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깨우침은 단박에 이루어진다

지난 회에 다뤘듯, 불교 교리에 계정혜(戒定慧)가 있다. 이것을 불교의 '삼학'이라고 한다. 삼학은 가장 기본적인 불교의 교리이며, 일체의 법문(法門)은 모두 삼학으로 귀결된다.   계(戒)는 심신에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다. 정(定)은 계에 의해 몸과 마음이 조정되면, 다음에는 마음을 통일하는 정(定)이 생긴다. 혜(慧)는 도리를 명석하게 분별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이다. 불교의 최종적인 목적은 깨우침의 지혜를 얻는 것이며, 혜는 가장 넒은 의미의 지혜다.     혜능스님은 돈오돈수(頓悟頓修)를 주장했다. 즉, 깨우침은 단박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신수스님은 수상정혜(隨相定慧)를 주장했다. 상을 쫓아서 선정으로 마음의 고요함을 얻은 후에 지혜를 점차 갈고 닦아야 한다는 가르침이었다. 또 보조스님은 돈오점수(頓悟漸修)라 하여 단박에 깨우침을 얻고도 무명으로 돌아갈 수 있으니, 계속해서 '선정(禪定.생각을 쉬는 것)'과 지혜를 갈고 닦아야 한다고 혜능과 신수의 중간적인 태도를 보였다.   성철스님은 돈오점수는 혜능의 가르침이 아니고 잘못된 해석이라고 했다. 결국, 돈오돈수 즉, 단박에 깨닫는 것이 옳다는 것이고, 수행은 오랜 시간이 필요 없다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깨우침은 별것이 아니라고 오해하면 안 된다. 깨우침을 얻을 정도의 사람이라면, 그전부터 범인에겐 알 수 없는 수행 또는 남다른 불심이 있었을 것이다. 이런 것이 '암묵적 지식'이다.   오조스님은 일개 나무꾼이었던 혜능에게 육조의 자리를 물려주었다.     혜능스님(육조스님)은 설파하시길 선정과 지혜는 하나라 했다. 자성(自性)의 본체가 선정이요, 자성의 작용이 지혜라는 것이다. 자성이란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불성(佛性) 즉, 모든 중생이 본래 가지고 있지만 보지 못하는 부처의 마음인데, 선정(禪定)이란 본체 속에 지혜의 작용이 있으니, 몸과 뇌는 하나이듯, 선정이 지혜요, 지혜가 곧 선정이란 것이다. 육조 스님이 말씀하시길, 마음이 어지럽지 않음이 자성의 선정이고, 마음이 어리석지 않음이 자성의 지혜라 했다.     고려 중기 때, 보조국사 지눌 스님은 돈오점수를 설파했다. 즉, 불도에 들어가는 문은 오직 돈오(頓悟.단박에 깨달음)와 점수(漸修.점차로 닦아나감)의 이문(二門)에 있음을 밝혔다. 점수의 방법론은 정혜(定慧)를 동시에 골고루 닦는 정혜쌍수(定慧雙修)를 그의 저서인 '수심관(修心觀)'에서 체계화하였고, 이는 곧 한국불교의 선수행(禪修行) 지침이 되었다.     노자의 '도덕경' 제8장에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표현이 있다.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는 말이다. 도덕경에서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서로 다투지 않고 또한 남들이 싫어하는 곳에 스스로 처한다. 즉,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항상 향하면서 머물 때도 낮은 곳에 처한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물은 도(道)에 가깝다.     불교에선 모든 것은 머물지 않고 계속 변화가 있으니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허상(虛像)이므로 공(空)의 세계로 들어가 여여한 마음을 갖는 것을 득도(得道)의 길이라고 한다. 니체는 불교와 다른 관점으로 모든 만물은 변화하므로 이 세상에 '절대자'와 '진실'은 없고, 단지 우리가 살아 있다는 이유로 이 세상이라는 특정한 세상에서 '힘에의 의지(위버멘쉬)'로써 긍정적으로 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양 철학자 중에 무신론자가 많은데, 그들은 형이상학보다는 현실에 충실한 실존철학에 무게 중심을 둔다. 그들에게는 신보다 존재하는 인간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니체도 그중 하나다.   박검진   단국대 전자공학과 졸업.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기술경영학(MOT)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LG반도체 특허협상팀 팀장, 하이닉스반도체 특허분석팀 차장, 호서대 특허관리어드바이저, 한국기술교육대 산학협력단 교수를 거쳐 현재 콜라보기술경영연구소 대표.    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단박 무명 불교 교리 하이닉스반도체 특허분석팀 저서인 수심관

2025.02.10. 17:38

썸네일

‘요한 내러티브에 나타난 무명의 인물 연구’ 출간

    한태일 목사(MD 가든교회 담임)의 세 번째 신간 ‘요한 내러티브에 나타난 무명의 인물 연구’가 출간됐다.     ‘요한 내러티브에 나타난 무명의 인물 연구’는 한 목사의 신약해석학 박사 과정 논문(2022)을 한국말로 번역한 것으로, 요한복음에 나타난 무명의 사소한 인물들이 예수님과의 만남을 통해 믿음의 진보를 보이고, 참된 제자로서의 진정한 믿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다는 신학적 주제들을 입체적 체계와 전개에 맞춰 심도있게 분석하고 있다.      한 목사는 “설교를 준비하는 목회자들과 요한복음을 연구하는 신학생들, 평신도 지도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책은 요한복음 4장, 5장, 9장에 나타난 인물들을 연구하며 기독론적, 영광론적 중요성에 대해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한 목사는 저서에 대해 “요한복음 속 인물들, 바로 오늘날 이민사회를 사는 우리와 같은 마이너리티 인물들을 통해 그들과 주님이 나눈 대화속에서, 믿음을 심어주고 역사하시는 예수님을 만날 수 있는 책”이라고 설명했다.   이 책의 저자인 한 목사는 29년전 메릴랜드 엘리콧시티 소재 가든교회를 개척해 개혁주의 신앙을 강조한 말씀중심의 목회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교인들이 ‘선교적 삶’을 살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개척 초반부터 선교사 후원을 시작했다”며 “수년전 부터는 넓히는 선교에서 벗어나 깊이 있는 선교에 중점을 두고, 6년 전 멕시코 남쪽 치아파스 주의 도시 산크리스토발에 선교센터를 설립해 현지인이 목회하고, 3개월마다 선교사를 파송해 성경 대학 강의를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코로나 시기 작고하신 손인식 목사님이 이끌던 ‘UTD 선교연합(그날까지 선교연합)’에서 활동하며 북한 탈북자 선교 지원으로 선교지향적 교회를 꿈꾼다”고 목회 철학을 설명했다.   한편 현재 재미고신교단 총회장과 ‘그날까지 선교연합’ 미 동부지역 공동 의장을 역임중인 한태일 목사는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B.S.)를 졸업,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공학 석사(M.S.)를 획득한 이력으로 유명하다. 공학도였던 한 목사는 달라스신학대학교에서 신학 석사 학위(Th.M.)를, 필라델피아의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교에서 신약해석학 박사 과정(Ph.D)을 수료했다.   이후 1994년 가든교회를 개척해 현재까지 담임목회를 이어오고 있다. 또한 요한복음을 연구하던 중 2022년, 사우스 아프리카의 프레토리아대학교 개혁주의신학대학원에서 ‘요한복음에 나타난 사소한 무명의 인물 연구'로 신약학 박사 학위(Ph.D.)를 받기도 했다. 또다른 저서로는 ‘세월의 흐름을 따라(2023)’가 있다.   신간 ‘요한 내러티브에 나타난 무명의 인물 연구’는 애난데일 소재 기독교문사에서 구입할 수 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내러티브 무명 인물 연구 마이너리티 인물들 선교사 후원

2023.07.27. 6:4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