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대에 다니던 한인 대학생 두 명이 일주일 사이 숨진 채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학교 측이나 수사 당국은 두 학생의 정확한 사인 등을 아직 공개하지 않고 있어, 죽음을 둘러싼 의문이 불거지고 있다. 듀크대학교 학보인 ‘듀크 크로니클’은 이 대학 인문과학대학 소속 2학년생 이안 현 김(Ian Hyun Kim)씨가 지난 1일 숨진 채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대학 측은 타살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사실만 발표한 채, 정확한 사망 시각과 장소, 사인 등은 밝히지 않았다. 김씨가 숨진 장소는 캠퍼스 내 공원인 ‘듀크 가든스’로 추정되고 있다. 김씨의 사체가 발견된 1일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Reddit)’에는 듀크 가든스 인근에 다수의 경찰차와 폴리스라인이 설치됐다는 목격담이 올라왔다. 이에 본지는 7일 듀크대 경찰국에 사실 확인을 요청했지만, 경찰국 측은 아직 수사 중인 사안이라며 답변을 거부했다. 앞서 지난달 25일에는 프린스턴대학교에서 혼혈 한인 학생인 로렌 블랙번(23)이 실종 일주일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뉴욕포스트 보도 등에 따르면 그는 지난달 19일 오후 6시쯤 이 대학 파이어스톤 도서관 인근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뒤 자취를 감췄다. 실종 신고를 받고 수색을 펼친 프린스턴대 경찰국은 지난달 22일 휴대폰 위치 추적을 통해 블랙번의 마지막 위치가 캠퍼스 남단의 인공 호수 카네기 레이크인 것을 확인, 3일 만에 호수에서 블랙번의 시신을 발견했다. 대학과 대학 경찰국 모두 정확한 사인이나 사망 방식에 대해 밝히지 않고 있다. 주변 취재 결과 블랙번은 실종 며칠 전 여자친구와 결별했으며, 유서로 추정되는 쪽지를 남긴 사실, 그리고 평소 조울증을 앓으며 자살 시도 이력이 있었던 점 등을 토대로 극단적 선택을 한 것이 아니냐는 추정도 제기되고 있다. 블랙번은 2001년 오리건주에서 태어나 유타, 미주리, 인디애나주 등에서 성장했다. 프린스턴대 3학년생인 그는 영문학을 전공했다. 어머니가 한인인 그는 한국문학 클럽과 한인학생회에서도 활동했으며, 지난해 여름에는 프린스턴대 장학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듀크대와 프린스턴대는 각각 재학생 사망과 관련해 공식적으로 애도 성명을 발표했다. 메리 팻 맥마흔 듀크대 부총장은 지난 1일 학부생에게 보내는 전체 이메일을 통해 “김씨는 매우 총명하고 사려 깊은 학생이었다”며 “그의 가족과 친지들에게 심심한 애도를 표한다”고 전했다. 프린스턴대 역시 지난달 25일 추모 모임을 진행했다. 김경준·강한길 기자명문대생 프린스턴 프린스턴대 경찰국 듀크대 경찰국 한인 대학생
2025.05.07. 20:45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한 것과 관련, 그 책임이 이스라엘에 있다고 성명을 낸 하버드대 학생들이 비판 여론에 밀려 입장을 바꾸고 있다. 성명에 참여한 학생들이 월가의 ‘채용 블랙리스트’에 올랐다는 경고까지 나오면서 뒤늦게 사태를 수습하는 모양새다. 11일 CNN방송 등에 따르면, 최근 ‘이스라엘 정권이 이번 폭력 사태에 전적인 책임이 있다’는 취지의 성명에 서명한 34개 하버드 학생 모임 중 최소 5개 모임이 지지 입장을 철회했다. 일부 학생 모임은 철회 소식을 알리면서 성명에 동참한 사실에 대해 사과하기도 했다. 하버드대의 서남아시아 학생 모임은 성명을 통해 “성명에 동참한 사실에 대해 공식으로 사과한다”며 “테러 조직 하마스의 학살을 강력하게 비난한다”고 밝혔다. 다른 학생 모임의 일부 임원들은 이스라엘 비난 성명에 거리를 두기 위해 사퇴를 발표하기도 했다. 하버드대 학생들이 이처럼 입장을 바꾼 것에는 성명 발표 후 큰 논란이 일어서다. 특히 월스트리트에서 이들을 ‘채용 블랙리스트’에 올렸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급하게 성명을 철회하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헤지펀드계 거물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캐피털 회장은 소셜미디어에 관련 성명들을 언급하고, “많은 최고경영자(CEO)들이 혹시라도 이스라엘 비난 성명에 참여한 하버드 졸업생을 채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면서 학생 모임 명단을 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애크먼 회장의 게시글 이후 다수 기업 CEO들이 찬성한다는 의사 표시를 했다. 일부 하버드대 학생들은 이스라엘 비판 성명을 낸 동료 학생들을 공개적으로 규탄하고 나섰다. 전날 하버드대 17개 학생 모임은 500여명의 교직원과 함께 공동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 비판 성명은 완전한 오류”라고 지적했다. 뉴욕대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다. 뉴욕대 로스쿨 학생회장 리나 워크먼은 최근 “이스라엘은 이 엄청난 인명 손실에 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해 논란이 됐다. 워크먼은 취직이 결정됐던 로펌의 채용 취소 통보를 받았고, 로스쿨 학생회도 워크먼에 대한 회장직 탄핵 절차에 들어갔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이스라엘 명문대생 이스라엘 비판 이스라엘 비난 이스라엘 정권
2023.10.12. 1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