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캐나다·멕시코·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로 한인 식탁 물가도 덩달아 들썩일 것으로 보인다.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산에는 각각 25%, 중국산 수입품에는 총 20%의 관세가 부과됨에 따라 재고 확보가 어려운 농수산물 가격이 오를 전망이기 때문이다. 다만, 생산자, 유통업체, 도매업체, 소매업체의 관세로 인한 인상에 대한 흡수 폭에 따라 가격 상승 폭이 결정될 것이라는 게 한인 업계의 설명이다. 관계기사 6면, 중앙경제 채소와 과일 도소매 업체의 한 관계자는 “멕시코 수입 주요 식품은 아보카도, 할라페뇨, 라임, 파, 망고, 토마토 등으로 멕시코 국경 창고에 야채, 과일 재고가 있어 2~3일 정도는 괜찮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추가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 여부에 관해서는 “생산자, 패킹 업체, 도소매 업체와 중간 유통업체 등의 관세 흡수 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 한인마켓 관계자도 “중국서 오는 식품은 깐밤, 찐옥수수, 게(홍콩) 정도”라며 “그로서리는 아직 재고 여유가 있는 데다 고기도 냉동 재고가 있어 당장 가격을 올리지는 않을 것 같다”고 전했다. 하지만 도매업체의 관세 상승분 흡수 여부에 따라 가격에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소매업체 관계자들은 “가격 상승 폭은 다를 수 있지만, 가격 인상은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결국 한인 식탁 물가가 상승 곡선을 그릴 것이라는 설명이다. USA투데이는 4일 멕시코 관세 부과에 영향받을 품목으로 아보카도, 비정제 설탕, 시리얼, 종이제품, 가공된 과일과 견과류, 열대 과일, 토마토, 양파, 양상추, 양배추, 피클, 과일주스, 면제품, 맥주 포함 주류, 육류와 해산물 등을 꼽았다. 모두 식탁 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식품들과 제품들이다. 캐나다의 경우엔 목재, 석탄, 알루미늄, 철강, 고무, 주류, 바닥재 등이 가격 상승 품목에 포함됐다. 이에 더해 경제 분석업체 앤더슨이코노믹그룹은 최근 보고서에서 멕시코와 캐나다에 부과한 추가 관세가 유지되면 3열 풀사이즈 SUV 가격은 9000달러 오르고, 크로스오버 전기차의 경우 최대 1만2200달러 가량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이에 더해 전문가들은 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로 국내 에너지 가격도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봤다. 에너지정보청(EIA) 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캐나다산 원유 수입량은 지난해 10월 기준 하루 460만 배럴에 달했다. 같은 기간 미국의 하루 원유 생산량 1350만 배럴의 3분의 1에 달하는 규모다. 한편, 주요 국가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5일 관세 일부 경감 조치가 있을 수도 있다고 4일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언급하면서 “만약 해당 규칙에 따른다면 대통령은 주요국들에 구제 방안을 주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며 “그러나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면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최인성·이은영 기자장바구니 멕시코산 관세 부과로 관세 상승분 추가 관세로
2025.03.04. 21:11
국내 계란값이 폭등하면서 멕시코에서 날계란을 불법 밀반입하는 사례가 크게 늘었다. 연방세관국경보호국(CBP)은 “멕시코의 계란값이 미국보다 현저히 저렴해서 날계란 밀수 적발 사례가 급증세”라고 설명했다. 그도 그럴것이 멕시코산 계란 가격은 국내산의 ‘삼분의 일’ 수준이기 때문이다. 미국-멕시코 국경 소식 전문매체 ‘보더리포트’에 따르면 2022년 10~12월 CBP가 몰수한 계란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00%나 폭증했다. 텍사스 국경과 맞닿아있는 멕시코 도시 시우다드후아레즈의 계란 30알 한 판의 가격은 3.40달러인데 반해서 2022년 12월 기준 미국 내 계란 가격은 12알에 4.25달러였다. 30알로 가격을 환산하면 약 11달러로 멕시코산보다 세배 이상 비싸다. 국내 계란 가격이 급등한 원인은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으로 암탉을 포함한 닭을 대량 도살 처분하면서 계란 공급이 크게 줄면서 수급 불균형이 발생에 따라 계란값이 폭등하게 됐다. 계란 품귀현상도 빚어지고 있다. 제니퍼 데 라오 CBP 샌디에이고 필드 운영 디렉터는 “최근 검역에서 다수의 계란을 압수했다”며 “날계란을 신고하지 않고 반입하다 적발되면 최대 1만 달러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CBP는 상업적 목적의 계란 밀수에 최고 1만 달러, 개인 밀반입에는 300달러의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정부는 질병 감염 위험 등을 이유로 날계란, 생닭, 칠면조 등 날계란과 육류의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 연방 농무부(USDA)는 지난 2012년부터 멕시코로부터의 날계란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 단, 조리된 계란은 USDA 지침에 따라 일부 반입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국경 너머로 쇼핑하러 다니는 사람들 가운데 상당수가 계란이 반입 금지라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지적했다. 텍사스 국경 세관의 찰스 페인 농산물 감독관은 “계란 반입을 신고하면 벌금은 없다. 하지만, 불법으로 들여오다 적발되면 벌금은 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계란을 사서 오지 않는 것이 상책”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조류 인플루엔자로 조류 총 4300만 마리가 살처분됐다고 USDA는 전했다. 우훈식 기자멕시코산 계란값 계란값 폭등 멕시코산 계란 날계란 밀수
2023.01.22.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