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연세사랑병원, 신규 의료진 영입…'무릎관절 센터 확장'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 전문 연세사랑병원이 신규 의료진을 영입하며 무릎 관절센터 확장에 나섰다.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이의종 과장(정형외과 전문의)과 남범준 과장(정형외과 전문의)이 무릎관절센터 진료를 개시했다.   이의종 과장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에서 인턴 및 레지던트를 수료했으며 이후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슬관절 및 스포츠의학 및 족부족관절 전임의를 수료했다. 또 삼성서울병원 슬관절 관절경 Cadaver Workshop, Stryker 슬관절 관절경 Cadaver Workshop, Artrex 슬관절 인공관절 Cadaver Workshop, AO Trauma Principle course 등을 수료했다. 현재는 대한정형외과학회와 대한슬관절학회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남범준 과장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과 동대학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했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에서 인턴십과 정형외과 레지던트를 수료했으며,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정형외과 슬관절 전임의를 수료했다. 또한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Cadaver Workshop, AO Trauma Principle course, Advanced course를 수료했다. 현재 대한정형외과학회, 대한관절경학회, 대한슬관절학회, 대한스포츠의학회, 세브란스 관절경 연구회, ISAKOS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연세사랑병원은 신규 전문의의 영입을 통해 무릎관절센터의 확장 및 환자에게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와의 협진을 통한 고주파 통증완화 치료(RF) 등의 통증치료와 같은 환자의 증상에 따른 맞춤 치료를 제공한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임상경험이 많은 전문의 영입을 통해 환자분들께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환자가 믿고 편안히 진료받을 수 있는 병원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박원중 기자 ([email protected])연세사랑병원 무릎관절 무릎관절센터 진료 전문 연세사랑병원 신규 의료진

2023.05.07. 23:39

썸네일

줄기세포 뽑아 무릎관절·척추 디스크 재생

퇴행성 관절염, 오십견, 고관절염, 무릎 관절염, 척추 디스크 등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PRP와 스테로이드 제제 치료의 단점을 보안한 새로운 치료법이 도입돼 주목받고 있다.   남가주 베벌리힐스(Beverly Hills) Cell Surgical Network와affiliation되어 있는 어바인스템스 줄기세포 통증 내과  박재우 원장이 세계 최초로 시술을 시작한 자가 지방줄기세포 연골재생 치료가 바로 그것이다.   이 치료법은 환자의 복부, 옆구리, 엉덩이 등에서 지방을 뽑아낸 뒤 여기서 줄기세포를 추출해 각종 성장인자가 풍부한 혈소판 풍부혈장(PRP)과 함께 환부에 주사해 손상된 연골을 재생성하는 시술이다.  환자 자신의 혈액에서 각종 성장인자가 풍부한 혈소판 풍부혈장(PRP)을 원심 분리해낸 뒤 이를 지방줄기세포가 관절 내에서 잘 자라서 연골재생 효과가 더 좋도록 같이 주사한다.     이 치료는 자신의 세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면역거부 반응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환부에서 줄기세포가 연골 모세포로 분화돼 손상된 관절의 연골조직을 재생시켜 기존 치료법보다 훨씬 결과가 좋다고 그는 강조했다.   기존 관절염 치료는 증상 치료 외에는 손상된 연골을 걷어내거나, 자신의 연골판을 떼어내 배양한 후 다시 이식하는 방법이다. 전자는 통증의 원인을 단순 제거하는 데 그치고, 후자는 배양한 연골판이 환부에 제대로 생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환자의 나이가 많거나 연골이 손상 또는 노화된 경우 생착률이 낮았다. 이에 비해 복부에서 지방줄기세포를 뽑아내 이식하는 방법은 연령 제한이 상대적으로 덜하고 생착률은 더 높다.   박 원장은 “한번 시술에 100g의 지방세포가 필요하다”며 “깡말라 지방세포가 거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나이가 많아도 지방줄기세포 이식수술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물론 이 시술도 환자의 나이가 젊을수록 연골조직의 재생률이 높아진다. “어린이는 지방세포 1g당 100만개 이상, 30~40대는 70만~80만개, 50대 이상은 50만개 정도의 줄기세포가 들어있어 어릴수록 지방줄기세포이식에 따른 치료 효과가 높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현재 미국서는 줄기세포를 배양하지 않은 지방 또는 골수줄기세포만을 사용할 수 있고 또 배양 후 줄기세포는 분화능력이 떨어져 자가 지방줄기세포 이식이 더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그동안 시술받은 환자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시술 전후의 MRI(자기공명영상촬영) 사진을 판독한 결과 4주가 지나자 통증이 대폭 완화됐고, 6주 후 연골 부위에 새로운 연골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3개월에서 6개월이 지나면서 연골이 많이 재생된”며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그동안박재우 박사가발표한 10편이 넘는 논문에 저술되었다고 한다.줄기세포 무릎관절 지방줄기세포 이식수술 자가 지방줄기세포 줄기세포 통증

2022.10.24. 19: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