인될 전망이다.   재노 리버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회장은 29일 NY1 방송에 출연해 LIRR과 메트로노스를 이용하는 통근객을 위해 1년간 요금을 10% 할인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LIRR은 최대 22달러, 메트로노스는 최대 19달러75센트까지 할인된다. 예를 들어 퀸즈 자메이카~ 맨해튼 펜스테이션간 LIRR 월패스 요금은 현재 220달러지만, 198달러로 인하된다. 맨해튼 그랜드센트럴~브롱스양키스타디움간 월패스 요금은 199달러75센트에서 180달러로 낮아진다.   리버 회장은 “교통혼잡료 시행이 가까워지면서 예산을 활용할 방법을 찾고 있다”며 “브롱스, 자메이카, 베이사이드 등에서 맨해튼으로 통근하는 뉴욕시민을 위해 추가 할인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리버 회장은 최근 MTA가 통행료 회피 단속을 강화하며 추가 수익이 기대된다고도 밝혔다.   이같은 내용은 30일 MTA 이사회에서 의결될 전망이다. NY1은 오는 7월 1일부터 1년간 지속될 확률이 높으며, 영구 할인에 대해선 이사회의 결정에 달렸다고 내다봤다.   MTA는 6월 30일부터교통혼잡료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하은 기자메트로노스 할인 메트로노스 요금 추가 할인 영구 할인

2024.04.29. 19:56

LIRR·메트로노스 음주 단속 강화

이번 주말 뉴욕시에 '산타콘' 행사가 돌아옴에 따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LIRR·메트로노스 열차에서 음주 단속을 강화한다.   매년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열리는 '산타콘'은 1년에 한 번 산타클로스 복장으로 술집을 순회하면서 술을 마시는 행사다.     이에 따라 MTA는 9일 오전 4시부터 10일 정오까지 LIRR·메트로노스 열차 및 플랫폼에서 주류 소비를 전면 금지한다.     MTA는 "모든 이들이 안전하고 질서 있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최우선 과제"라며, "모두가 제 시간에 순조롭게 목적지에 도착해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MTA 경찰은 주말 음주 단속을 강화하기 위해 ▶펜스테이션 ▶그랜드센트럴터미널 등에 인력을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단속 기간에 LIRR·메트로노스 열차에서 음주를 하다 걸릴 경우 주류 압수 후 소환장이 발부되며, 열차 및 플랫폼에서 쫓겨날 수 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메트로노스 음주 메트로노스 음주 음주 단속 메트로노스 열차

2023.12.04. 17:46

LIRR·메트로노스, OMNY 도입 늦어진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의 새로운 터치형 결제 시스템인 옴니(OMNY)의 확장이 인력 부족과 재정난을 이유로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옴니 시스템의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와 메트로노스(Metro-North) 및 교외 버스 시스템 확장 시기는 불분명해졌다.     MTA 제이미 토레스-스프링거 회장은 최근 열린 이사회에서 "MTA 내부적으로 옴니 프로젝트에 필요한 인력을 배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며 "에어 트레인(Air Train), 일부 교외 버스 노선, 루스벨트아일랜드 트램과 같은 계열사와 파트너에게 신속한 프로그램 설치를 지원하지 못해서 유감스럽다"는 입장을 전했다.     최근 MTA는 2026년까지 현재의 발권 시스템인 트레인타임(TrainTime)을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자금을 승인하고 옴니에 대한 계획을 확정했다. 하지만 전체 지역을 연결하는 단일 요금 시스템 계획이 지연됨에 따라, MTA의 통근 철도인 메트로노스와 LIRR에도 설치가 지연되는 등 옴니의 지역 시스템 도입은 계속 늦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토레스-스프링거 회장은 옴니 시스템이 언제 완전히 작동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에 "옴니의 도입이 기술적인 혁명이라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MTA는 수백만 명의 대중교통 이용객에게 옴니의 잠재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도록 확장 일정을 새롭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MTA는 2019년부터 총 7억7200만 달러를 투입해 메트로카드를 옴니로 교체하고 있는데, 최초 예상과는 달리 최근까지 전철과 버스 승객의 44% 정도만 옴니를 사용하고 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메트로노스 도입 옴니 시스템 지역 시스템 옴니 프로젝트

2023.05.31. 16:4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