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노스 열차 노선을 맨해튼 펜스테이션까지 연장하는 ‘메트로노스 펜스테이션 액세스(Penn Station Access)’ 프로젝트가 당초 계획보다 3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는 27일 열린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2030년 2분기 완공을 목표로 일정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총 29억 달러가 투입되는 이 사업은 브롱스 지역에 4개의 신규역을 신설하고, 기존 헬게이트 노선(Hell Gate Line)을 활용해 메트로노스 열차를 펜스테이션까지 운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완공 시 브롱스 주민 약 50만 명이 최대 50분 단축된 통근 시간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연의 주요 원인은 암트랙의 협조 부족이다. 암트랙은 해당 구간의 선로를 소유하고 있으며, MTA가 공사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주말 선로 차단(outage)을 충분히 제공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MTA는 착공 첫 2년간 48회의 차단을 요청했으나, 실제 제공된 횟수는 7회에 불과했다. 또한 암트랙 측 인력이 현장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도 빈번했다고 MTA 건설개발국장 제이미 토레스-스프링거는 밝혔다. MTA는 암트랙과의 협력이 원활히 이뤄질 경우, 2027년까지 전체 열차의 50% 수준인 31편의 열차를 임시역 3곳에서 운행하는 부분 개통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암트랙은 현재까지 1억40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했으며, “프로젝트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조속한 완공을 위해 MTA와 협력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서만교 기자 [email protected]메트로노스 펜스테이션 메트로노스 펜스테이션 메트로노스 열차 맨해튼 펜스테이션
2025.10.28. 21:14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커네티컷 지역을 지나는 메트로노스 열차 요금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주 승객과의 요금 형평성을 맞추기 위한 조치로, 인상안이 확정되면 뉴헤이븐선 요금은 오는 9월 1일과 내년 7월 1일 각각 5%씩 인상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커네티컷주 그리니치-뉴욕 맨해튼 구간 월 정기권은 280달러에서 294달러75센트로, 커네티컷주 워터버리-맨해튼 구간은 424달러75센트에서 449달러25센트로 인상된다. 한편 MTA는 "지난해 무임승차로 인해 약 7억 달러 손실을 입었다"며 "올해 무임승차율이 약간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메트로노스 커네티컷 커네티컷 메트로노스 커네티컷 지역 메트로노스 열차
2025.07.29. 20:54
이번 주말 뉴욕시에 '산타콘' 행사가 돌아옴에 따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LIRR·메트로노스 열차에서 음주 단속을 강화한다. 매년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열리는 '산타콘'은 1년에 한 번 산타클로스 복장으로 술집을 순회하면서 술을 마시는 행사다. 이에 따라 MTA는 9일 오전 4시부터 10일 정오까지 LIRR·메트로노스 열차 및 플랫폼에서 주류 소비를 전면 금지한다. MTA는 "모든 이들이 안전하고 질서 있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최우선 과제"라며, "모두가 제 시간에 순조롭게 목적지에 도착해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MTA 경찰은 주말 음주 단속을 강화하기 위해 ▶펜스테이션 ▶그랜드센트럴터미널 등에 인력을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단속 기간에 LIRR·메트로노스 열차에서 음주를 하다 걸릴 경우 주류 압수 후 소환장이 발부되며, 열차 및 플랫폼에서 쫓겨날 수 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메트로노스 음주 메트로노스 음주 음주 단속 메트로노스 열차
2023.12.04. 17:46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열차를 이용하는 일일 승객 수가 처음으로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메트로노스 열차 이용객 수도 이전보다 더 늘어 팬데믹 이후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8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에 따르면, 지난 7일 LIRR 일일 승객 수는 20만4000명을 기록해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20만명을 넘어섰다. 메트로노스 일일 승객 수는 같은날 17만9600명을 기록, 팬데믹 이후 최다 기록인 지난 6월 28일 승객 수(17만4900명)를 넘어섰다. 노동절 연휴가 끝난 이후 도심으로 출근하는 통근자들이 많아지면서 승객 수가 불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성명을 내고 “사무실로 출근하는 사람들과 공립교 개학이 맞물리면서 승객 수 기록을 경신하게 된 것에 대해 뿌듯하게 생각한다”며 “팬데믹 이전 승객 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철과 버스 이용객도 늘었다. 지난 7일 일일 전철 이용객은 344만9986명, 8일 일일 전철 이용객은 364만8207명을 기록해 직전주 대비 10%, 1년 전 대비 약 36% 증가했다. 버스 승객 수도 138만6975명으로 전년대비 약 1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상황이 크게 개선된 만큼, 많은 기업들이 사무실 출근을 독려하면서 노동절 연휴 이후 출근한 사람들이 많아진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대중교통 탑승시 마스크 착용을 요구하는 규제가 해제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재노 리버 MTA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각종 대중교통 할인 티켓 정책을 유지하고, 안전에도 힘쓰겠다”고 전했다. 다만 연휴 이후 승객 수가 반짝 회복된 것일 뿐, 여전히 재택근무 선호자들이 많기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 수가 꾸준히 회복되긴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맨해튼에 사무실을 둔 기업들 중 재택근무 종료일을 올해 말로 설정해 둔 곳도 많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재택근무를 하며 번 시간을 육아, 휴식 등으로 이용했던 것을 상쇄할 만큼 사무실 근무가 주는 베니핏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승객 통근 통근 열차 버스 승객 메트로노스 열차
2022.09.09.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