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정문에 한국인 작품 설치

세계적인 미술관인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메트)이 건물 정면에 한국의 대표적인 현대미술 작가 이불(59·사진)의 작품을 설치한다.   메트는 29일 언론을 대상으로 한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사업계획을 설명하면서 이 작가에게 미술관 외관에 설치할 조각 작품 4점을 의뢰했다고 공개했다.   매년 세계적인 현대미술 작가들의 조각 작품으로 건물 외관을 장식하는 메트가 한국 작가에게 작품을 의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작가의 작품은 내년 9월부터 2025년 5월까지 메트 건물 정면을 장식할 예정이다.   데이비드 브레슬린 메트 현대미술 대표 큐레이터는 이 작가에 대해 "동세대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라면서 "작품을 통해 유토피아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 작가는 1980년 대 후반부터 조각과 회화, 영상, 퍼포먼스 등의 매체를 사용해 인류의 유토피아를 향한 욕망과 기술발전의 명암, 분단, 여성 문제 등 다양한 주제의 작품을 선보였다.   30대 초반이었던 지난 1997년에는 뉴욕현대미술관(MoMA)에 날생선을 화려한 스팽글로 장식한 '장엄한 광채'를 설치해 미술계의 주목을 받았다.   생선이 부패하는 냄새까지 관객들에게 전달하겠다는 이 작품에 대해 미술관은 악취를 이유로 철거를 결정했다. 이후 이불은 1999년 베네치아비엔날레 본전시.한국관 동시 출품과 특별상 수상 등 국제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소장품 중 한국 근현대미술 작품이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적은 메트도 이불이 도자기로 제작한 사이보그 연작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다.   메트는 이 작가가 최근 미술관을 방문해 미술관 외관에 설치할 조각 작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상했다고 소개했다.   브레슬린 대표 큐레이터는 "이 작가가 20세기 초 이탈리아 미래파 움베르토 보치오니의 작품과 그리스.로마 시대의 조각품 등을 참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최대의 미술관인 메트는 매년 전 세계에서 700만 명에 달하는 관람객이 방문하는 명소다.   메트 정면에 이 작가 작품이 설치된 것을 계기로 한국 미술에 대한 관심이 더욱 확산할 전망이다.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미술관 외관 최근 미술관

2023.11.30. 20:21

썸네일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한인 이름 딴 첫 전시실 생긴다

세계 4대 미술관으로 꼽히는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한인의 이름을 딴 전시실이 생긴다.   아시아 최대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는 7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근·현대미술 전시관인 ‘오스카 탕’의 개보수가 끝나면 전시실 중 하나에 김병주(사진) MBK 회장 부부의 이름을 붙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김 회장은 오스카 탕 개보수를 위해 1000만 달러를 기부하겠다고 약속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예우 차원에서 ‘김병주·박경아 갤러리(Michael B. Kim and Kyung Ah Park Gallery)’라는 명칭을 전시실에 붙일 예정이다.   1870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설립된 이후 전시실 명칭에 한국계 인사의 이름을 사용하기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회장은 MBK파트너스를 설립하기 전 칼라일 아시아 파트너스 회장, 살로몬스미스바니 아태지역 최고운영책임자(COO) 등을 역임했다.   그는 2017년부터 한국계 최초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이사회의 선출 멤버도 맡고 있다.   대니얼 웨이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CEO는 “20세기와 21세기, 최신 예술작품을 위한 새로운 장을 여는 기념비적인 프로젝트에 도움을 준 김 회장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밝혔다.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 메트로폴리탄 한국계 인사

2022.09.07. 20:36

썸네일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2022 서머 HD 페스티벌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는 26일부터 9월 5일까지 매일 밤 링컨센터에서 영화와 오페라 공연영상을 HD 화질로 상영한다. 링컨센터 오페라하우스 앞에 약 2500석의 좌석이 설치되며, 상영시각 1시간 전부터 입장 가능하다. 우천시에도 예정대로 진행되지만, 강풍과 천둥번개가 이어질 경우 취소될 수 있다.메트로폴리탄 페스티벌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링컨센터 오페라하우스 오페라 공연영상

2022.08.25. 17:52

덴버서 집 내놓으면 28일만에 팔린다

 미국의 주택시장이 여전히 셀러스 마켓(seller’s market)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매물이 나오면 빠른 속도로 매매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덴버 메트로지역은 한달도 안돼 팔려 가장 이른 시점에 매매되는 지역의 하나로 꼽혔다. 부동산 정보사이트 ‘리얼터 닷컴’의 최신 미국내 주택 매매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월을 기준으로 할 때 미국내 주택 판매가 사상 최단 시간에 팔린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에 의하면 올 10월 한달동안 일반 주택이 시장에 매물로 리스팅된 후 실제 계약이 성사되는 기간은 평균 45일 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는 미국의 주택 시장 사상 제일 빠른 속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단 기간에 주택이 팔리는 지역은 노스 캐롤라이나주 랄리로 주택이 리스팅된지 불과 19일 만에 판매됐다. 그 다음은 테네시주 내시빌이 22일로 두 번째로 빨랐고 뉴욕주 로체스터가 23일로 세 번째를 기록했다. 덴버지역은 28일로 미전역에서 네 번째로 주택이 빨리 팔리는 곳으로 기록됐다. 리얼터 닷컴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대니얼 헤일은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재택근무 확산으로 주택 수요가 폭발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미국의 주택시장은 셀러스 마켓이 지속돼 신기록 갱신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이 진정국면에 접어들었음에도 여전히 수요가 공급보다 훨씬 많은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코로나19 대유행이 이전보다는 진정세를 보이고 기업들도 재택근무를 줄이는 추세지만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여전히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하는데다 렌트비는 계속 오르고 있어 주택 구입을 희망하는 잠재적 구입자들이 상당수다. 반면, 매물로 나오는 주택수는 아직도 수요를 못따라오고 있어 당분간은 셀러스 마켓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부연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지난 9월의 경우 매물로 나온 주택의 86%가 한 달도 안 되어 팔려나갔다. 이에 따라 주택 구매 희망자들은 구입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신속한 결정을 내릴 준비가 항시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작년대비 올해 주택 매매 속도가 가장 빠른 지역은 남부지역이다. 전년대비 가장 빠르게 팔린 대도시 권역(메트로폴리탄)은 마이애미(작년의 61일보다 30일이나 감소)와 노스 캐롤라이나주 랄리(작년대비 30일 감소한 19일)였고 이어 플로리다주 잭슨빌(작년대비 17일 감소한 38일)과 올랜도 (17일 감소한 42일), 테네시주 멤피스(16일 감소한 29일)등의 순이었다. 이밖에 미국내 주요 도시들의 전년대비 판매기간을 살펴보면, 워싱턴DC(1일 짧아진 35일), 샌프란시스코(4일 감소한 31일), 시카고(2일 줄어든 41일), 로스앤젤레스(작년과 같은 49일), 뉴욕(5일 늘어난 63일) 등이다. 이은혜 기자덴버 메트로폴리탄 덴버 메트로지역 주택 매물 주택 매매

2021.12.13. 15: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