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시 등록 유권자 5명 중 1명은 무소속

뉴욕시 등록 유권자 5명 중 1명은 무소속 유권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9일 뉴욕시 선거자금위원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뉴욕시 등록 유권자 21%는 아무 정당에도 소속되지 않은 무소속 유권자였다. 민주당 등록 유권자는 뉴욕시 유권자 3분의 2를 차지했으며, 공화당 등록 유권자는 뉴욕시 등록 유권자의 11%였다. 즉 공화당 등록 유권자보다 무소속 유권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더 높다는 얘기다.     특히 한인 밀집지역인 퀸즈 북서부 지역의 무소속 유권자 비율은 높은 편이었다. 유권자 데이터 분석 결과, 퀸즈 북서부 지역 무소속 유권자 비율은 대부분 뉴욕시 전체 평균(21%)을 웃도는 25~30% 수준이었다.     엘리 스와텍 시 선거자금위원회 정책연구국장은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정당 가입에 관심이 없다. 정당이 자신들의 이슈나 정책을 대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며 “무소속 유권자 집단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 보면, 무소속 유권자의 약 절반(49.2%)은 40세 미만 젊은층이었다. 뉴욕시 무소속 등록 유권자의 26.1%는 18~29세, 23.1%는 30~39세였으며,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0%에 불과했다.     그런가 하면 민주당과 공화당 소속 유권자 중 40세 미만 젊은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35.3%와 37.6%에 불과했다. 민주당과 공화당 소속 유권자 중에서는 40~60대 중·장년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약 45%와 약 43%로 압도적이었다.     최근 몇 년 동안 무소속 유권자들의 본선거 투표율은 정당 소속 유권자들보다 낮은 편이었다. 대선이 치러진 지난해 민주당 소속 유권자들의 본선거 투표율은 63.4%, 공화당 유권자들의 투표율은 53.2%였으며 무소속 유권자들은 49.3%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한편 뉴욕시 전체 유권자 등록률은 85.8%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지난해 신규 등록 유권자의 절반 이상(54.5%)이 18~29세였다.     보고서는 “젊은 유권자들이 투표 장벽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뉴욕시 30세 미만 유권자들의 투표율은 계속해서 낮은 수준을 유지한 것. 지난해 뉴욕시 30세 미만 유권자들의 6월 예비선거 투표율은 5%, 11월 본선거 투표율은 57.1%에 그쳤다. 이에 보고서는 “젊은층 유권자들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 활동을 확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무소속 유권자 무소속 유권자들 뉴욕시 무소속 뉴욕시 유권자

2025-04-30

가주 예비선거 투표 이렇게…조기 투표소 오픈 35~38% 투표 예상

선거가 1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투표 참여 방법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참고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첫 당선됐던 2016년의 가주 예선 투표율은 34.5%, 바이든이 당선됐던 2020년에는 소폭 높은 38.4%를 보였다. 이번 예선은 지난 두번의 예선보다는 관심도가 높지 않다는 분석도 있지만 연방 하원 등 지역구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예선 투표율이 35~38% 정도를 보일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가주 총무국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현장 투표와 우편 투표에서의 주의 사항들을 홍보하고 있다.     ▶조기 투표소 현재 운영중   선거 규정(Voter's Choice Act)에 따라 주요 대도시 소재 29개 카운티들은 투표 11일 전인 지난 24일 일부 투표소 운영을 시작했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임시 이동 투표소도 설치돼 유권자들의 편의를 돕고 있다. 유권자 업무는 개별 카운티에서 등록국(Registrar-Recorder/County Clerk)이 맡아 진행한다. 해당 부서 사이트에서는 유권자 등록 여부, 투표소 확인, 주요 후보 이력 확인 등이 가능하다. 조기 투표소에는 전자투표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우편 투표 용지를 제출할 수도 있으며 기존 드롭 박스도 여전히 이용할 수 있다. 정규 투표소는 최종 투표일의 4일 전인 3월 1일 설치돼 4일 동안 운영된다. 우편투표는 3월 5일 스탬프가 찍혀야 개표에 포함된다.     ▶당소속별로 다른 투표 용지   가주 내 무소속 유권자들은 대선 후보를 선택하고자 한다면 독립당(American Independent Party), 민주당(Democratic Party), 자유당(Libertarian Party) 중 한 곳을 선택할 수 있다. 이들 당은 원하는 유권자들을 포함하는 오픈 프라이머리 정책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렇다.  정당 소속이 있는 유권자들은 민주 공화를 포함 6개 주요 정당 중 한 곳의 투표 용지를 받게 된다.     ▶경범죄 경력 투표와 무관   범죄 또는 정신병력을 이유로 투표권이 제한되지 않는 이상은 18세 이상 미국 시민권자 모두가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중범과 달리 경범죄(음주운전 등) 전력은 투표권 행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집행 유예 또는 보호 관찰 대상자여도 여전히 유권자 등록을 하고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교도소 수감자는 교도소 내에 투표 시스템에 따라 투표하게 된다.       ▶투표 용지 교환, 줄서면 투표   우편투표 또는 드롭박스 이용을 위해 투표용지에 기표하다가 용지 자체가 망가졌다면 교환할 수 있다. 선거 관리국 또는 투표소를 방문하면 유권자의 정당에 맞는 용지를 새로 받을 수 있다. 다만 이미 용지를 드롭하거나 우편으로 보냈다면 다시 용지를 받을 수 없다. 현장 투표 시 마감 시간이 지났어도 줄을 선 상태라면 투표 참여가 가능하다. 한국어 도움이 필요한 경우 LA카운티에서는 대부분의 투표소에서 통역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기타 유권자 주지 사항은 가주 총무국이 제작한 한국어 유권자 가이드북(https://vig.cdn.sos.ca.gov/2024/primary/ko/pdf/complete-vig.pdf)을 참조하면 된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유권자 유의 투표소 확인 정규 투표소 무소속 유권자들

2024-02-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